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근대 건축 공간

Search Result 10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네덜란드의 근대집합주택(2)

  • Choe, Jae-Seok
    • Korean Architects
    • /
    • no.8 s.424
    • /
    • pp.78-85
    • /
    • 2004
  • 어느 나라보다 공동체 인식의 바탕에 형성된 네덜란드 집합주택은 엄격한 가톨릭 정신과 자연을 극복해야만 하는 절박한 운명이 네덜란드인을 하나로 묶으면서 동시에 집합주택이 도시미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네덜란드인의 기본정신 위에 발전된 집합주택은 이념을 달리 하는 다양한 건축운동, 건축가의 의지와 실험정신, 그리고 예술가와 건축가의 협력 등이 모태가 되어 생성되었다. 역자가 몇 번에 걸쳐 연재할 흐린베르흐(Donald I. Grinberg)의 저서, 'Housing in The Netherlands 1900~1940'(Delft University Press/1982)을 통하여, 네덜란드 근대집합주택을 '근대'라는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시점만이 아닌 도시미와 커뮤니티 그리고 선단적인 집합주거 공간을 파악하는 주요한 단서로서 기대하고자 한다.

  • PDF

네덜란드의 근대집합주택(3)

  • Choe, Jae-Seok
    • Korean Architects
    • /
    • no.9 s.425
    • /
    • pp.72-79
    • /
    • 2004
  • 어느 나라보다 공동체 인식의 바탕에 형성된 네덜란드 집합주택은 엄격한 가톨릭 정신과 자연을 극복해야만 하는 절박한 운명이 네덜란드인을 하나로 묶으면서 동시에 집합주택이 도시미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네덜란드인의 기본정신 위에 발전된 집합주택은 이념을 달리 하는 다양한 건축운동, 건축가의 의지와 실험정신, 그리고 예술가와 건축가의 협력 등이 모태가 되어 생성되었다. 역자가 몇 번에 걸쳐 연재할 흐린베르흐(Donald I. Grinberg)의 저서, 'Housing in The Netherlands 1900~1940'(Delft University Press/1982)을 통하여, 네덜란드 근대집합주택을 '근대'라는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시점만이 아닌 도시미와 커뮤니티 그리고 선단적인 집합주거 공간을 파악하는 주요한 단서로서 기대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ime-space of Thesis in modern arcitecture space - Focus on concept of modem time - (근대 건축공간에서 시공간 개념에 관한 연구 - 근대적 시간의 개념을 중심으로 -)

  • 장세연;이성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Conference
    • /
    • 2001.05a
    • /
    • pp.69-72
    • /
    • 2001
  • We are defined a space as the activities of creating value in harmonic relations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After Industrial Revolution, relations between human and space is changing because of speed and visualization's power in contemporary society. We we known information where is far by means of visualization. There is only difference of speed. Movement in space means the line of vision and circulation. But it is tried to think relations between human and space again in result to experience indirectly. This study aims at the analysis of expression of the modem Architecture space in Giedion' Space, Time, Architecture and aesthetic systems applied to it. On the basis of that ,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of Bergson' consideration from Modern Architecture about movement.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6)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2 s.382
    • /
    • pp.67-73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Placeness and Memory of Modern Space With Focus on , , (근대공간의 장소성과 기억에 관한 연구 <서울역>, <온양민속 박물관>, <옥포조선소>를 중심으로)

  • Bae, Yoonho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 no.2
    • /
    • pp.1-19
    • /
    • 2015
  • The history of modernization of Korea is divided into two folds of the colonial era in the 20's and the economic development era in the 60's. Most of the spaces built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were public spaces developed by the drive of the government. These spaces of modernization are functionality-oriented public places of production and at the same time, and they are the spaces of national power to symbolize the identity of national authorities. Along with changes in the society, modern spaces were reduced down to monument buildings without functionality and this requires new definition to renew the identity of modern spaces. Small stations, power plants, mines, warehouses, abandoned factories, and etc... the study has paid attention to the process of changing thought,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modernization, the relations of modern concepts projected in the spaces, framework of modern society, and placeness in the process of framework building and relations of people in the spaces with video records on the process of rebuilding new identity of modern spaces and memories of the spaces. The relations of modern spaces and memory were explored in < Seoul Station > while the relations between modern spaces and records and place identity were explored in < Onyang Folk Museum > and < Okpo Shipyard > respectively. In the relations between space identity and memory in each space, the ironic relations of power in modern spaces (placeness) and personal narrative (memories) were explored with oral narrative and video footage.

한국 주택의 공간구조 변천에 대하여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평면분석

  • No, Hyeong-Rae
    • Korean Architects
    • /
    • no.2 s.382
    • /
    • pp.60-66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A Planning of Space on the Multiple Networks of Light, Form, Material in Human-led Aalvar Alto's Works considering Social Meaning (빛·형태·재료 네트워크 측면에서의 공간계획 특성 -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인간중심의 알바알토 작품분석)

  • Lee, Kum-Ji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5 no.1
    • /
    • pp.121-132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eaning of architectural space of Alvar Aalto, which is based on architectural theories of periodic flows and the form of the space with the various elements applied to the works. Method: It analyzes the interrelationships of light, form and material in triangular composition by synthesizing the architectural vocabulary of Alvar Aalto from the viewpoint of modernism. Results: The architectural works of Alvar Aalto are centered on the combination of light, form, material, and space diversity, emphasizing social awareness and linking the human scale with the building environment. Conclusion: The structure of the Alvar Aalto is a synonym of nature and culture, society and individuals, standardization and diversity, universality and locality, intellectual and emotional, scientific and human psychological. It is possible to apply reciprocity elements to architectural spaces in a comprehensive manner while being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erms of rationality and immediacy.

Characteristics of Spatial Formation of Foreign and Domestic Settlement in Yokohama during early Open Port Area (개항초기 요코하마 내·외국인 거류지 형성과 공간적 차별성)

  • Kim, Jun;Hong, Ji-Wan;Kim, Dong-Su;Yoo, Jae-Woo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 /
    • v.34 no.3
    • /
    • pp.35-4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formation proces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nd largest open port of Foreign Settlement in Yokohama, Japan. Based on the reference records and maps, we traced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example of opening the park and introduction of technology, industrial & infra-structural facilities. And fou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formation process of port city Yokohama as the modernized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public space of the port open space; second, the difference of the road and parcel systems between the Japanese and the foreign settlements; and third, the meaning of the port open space as the space of separation in that times. These experiences about the open port in Yokohama could be worked as the basic for domestic and colonial city plan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