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근로자의 안전

Search Result 61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the effects of safety leadership and trust in leader on safety behavior mediated by workers' involvement and safety knowledge (안전 리더십과 리더 신뢰가 근로자 참여 및 안전 지식을 매개로 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Jung-hoon Lim;Hyoung-Yong Lee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9 no.3
    • /
    • pp.103-123
    • /
    • 2023
  •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ers' safety behavior and safety leadership, trust in leader, workers' involvement, and safety knowledge in the enterprise, and analyzed the role of the factors to identify and analyze factors that enhance workers' safety behavior that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major accidents in the enterprise. When industrial accidents occur, companies have to bear huge loss costs due to direct costs of compensating the victims and indirect costs such as human loss, material loss, production loss, and time loss.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nagerial safety leadership and workers' trust in leader on safety behavior through the mediation of workers' involvement and safety knowledge among production, technical, and labor worker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271 manufacturing workers using SPSS and PLS. The results showed that safety leadership and trust in leader can lead to workers' involvement and have a positive effect on workers' safety knowledge acquisition, which can lead to workers' safety behavior.

Empirical Study of 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 to Increase Construction Disaster Prevention Effect - Centered on Construction Machinery (건설재해 예방 증대를 위한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실증연구 - 건설기계 중심)

  • Choi, Seu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57-158
    • /
    • 2023
  • 본 연구는 건설기계에 의한 협착 및 충돌재해의 예방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중 건설기계 근접 방지시스템의 재해예방 효과를 분석하여 그 안전성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건설기계 중 재해다발 및 위험성이 높은 굴삭기를 대상으로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의 유무에 따라 근로자(1,000명 기준)의 행동 변화를 라이다 센스 장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근로자-건설기계와 최단 이격거리, 위험구역 내 근로자의 체류시간, 위험구역 주변 근로자의 이동 경로 및 체류시간에 따른 근로자의 분포도 등 근로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한 결과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을 설치한 건설기계가 미설치한 건설기계보다 근로자와의 이격거리 확보와 위험구역내 체류시간을 단축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는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이 건설기계와 관련한 협착 및 충돌 등에 의한 재해로부터 근로자의 안전성을 확보한 결과라 분석되었다.

  • PDF

PRECEDE factors associated with workers' participation in safety and health education by business size in Korean manufacturing sector (사업장 규모별 제조업 근로자의 안전보건교육 참여도와 관련된 PRECEDE 요인)

  • Park, Kyoung-Ok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 /
    • v.19 no.2
    • /
    • pp.11-29
    • /
    • 2018
  • 목적: 산업장 안전보건교육에서 근로자의 자발적인 참여는 그 효과와 관련된 핵심적인 도전과제이다. 본 연구는 PRECEDE 모델을 중심으로 일부 제조업 사업장 근로자의 안전보건교육 참여도와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방법: 전국 133개 제조업체의 450명(50인 미만 사업장 근로자 160명, 50인 이상 사업장 근로자 290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과 함께 산업재해 및 안전보건교육과 관련된 역학적, 교육적, 생태학적 특성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PRECEDE 특성 중 대규모 사업장 근로자의 사내 안전보건교육 관련 교육.생태학적 여건이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보다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의 사내 안전보건교육 참여도와 관련된 PRECEDE 특성은 소규모 사업장에서는 안전보건교육 담당자에게 필요한 연수교육요구도, 안전보건교육을 위한 사회적 지지, 전체적인 사내 안전보건관리 수준이었는데, 사업장 규모 50인 이상의 사업장에서는 근로자의 연령, 사내안전보건교육 효능감, 사내교육을 위한 사회적 지지도, 사내 안전보건교육담당자의 교육역량이었다. 결론: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의 사내 안전보건교육 참여도와 관련된 요인은 주로 조직 수준의 특성이었는데 반해(사내교육을 위한 환경적, 사회적 지지), 50인 이상 사업장에서 유의미한 특성은 주로 개인 수준의 특성으로(안전보건교육 효능감, 사내교육담당자의 교육역량) 사업장 규모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를 기반으로 사업장 규모에 따라 차별화된 사내 안전보건교육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자랑스러운 안전인 - 근로자의 안전이 가족사랑의 시작 - 5월 '산재예방 달인'으로 선정된 (주)앤피티 양재우 회장

  • Im, Dong-Hui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75
    • /
    • pp.18-19
    • /
    • 2012
  • "안전이라는 것은 백 번, 천 번 읊어봐야 아이들한테 공부하라는 잔소리와 다를 바 없습니다. 근로자의 입장에서 위험한 요소는 무엇인지, 다칠 수 있는 위험한 것은 없는지 직접 살피고 하나하나씩 잘못된 부분을 고쳐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근로자와 함께 소통하고 근로자의 눈높이에서 함께 할 때 안전에 대한 공감대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근로자가 43명인 소규모기업(전기도금업) (주)앤티피를 운영하면서 사업장을 안전한 일터로 가꾸어나가고 있는 양재우(57세) 회장의 신념이다. 양재우 회장은 안전보건에 대한 남다른 소신과 열정으로 대기업 못지않은 안전보건 투자를 하고 있다. 또 특유의 '감성 안전경영'으로 작업환경의 개선과 근로자의 안전의식을 높이면서 (주)앤피티를 2008년부터 현재까지 1,500일 무재해를 이끌었다. 이러한 노력으로 양 회장은 고용노동부가 선정하는 5월의 산재예방 달인을 수상하게 됐다. 최고경영자로는 처음으로 산재예방달인을 수상하게 된 것이다. 각계의 안전보건관련업무 종사자 중 산재예방에 기여한 사람을 선정하여 시상하는 제도인 산재예방 달인. 달인이라는 명성에 걸맞은 양재우 회장의 안전관리 노력을 한번 살펴봤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on the Promotion of Safety and Health of Workers in Construction Sites (건설현장의 안전관리 개선사항이 근로자의 안전보건 증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Duck Hee;Park, Jong Young;Youm, Hie Sa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7 no.3
    • /
    • pp.568-578
    • /
    • 2021
  • Purpose: T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provisions of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and the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and to propose measures to prevent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by seeking to promote safety and health of workers through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at construction sites.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construction sites with more than 50 permanent workers (5 billion won in construction amount).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conducted using the JAMOVI statistics program and based on objective data. Resul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participation of workers in safety and health activities has the highest impact on the promotion of safety and health of workers. Conclusion: In order to promote safety and health of workers at construction sites, compliance with safety and health rules of workers is required and improvements should be made to allow workers to participate in safety and health activities.

