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로유무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6초

여성결혼이민자의 근로유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응을 매개로 -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Mental Health in a Sampl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 Mediating Effect of Social Adaptation -)

  • 배경희;서연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4호
    • /
    • pp.183-202
    • /
    • 2011
  •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근로유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어사용능력과 거주기간을 사회적응 매개변수로 하여 그 영향력을 살펴본 연구이다. 서울과 인천,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총 247명의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분석방법은 빈도 및 기술분석과 매개 효과 검증을 위한 경로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여성결혼이민자의 근로유무는 정신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응은 근로유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결혼이민자의 근로활동은 사회적응을 높이고 이를 통해 정신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근로활동지원 및 언어능력 향상을 위한 사회적 지원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하겠다.

  • PDF

건설재해 예방 증대를 위한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실증연구 - 건설기계 중심 (Empirical Study of 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 to Increase Construction Disaster Prevention Effect - Centered on Construction Machinery)

  • 최승용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7-158
    • /
    • 2023
  • 본 연구는 건설기계에 의한 협착 및 충돌재해의 예방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중 건설기계 근접 방지시스템의 재해예방 효과를 분석하여 그 안전성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건설기계 중 재해다발 및 위험성이 높은 굴삭기를 대상으로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의 유무에 따라 근로자(1,000명 기준)의 행동 변화를 라이다 센스 장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근로자-건설기계와 최단 이격거리, 위험구역 내 근로자의 체류시간, 위험구역 주변 근로자의 이동 경로 및 체류시간에 따른 근로자의 분포도 등 근로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한 결과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을 설치한 건설기계가 미설치한 건설기계보다 근로자와의 이격거리 확보와 위험구역내 체류시간을 단축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는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이 건설기계와 관련한 협착 및 충돌 등에 의한 재해로부터 근로자의 안전성을 확보한 결과라 분석되었다.

  • PDF

대학 재학 중 근로 경험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s of Work Experience during Higher Education on Employment)

  • 송영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87-293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 재학 중 인턴 경험과 근로 경험의 전공일치도가 대졸자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2013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 재학 중 근로 경험 및 인턴 경험 유무에 따라 구분된 집단 간 취업과 정규직 취업 분포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인턴 경험과 근로 경험의 전공일치도가 대졸자의 취업 및 정규직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학 재학 중 근로 경험 및 인턴 경험 유무에 따른 집단 간 취업과 정규직 취업 분포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증을 실시하였고, 인턴 경험과 근로 경험의 전공일치도가 대졸자의 취업 및 정규직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근로 경험 및 인턴 경험 유무에 따라 구분된 집단 간 취업 및 정규직 취업 분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 재학 중 인턴 경험과 근로 경험의 전공일치도가 취업 및 정규직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본 연구 결과, 인턴 경험이 정규직 취업에 미치는 영향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논의하면, 대학 재학 중 인턴 경험이 활성화되도록 지원을 강화하며, 전공과 직무 일치 비율의 향상을 도모하고, 직무역량을 중시하는 능력중심 채용이 확대되도록 관련 제도와 정책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노인빈곤 결정요인 분석 (Determinant of the Elderly Poverty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 박미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7호
    • /
    • pp.63-69
    • /
    • 2018
  • 본 연구는 6차 년도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노인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건강상태와 같은 노인의 개인적 특성, 거주지역, 가족 구성 형태와 같은 노인가구의 특성, 근로소득 유무, 임금근로자 여부와 같은 노인 근로적 특성, 그리고 공적연금수급 여부, 사적연금수급 여부, 사회보장급여수급 여부, 부동산 소득 여부, 개인연금형태 수입 여부와 같은 은퇴 후 근로 외의 발생소득 특성을 노인빈곤 변인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6차 년도 조사대상 5,254가구 중 65세 이상 그리고 노인가구를 분류한 후 결측값이 포함된 것을 제외한 총 3,418명이 분석에 활용하였다. 의사결정나무분석 결과, 노인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변인은 근로소득 유무로 나타났다. 근로소득이 없는 빈곤노인의 경우 공적연금수급 여부, 교육수준, 거주지역이 그리고 근로소득이 있는 빈곤노인의 경우 임금근로자 여부와 성별이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런 분석결과를 토대로, 노인빈곤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Senior re-employment 노동환경 조성, 무료 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제공, 공적연금 수급 확대 및 미래연금수급 안전성 보장 및 강화 차원의 현행 연금제도 개선 필요성, 여성 노인 우선적 고용 및 임금근로 조건에 의한 노인 고용 업체 인센티브 제공 등을 제안하였다.

