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근거 이론

Search Result 2,935,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nalysis of Visual Culture Contents -Focusing on the Analytic Methodology for Visual Fun (시각 문화콘텐츠 분석에 관한 연구 -시각적 재미의 분석 방법론을 중심으로)

  • Park, Young-W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6
    • /
    • pp.170-181
    • /
    • 2012
  • The study on the analytical and productive methodolgy of visual culture contents is meaningful because cultural contents are regarded as a national growth industry. The fundamental notion of cultural contents is researched based on the notion of visual culture, and important factors of the fun are analyzed as a creative motive of visual culture contents. So this paper provides anaytical methodologies for the fun in visual culture contents, which are based on semiotic theories of Charles Morris, Roland Barthes and Roman Jakobson. These analytical matrix can be references for the study of the mechanism of fun and the basic theory for using fun effects in the visual culture contents.

Efficient Touch Points Study for IMC : (효율적인 IMC를 이루기 위한 접점 분석연구 : MP3 플레이어 사례 연구)

  • Moon, Seung-Jun;Yang, Jung-Gu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9 no.5 s.67
    • /
    • pp.303-31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oretical basis of touch point analysis model in terms of an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using one specific case study. Results of previous studies have shown several weaknesses. Howev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vercome such a weakness. In order to perform this case study, one specific MP3 player was chosen with a market situation analysis. Compared to previous practical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improved in that this model suggested a theoretical basis dealing with synergy effects as well as a correct understanding in consumer's purchase process. Based on the outcome of this study, we hope to see other similar studies which can be of help to the practical efficiency in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 PDF

The Strategy of Designing for Web Coursewares based HCI (HCI 이론에 근거한 웹 코스웨어 설계 방안)

  • Lee, Jeong-Hee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1a
    • /
    • pp.301-306
    • /
    • 2006
  • 본 논문의 목적은 HCI 이론에 근거하여 교육용 웹 코스웨어 개발에 중요한 요소인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에 기반한 연구를 통해 HCI 기반의 효율적인 웹 코스웨어의 설계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HCI가 최종적으로 달성하고자하는 목표는 해당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최적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며 시스템 개발에서 최적의 경험은 유용성(usefulness), 사용성(usability), 감성(affect)의 조건에 있다. 교육용 웹 코스웨어를 설계할 때 HCI 이론의 중요한 요소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고려하고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설계 지침을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편리하고 즐겁게 학습에 임할 수 있는 웹 코스웨어 설계의 기초자료로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일상어휘를 기반으로 한 선물 가격 예측모형의 계발

  • 김광용;이승용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1999.06a
    • /
    • pp.291-300
    • /
    • 1999
  • 본 논문은 인공신경망과 귀납적 학습방법 등의 인공지능 방법과 선물가격결정에 대한 기존 재무이론을 사용하여 일상어취로 표현되는 파생상품 가격예측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모형의 개발은 1단계로 인공신경망이나 기존의 선물가격결정이론(평균보 유비용모형이나 일반균형모형)을 이용하여 선물 가격을 예측한 후, 서로 비교 분석하여 인공신경망 모형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귀납적 학습방법중 CART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If-Then 규칙을 생성하였다. 특히 실용적 측면에서 선물가격의 일상어휘화를 통한 모형개발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시도하였다. 이러한 선물가격 예측모형의 유용성은 일단 If-Then 규칙으로 표현되어 전문가의 판단에 확실한 이론적인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 활용화 될 경우 매우 유용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선물가격 예측모형의 정확성은 분석표본과 검증표본으로 나누어 검증표본에서 세가지 기본모형(평균보유 비용모형, 일반균형모형, 인공신경망 모형)과 각 모형의 귀납적 학습방법 모형의 다른 3가지 어휘표현방법 3가지를 모형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공신경망모형은 상당한 예측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특히 CART를 기반으로 한 일상어취 기반의 선물가격예측 모형은 예측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the Minimum Ignition Energy(MIE) and the Temperature (최소발화에너지와 온도의 관계)

  • 하동명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1 no.2
    • /
    • pp.3-10
    • /
    • 1997
  • Attempts are being made to investigate temperatures dependence of minimum ignition energy (MIE) based on concept of quantity of heat and thermal ignition theory. Regression equations for predicting MIE by means of temperature variations on the basis of statistical and mathematical methods are proposed. This study is undertaken to learn what proposed method is satisfactory hydrocarbons(propane and pentane). The proposed method has been tested and compared sucessfully with previously reported data in various journal.