보호구 미착용시 과태료 부과 - 보호구 올바른 선택과 사용방법

  • Korea Environmental Engineers Federation
    • Environmental engineer
    • /
    • v.22 s.229
    • /
    • pp.78-81
    • /
    • 2005
  • 지난 6월 1일부터 사업주가 안전모 · 안전대 · 안전화를 지급하고 착용토록 했으나 이를 착용하지 않은 근로자에게는 1차 경고 없이 현장에서 즉시 5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만약 사업주가 보호구를 지급하지 않아 근로자가 이를 착용하지 못했다면 근로자에게 과태료를 부과할 수 없으며, 사업주에게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노동부가 이처럼 근로자에게 즉시 과태료를 부과키로 한 것은 지난해 사망사고 분석 결과 564명(전체의 52.8%)이 추락이나 낙하 · 비래로 인해 사망했고, 이런 사망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안전모 · 안전대 착용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이번 FOCUS에서는 근로자의 안전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보호구에 대해서 알아본다.

  • PDF

Development of a Parts Evaluation Framework Using a Construction Site Digital Platform (건설현장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 Shin, Yeon-Cheol;Moon, Yoo-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01-102
    • /
    • 2023
  •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가 전체 산업재해의 약 20~30%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위험성평가를 통해 위험을 감지하고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장의 모든 관리자 및 근로자들이 참여하고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근로자들의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문화를 형성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 개발에 있다. 이를 통해 종합적인 안전관리를 실현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며, 근로자의 안전의식을 높이고 안전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여 건설현장에 적합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 프레임워크를 통해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문화를 형성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과 안전사고 미연에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가능하다.

  • PDF

Development of a Demolition Construction Risk Assessment Manual (해체공사 위험성평가 매뉴얼 개발 연구)

  • Hyung, Sung-Han;Jang, Won-Jun;Lee, Moon-Bae;Moon, Yoo-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93-94
    • /
    • 2023
  • 해체공사는 작업의 특성상 단기간에 이루어지며, 해체공사 현장에 투입되는 근로자는 일용직 근로자가 대부분으로 안전사고의 비율이 높다. 사업장 위험성 평가에 관한 지침에는 위험성 평가시 근로자를 참여토록 하고 있으나 해체현장의 특성상 근로자가 참여한다고 하여도 위험요소를 파악할 역량이 부족할 따름이다. 또한 기존의 해체공사 안전관리 매뉴얼은 구조안전성 확보를 위한 매뉴얼로 해체 근로자의 안전을 위한 매뉴얼은 없는 실정으로, 근로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위험성 평가 매뉴얼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CSI)의 해체 및 철거공사의 사고사례를 분석하였으며, 해체 및 철거 사고시 발생한 주요 위험요소를 도출하여 작업 공종별로 유해·위험요인의 파악을 손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해체 현장 규모에 따라 대규모 현장은 빈도·강도법, 중·소규모 현장은 체크리스트법을 활용하여 위험성을 결정하고 감소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매뉴얼을 구성하였다. 잔여 위험에 대해서는 관리카드를 만들어 해체공사 완료시까지 관리하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afety Management of Vulnerable Workers in the Construction Site by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IPA) (IPA분석을 통한 건설현장 취약근로자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 Lee, Munho;Yoon, Younggeun;Oh, Taekeu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5
    • /
    • pp.723-728
    • /
    • 2022
  • Most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are occurring in vulnerable groups such as new workers, foreign workers, and elderly workers. These vulnerable workers often lead to accidents due to the lack of awareness of risk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accident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and manage vulnerable workers.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level of safety awareness and safety management priorities for vulnerable workers through IPA analysis. New workers should be able to adapt to the field as soon as possible, and foreign workers were found to need frequent check-ups due to language communication problems. In the case of older workers, it was analyzed that it was necessary to check their health and to check whether they were performing other tasks than the prescribed ones.

Check system for wearing hard hat with wireless sensor network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안전모 착용 확인 시스템)

  • Jang, Mun-Suck;Yeom, Mun-Jin;Song, In-Yong;Kwon, Oh-Sang;Lee, Eung-Hyck;Choi, Sang-Ba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0a
    • /
    • pp.209-21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해 근로자의 안전모 턱끈 착용을 도와주고 안전관리 감독자가 쉽게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는 전자식 안전모 착용 확인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안전모 착용을 확인하기 위해 마그네틱 근접 센서를 안전모 턱끈에 장착하여 안전모 착용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424.700MHz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 모듈을 개발하여 안전모의형에 장착하여 센서 노드(Sensor Node)를 구성하였으며, 메쉬 토폴로지(Mesh Topology)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중앙 관리실에서 근로자의 상황 인지를 위한 안전모 확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으로 인하여 근로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안전 사고에서 근로자의 부상 및 인명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건설용 엘리베이터 안전 상황 인지, 타워크레인 안전 문제등의 시스템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