• 제목/요약/키워드: 근육내 진정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4초

소아 환자에서 미다졸람의 경구 투여와 근육 투여에 의한 진정 효과의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SEDATIVE EFFECT OF ORAL MIDAZOLAM AND INTRAMUSCULAR MIDAZOLAM IN SEDATING YOUNG PEDIATRIC DENIAL PATIENTS)

  • 민유진;유승훈;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3-61
    • /
    • 2006
  • 미다졸람은 소아 환자의 진정시 흔히 사용되는 약물로서 안전성이 뛰어나고 사용이 편리하며 투여 방법이 다양하다. 여러 투여 방법 중, 주로 사용되는 근육내 투여 방법은 동통을 유발하기 때문에 어린이의 치과에 대한 공포를 가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근육내 투여의 이런 단점을 완화할 수 있도록 용량에 따른 미다졸람 경구 투여의 진정 효과를 근육내 투여시의 진정 효과와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총 12명의 환자를 실험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맹검법에 의해 두 번의 내원중 임의로 한 번은 Midazolam 0.75 mg/kg을 경구 투여하고, 한 번은 미다졸람 0.3mg/kg을 근육내 투여하여 치료하였으며, 치료과정 동안 환자의 생징후(말초 동맥혈 산소 포화도, 심박수)와 행동양상을 Ohio State University Behavior rating scale과 Automated Counting System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생징후의 경우 양 군 모두 정상범위 내에서 안정된 양상을 보였으며, 임상적으로 바람직한 행동양상(Q:Quiet)의 비율이양 군에서 대부분 높게 나타났으며 양군간에 유의 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본 연구에서 미다졸람을 근육내 투여한 군과 경구 투여한 군 모두 진정 효과가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gt;0.05).

  • PDF

Midazolam의 투여방법에 따른 진정효과의 비교연구 (COMPARISON OF SEDATIVE EFFECTS BETWEEN THREE ROUTES OF ADMINISTRATION WITH MIDAZOLAM)

  • 김령;이긍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83-291
    • /
    • 2000
  •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자중 3회 이상의 치료가 필요한 어린이 22명으로 남아 8명, 여아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는 ASA I에 해당되었으며 첫 내원시 Frankl 행동분류로 negative 13명, definitely negative 9명이었다. 동일어린이에 대해 midazolam(Dormicum, 한국로슈)을 근육내 투여 (I군, 0.15mg/kg), 비강내 점적 (II군, 0.20mg/kg), 비강내 분무(III군, 0.20mg/kg)를 순서에 무관하게 내원시마다 투여한 후 투여방법과 치료과정에 따른 진정 효과, 심박동수 및 동맥혈 산소포화도 변화의 차이를 비교하여 평가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심박동수와 동맥혈 산소포화도는 모든 치료과정에서 안정적이었으며, 약물의 투여방법과 치료과정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2. 수면효과에서는 비강내 분무, 비강내 점적, 근육내 투여의 순서로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P<0.0001), 러버댐 장착기와 충전기를 제외한 모든 치료과정 에서 비강내 분무가 가장 효과적 이었다. 3. 울음, 움직임, 전반적 행동평가에서 비강내 점적, 비강내 분무, 근육내 투여의 순서로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P<0.0001), 치료의 모든 과정에서 비강내 점적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

상악 중절치의 이소맹출로 인해 발생한 자극성 섬유종 (Irritation Fibroma Associated with Ectopic Eruption of the Maxillary Incisor)

  • 정연욱;강정민;김승혜;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07-212
    • /
    • 2016
  • 자극성 섬유종은 만성적인 자극 또는 외상에 의해 발생하는 구강 내의 흔한 섬유증식성 병소이다. 자극성 섬유종과 유사한 형태의 다른 양성 또는 악성 연조직종양의 감별진단을 위해서는 병리조직학적 검사가 필요하다. 본 증례는 엔젤만 증후군 환아에서 상악 좌측 중절치의 이소맹출로 인해 자극성 섬유종이 발생하여 미다졸람을 이용한 근육내 진정 하에 절제생검을 시행한 뒤, 병소의 재발 없이 양호한 치유 결과를 나타내고 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개에서 Xylazine-diazepam-ketamine 병용마취 시 두 가지 근육내 투여 용량 비교 (A Comparison of Two Intramuscular Doses of a Xylazine-Diazepam-Ketamine Combination in Dogs)