  • PDF

Service Quality at Sales Encounter: Need Hierarchy Model (판매접점에서 서비스품질의 욕구위계모델에 관한 연구)

  • 전인수;김은화
    • Asia Marketing Journal
    • /
    • v.6 no.1
    • /
    • pp.1-16
    • /
    • 2004
  • 서비스품질의 차원과 위계에 대한 논의가 최근 들어 늘어나고 있다. 그 이유는 서비스품질, 고객만족, 고객의 긍정적 행동의향, 수익성 간의 선순환 때문이다. 차원모델은 SERVQUAL과 SERVPERF 모델이 있고 위계모델은 Grönroos(1984)모델과 미국학자들이 개발한 모델이 대표적이다. 최근들어 이들을 결합한 하이브리드모델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하이브리드모델은 차원과 위계를 결합하여 일반성은 높지만 위계를 정하는 이론적 근거가 분명하지 않다. 본 연구는 욕구위계이론 중 Herzberg(1968)의 두 요인이론에 근거하여 서비스품질의 위계모델을 제시하려 한다. 이를 위해 CIT로 판매접점에서 고객이 느끼는 결정적 사건(critical incidents)을 조사하였다. 먼저 중복요인과 단독요인으로 나누고 각각을 다시 불만족중심과 만족중심으로 나눌 때 이들 결정적 사건이 잘 분류되었다. 분류결과 신뢰성은 불만족중심 중복요인, 응답성은 만족중심 중복요인, 공감성은 단독만족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서비스품질의 욕구위계모델에 따르면 신뢰성, 응답성, 공감성의 순으로 서비스품질이 중요하다. 확신성과 유형성은 따로 분류되는 결정적 사건이 없어 만족, 불만족 요인을 도와주는 조절요인으로 볼 수 있다.

  • PDF

A Grounded Theory Approach on Peoples' Adaptation Experience with Fibromyalgia Syndrome (섬유근통증후군 환자의 질병 적응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Jeong, Chu-Yeong;Kim, Myung-He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12
    • /
    • pp.381-393
    • /
    • 2016
  • This was a qualitative study to explore and better understand the adaptation experience and processes of peoples with fibromyalgia syndrome (FMS), as well as to develop a substantive theory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There were 13 patients (12 females and 1 male) who received FMS treatment from Rheumatic Medicine outpatient department of one general hospital.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between January and May of 2014. Transcribed interview contents were analyzed by the grounded theory method of Corbin and Strauss (2008). As a result, a total of 98 concepts, 26 sub-categories, and 10 categorie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open coding process. The process of adaptation experience showed 4 steps: perception of uncertainty and limited condition, evaluation of self-control possibility and determinations of expectations of life, searching and trying of strategies, as well as self-regulation. The 4 types of adaptation experience were expansionary, complacently, effusively and withering. The 'protective self-regulation' theory was derived from the core category of 'learning to self-regulation method'. Patients with FMS has repeatedly attempted these strategies of protective self-regulation in order to gain stability from uncertainty and limited condition of the diseas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patients and families which has appropriate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in accordance with the types of adaptation.

퍼지이론의 소개 및 응용

  • 홍갑표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3 no.4
    • /
    • pp.5-9
    • /
    • 1990
  • 오늘날 많은 공학적인 문제들이 지난 수십년간 발전되어온 확률이론에 근거하여 점차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그러나 공학분야에서의 불확실성을 확률론에 의거하여 해결하는 방법이 많은 분야에서 발전을 가져왔지만, 정확히 규명되지 않은 분야에서의 불확실성의 취급에는 확률론과 같은 전통적인 방법만으로는 해결하기 곤란한 분야가 있다. 퍼그리(Pugsley)는 이러한 불확실성을 "Engineering Climatoloty"라고 표현하였으며, 기술자의 경험과 판단에 의하여 평가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본 글에서는 퍼지이론의 기본개념을 설명하고, 퍼지이론의 응용에 관하여 고찰해 보기로 한다.

  • PDF

카타스트로피 이론과 구조 불안정 해석

  • 김두기;양영순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3 no.4
    • /
    • pp.14-23
    • /
    • 1990
  • 구조물의 초기결함 민감도해석과 관련하여 카타스트로피 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카타스트로피 이론은 현재까지 수행된 구조불안정현상의 분류에 대한 일반화된 수학적 근거를 제공해 준다. 둘째, 카타스트로피 이론에 의하면 구조물에서의 초기결함 민감도 특성을 위상수학적인 방법론에 의해 적은 계산량으로 구할 수 있다. 셋째, 복잡한 좌굴현상 예를 들면 Modal Interaction, Compound Buckling의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좌굴점근처에서의 분기특성, 초기결함 민감도 특성을 효과적으로 규명하는 모델로서 고차카타스트로피를 이용할 수 있다.

  • PDF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확률영역에 관한 문항반응 분석

  • Lee, Gang-Seop;Kim, Jong-Gy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2 s.19
    • /
    • pp.239-250
    • /
    • 2004
  • 수학적 힘의 함양과 문제해결력의 신장을 위한 수학교육에서 확률영역은 중요한 학습소재임에도 불구하고, 확률영역은 어려운 것으로 고착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확률영역의 어떤 부분을 어려워하고 이해하기 힘들어하는지를 구체적 문항분석을 통하여 알아봄으로서 교수-학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이를 위하여, 지난 10년간 출제되었던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확률영역 16문항을 고등학교 학생 220명에게 실시하고, 고전검사이론과 문항반응이론울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고전검사이론에서는 신뢰도와 변별도를 측정하였고, 문항반응이론에서는 Rasch 1-모수 문항반응모형에 근거한 BIGSTEP을 사용하여 내적타당도와 난이도를 측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