고령화 인력의 직무 특성, 직무만족도, 그리고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국내 상용직 근로자와 비상용직 근로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Job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and Life Quality of Aging Workfor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 임승준;이정호;류춘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99-211
    • /
    • 2021
  •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직면하여 기업 및 사회의 고령화 인력에 대한 활용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이들 삶의 질적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이 수집한 고령화 6차 패널 자료를 통해 국내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이들 연구 문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선, 고령화 인력의 자발적 복리후생 유무, 임금 수준, 법정 복리후생 유무, 관행적 퇴직 권유 수준, 그리고 직무적합도는 직무만족도와 삶의 질 간 매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상용직 근로자의 임금 수준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삶의 질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비상용직 근로자의 임금 수준은 직무만족도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비상용직 근로자의 직무만족도는 임금 수준과 삶의 질 간 매개하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으로 하여금 고령화 인력의 활용을 비용적 측면이 아닌 사회적 가치의 향상으로 인식할 필요성을 제시하며, 국내 기업과 정부의 정책입안자에게 국내 고령화 인력의 활용방안과 상용직 근로자와 비상용직 근로자의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일부 근로자들의 구강건강관리행태 및 인식 조사 (A Study on the Oral Health Care and Oral Health Awareness of Some Laborers)

  • 홍민희;김윤신;정미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545-2550
    • /
    • 2009
  • 본 연구는 화성에 소재한 K자동차 근로자 220명과 부평에 소재한 D자동차 근로자 180명을 대상으로 구강건강관리행태 및 인식에 대한 조사.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다. 잇솔질 횟수 조사 결과 하루에 잇솔질을 3회 하는 근로자는 44.0%로 가장 많았으며, 흡연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x^2$=19.00, p<.01). 근로자들의 구강위생용품 사용 유무 조사 결과 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는 근로자가 41.3%으며,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x^2$=9.20, pp<.01). 근로자들이 치석제거를 한 경험이 있는지 조사한 결과 치석 제거를 두 번 이상 한 근로자가 37.3%로 가장 많았으며, 성별($x^2$=8.60, p<.05), 연령($x^2$=20.07, p<.01), 학력($x^2$=11.88, p<.01), 전신질환 유무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x^2$=8.19, p<.05). 근로자들의 구강 내 질환 조사 결과 치아가 썩은 근로자는 27.8%로 가장 많았으며, 성별로는 남성에 비해 여성이 치아가 썩었거나 잇몸이 부었다고 조사되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x^2$=13.65, p<.05).

정년제도와 중고령자 은퇴결정요인 분석 (Mandatory Retirement and the Determinant of Aged Workers' Retirement)

  • 조동훈
    • 노동경제논집
    • /
    • 제37권3호
    • /
    • pp.101-12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패널 6차년도 부가조사 50세 이상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은퇴결정과 은퇴연령, 그리고 은퇴계획에 대한 결정요인을 개인별 속성과 은퇴직전 주된 일자리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사업장에서 시행되는 정년제도의 유무와 정년제도가 규정하는 정년연령과 은퇴와 관련된 근로자의 의사결정과의 관계를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정년제도의 존재 유무보다는 실제로 정년제에서 규정된 은퇴연령의 증가가 근로자의 실제 은퇴시점과 은퇴계획을 늦추는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시행될 정년연장제도가 노동시장에 미칠 효과를 추측해 볼 수 있다.

  • PDF

노동조합 임금효과의 변화 : 1988~2007 (The Changes Over Time in Union Wage Premium in Korea: 1998-2007)

  • 김장호
    • 노동경제논집
    • /
    • 제31권3호
    • /
    • pp.75-105
    • /
    • 2008
  • 본고는 노조 유무별 부문 내부의 임금구조 차이를 고려하여 1988년 이후 20년간 노조의 임금프리미엄과 특징적 변화를 분석했다. 추정된 노조의 임금 프리미엄은 20년간 평균 3.4%이며, 남성의 노조프리미엄은 전체 근로자보다 낮았다. 1997년 이전에는 1.7%였으나 그 이후에는 5.1%로 급증했다. 20년간 노조 임금프리미엄의 추세는 경기역행적이며, 이는 향후 노조 임금프리미엄의 변화를 전망하는 주요한 틀이 될 것이다. 외환위기 이후 노조 유무별 임금격차의 급등은 근로자 및 기업 특성 등 구성적 요소의 변화가 핵심이라는 점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PDF

보청기 사용이 청각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도와 일상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impact of using hearing aids on job satisfaction and daily life satisfaction of hearing-impaired workers)

  • 홍정아;이성대;염동문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67-72
    • /
    • 2013
  • 청각장애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보청기 사용유무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일상생활만족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4차년도 자료에서 근로자 18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보청기 사용 유무에 따라 직무만족도와 일상생활만족도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청기사용 청각장애인의 직무만족도는 일상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각장애인에게 보청기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보조기구이지만, 본 연구에서 사용한 패널자료의 특성상 정보화기기 사용증가와 의사소통지원서비스 확대에 따른 영향요인을 반영하지 못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함의를 결론에서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