  • 이재연;서지원;조재금;조하은;정성목;김명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17
    • /
    • 2012
  • 많은 약물들이 개의 진정 및 마취를 위해 근육내 투여를 통해 사용되고 있다. 개 마취를 위한 많은 근육내 병용투여 방법이 정립되었으나 xylazine-diazepam-ketamine 병용투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개에서 xylazine-diazepam-ketamine 병용투여의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12 마리의 혼혈 종 개를 사용하였으며 diazepam (0.5 mg/kg), xylazine (1.1 mg/kg)에 두 가지 용량의 ketamine (5 mg/kg; group 1, 10 mg/kg; group 2)을 근육내로 투여하여 비교하였다. 마취 시간은 group 2에서 group 1과 비교 시 유의적으로 길었으며 혈압은 약물 투여 후 두 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 하였다. $S_aO_2$ 수준도 약물 투여 후 두 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 하였다. 마취는 두 군에서 모두 적절히 이루어졌다. 본 실험 결과 diazepam (0.5 mg/kg), xylazine (1.1 mg/kg)에 두 가지 용량의 ketamine (5 mg/kg, 10 mg/kg)의 병용투여는 개에서 짧은 시간의 깊은 진정 및 마취 시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소아환자의 Midazolam의 정맥투여 용량에 따른 진정 효과에 관한 비교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SEDATIVE EFFECT OF DIFFERENT INTRAVENOUS MIDAZOLAM DOSAGES FOR PEDIATRIC DENTAL PATIENTS)

  • 김은영;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16-426
    • /
    • 2005
  • 소아환자는 치과치료시 다양한 방법의 진정요법이 요구된다. 정맥내 투여방법은 약효의 발현이 빠르고, 진정의 심도 및 시간을 술자의 의도대로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Midazolam은 현재 의과 및 치과영역에서 성인의 진정요법에 가장 널리 쓰이며, 심혈관계와 호흡계에 대한 영향이 적은 진정 약제이다. 그러나 midazolam을 이용한 정맥내 진정요법의 소아치과에서의 사용에 대한 연구와 보고는 적은 편으로,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아환자에서의 midazolam을 이용한 정맥내 투여시 효과적이고 안전한 초기 투여용량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진정요법으로 2회 이상의 구치부 치료가 필요한 건강하고 비협조적인 행동을 보이는 1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연령은 $54.7{\pm}10.7$개월, 평균 몸무게는 $18.1{\pm}3.0kg$이었다. 술전 투약으로 0.3mg/kg, 최대 5mg의 midazolam을 근육내 투여 후 30~50%의 $N_2O-O_2$를 병용투여한다. 이중 맹검법에 의해 모든 환자는 두 번의 내원 중 임의로 한번은 0.1mg/kg(I군)을, 다른 한번은 0.2mg/kg(II군)의 초기 용량의 midazolam을 정맥내 투여하여 치료하였고, 추가투여시에는 초기용량의 1/2을 투여하였다. 치료시 환자의 생징후를 측정하였고, 행동양상은 Ohio State University Behavioral Rating Scale과 Automated Counting System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술자는 Houpt가 제시한 기준을 응용하여 임상적 치료의 성공과 실패를 평가하였다. 몸무게에 대한 총 투여용량은 I군에서 0.16mg/kg, 2군에서 0.24 mg/kg 이었다. 생징후의 경우 두 군 모두 정상범위 내에서 안정된 상태를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행동양상평가에서 II군에서 바람직한 행동양상(Quiet)의 비율이 높았고, 임상적 성공률은 II군에서 높았으나, 두 군간 통계학적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p>0.05). 작용 발현시간은 II군에서, 회복시간은 I군에서 빨랐고, 약물 투여 횟수는 I군에서 많았으나, 두 군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 PDF

천궁(Cnidii Rhizoma)의 메탄올 추출물이 GABA 및 Glycine 수용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THANOL EXTRACT OF CNIDII RHIZOMA ON THE FUNCTION OF RECEPTORS FOR GABA AND GLYCINE)

  • 이종태;이긍호;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5-66
    • /
    • 2005
  • 천궁의 메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진정 작용을 밝히기 위하여 staircase test를 시행하였으며, 근육이완 효과를 검색하기 위하여 rotarod test를 시행하였다. 진정 작용의 기전 구명을 위하여 GABA 및 glycine 수용체에 작용하는 약물인 picrotoxin, yohimbine, isoniazid, strychnine 등의 약물을 이용하여 발작 유도에 걸리는 시간을 비교 관찰하였다. 또한 생체에서의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Irwin의 행동시험 및 신경세포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MTT test를 실시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Staircase 실험에서 천궁 추출물을 10mg/kg 용량으로 경구 투여했을 때 climbing수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rearing수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42%의 감소를 보였다. 2. 30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했을 때, climbing수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rearing수에서는 51%의 감소를 유발하였다. 3. 근육이완 작용을 탐색하기 위한 rotarod 실험에서는 대조군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 천궁 추출물의 투여는 picrotoxin, isoniazid, yohimbine에 의한 발작에서는 큰 변화를 유발하지 않았으나, strychnine에 의한 발작 유도시간은 41%의 증가를 유발하였다. 5. 일반 행동에서도 특이한 변화를 유발하지 않았으며, 신경세포에 적용했을 때 특이한 독성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천궁의 메탄을 수용액 추출물은 현저한 진정 작용을 유발하며, 그 작용 기전으로서 glycine의 작용을 증가시켜 chloride ion의 세포내 유입으로 인한 억제성 신경전도를 유도한다고 사료된다. 또한 근육이완 작용도 나타나지 않았으며, 특이한 생체독성도 유발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향후 치과임상에서 진정요법의 한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 PDF

개에서 Medetomidine 진정에 대한 Yohimbine의 길항작용 (Medetomidine Sedation and Its Antagonism by Yohimbine in Dogs)

  • 허경희;이재연;최경하;조진행;박창식;김명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43-347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개에 있어서 medetomidine에 대한 yohimbine의 길항효과를 알아 보는데 있다. 총 6 마리의 잡종견 (수: 4 마리, 암: 2 마리)을 본 연구에 2주일의 휴약기간을 두고 반복실험을 하였다. 개들의 평균 연령은 4.3세 (2-6세) 이였고, 평균체중은 3.8 kg (2.7-4.6 kg) 이였다. 그룹 M은 대조군으로서 medetomidine을 $40\;{\mu}g/kg$ 용량으로 근육 내 투여하고 15분 후에 saline을 0.2 ml/kg 용량을 정맥 내로 투여하였다. 그룹 MY는 실험 군으로서 medetomidine을 $40\;{\mu}g/kg$ 용량으로 근육 내 투여하고 15분 후에 yohimbine을 0.11 ml/kg 용량을 정맥 내로 투여하였다. 마취시간에 대한 평가로 induction time, sternal time, standing time과 walking time을 측정하였다. Vital signs으로서 심박동수, 호흡수와 직장체온을 측정하였으며, 혈액화학 치로서 glucose, total protein, ALT와 AST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medetomidine 투여 후 서맥과 호흡저하를 보였으나, yohimbine 투여 후에는 심박수의 증가와 호흡수의 증가를 나타냄으로써 yohimbine이 medetomine으로 유발된 호흡저하와 서맥을 길항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Medetomine 투약 후 yohimbine을 투여한 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흉와시간, 기립시간과 보행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키는 영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개에서 yohimbine은 medetomidine에 대한 양호한 길항작용을 나타내었다.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Mori (Pisces, Cyprinidae)의 두골 및 두부 표면근육에 관한 계통학적 연구 (Systematic Studies on the Skull and Superficial Cephalic Muscles of the Cyprinid Fish, Coreoleuciscus splendidus Mori(Pisces, Cyprinidae))

  • 김익수;강언중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6권1호
    • /
    • pp.1-16
    • /
    • 1990
  • 모래무지아과에 대한 계통분류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한국 고유종인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Mori의 두골 및 두부표면근육을 기재하고 잉어과에 해당하는 다른 어류들과 비교해부학적으로 검토하였다. 본 조사의 결과 본 종은 설이골의 측돌기와 미설골이 잉어과 어류들 중에서도 매우 특이하게 나타났다. 한편 사부의 형태, 두부측선감각관의 구조, 부설골과 익설골 및 전이골의 관계, 미설골의 형태, 기설골의 형태, 하새골의 형태 및 adductor mandiblulae complex의 조성 등에 있어서 모래무지아과의 진정 저루성 어류와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형질들과 관련지어 본 종이 잉어과 내에서 차지하는 분류학적 위치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Xylazine hydrochloride로 진정시킨 개에 대한 Dexamethasone의 항구토 효과 (Antiemetic Effect of Dexamethasone in Dogs Sedated with Xylazine)

  • 양정훈;강한샘;배재성;송창현;김정은;진희경;장광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4-99
    • /
    • 2005
  • Xylazine hydrochloride로 진정한 개에서 발생하는 구토에 대한 dexamethasone의 항구토 효과를 평가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4.64\pm1.25kg$의_임상적으로 건강한 28마리 잡종견을 사용하였으며, 사료공급과 음수급여는 실험 3시간 전 실시하였다. 실험 전과 추 정맥에서 채혈하여 혈액검사와 혈청화학검사를 실시하였다. Dexamethasone 1 mg/kg (D1군), 2mg/kg (D2군), 4mg/kg (D4군) 또는 생리 식염수 0.2ml/kg (Control군)를 정맥내 주사하고 5분 후에 xylazine hydrochloride를 근육내 주사하여 진정시켰다. 각각 구토 발생시간과 구토 유무를 측정하였고, xylazine hydrochloride 진정 후 5, 15, 30, 60분에 Visual Sedation Score를 사용하여 진정정도를 평가하였다. 구토 발생시간은 대조군에서 $203.25\pm11.35$초였고, D1군과 D2군에서 각각 $187.33\pm48.01$초와 $218.33\pm13.58$초로 차이가 없었다. 구토율은 D4군 전체 실험견이 구토를 보이지 않는 반면, Control군 실험견 중 $57\%$가 구토를 하였고, D1군과 D2군 실험견들은 각각 $43\%$구토율을 나타냈다. 진정 정도는 실험군에 관계없이 dexamethasone을 투여한지 15분 후에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혈액검사, 혈청화학검사결과는 정상수치를 보였다. 이상 결과로, 개에서 전처치로 사용한 4mg/kg용량 dexamethasone은 진정작용에 관계없이 xylazine hydrochloride가 유발시키는 구토를 예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장애 환자의 전신 마취를 위한 세보플루란 흡입 유도 시 발생한 호흡 저하의 혈액 가스 분석 (Blood Gas Analysis of Respiratory Depression during Sevoflurane Inhalation Induction for General Anesthesia in the Disabled Patients)

  • 윤태완;김승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508-513
    • /
    • 2018
  • 세보플루란에 의한 일회 환기량은 낮은 용량에서는 호흡수의 증가로 안정적이다. 그러나 진정 깊이가 증가하면 폐포 환기는 세보플루란에 의해 감소되어 결과적으로는 $PaCO_2$가 증가한다. 호흡 억제의 발생은 깊이 진정된 장애 환자에서 심한 저산소증과 고탄산혈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세보플루란 흡입 마취는 여러 위험성이 내제되어 있으며 체내 산 염기 상태에 따라 혈역학적 변화가 발생하기에 예기치 못한 문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세보플루란으로 장애인의 마취 유도 시 발생하는 호흡 억제로 인한 체내 산 염기 상태가 안정한지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마취 유도는 4 vol% 세보플루란, 4 L/min 아산화질소, 4 L/min 산소를 자발 호흡 하에서 환자 안면부에 마스크를 거치하여 유도하였다. 그 뒤 환자의 의식소실 및 근육 긴장 완화 후 즉시 전문가에 의해 IV line을 거치한 뒤 정맥 채혈을 하여 정맥 내 혈액가스 분석을 하였다. 깊은 진정 상태에서 전체 환자의 평균 pH는 $7.36{\pm}0.06$으로 측정되었다. $PvCO_2$는 전체 환자에서는 평균 $48.8{\pm}8.50mmHg$로 측정되었다. $HCO_3{^-}$는 전체 환자에서 평균 $27.2{\pm}3.0mmol/L$로 측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치과 진료시 세보플루란을 이용한 흡입 진정에 대한 체내 산 염기 반응은 비교적 안정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