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근거이론적 연구

Search Result 2,07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adults discharged from child care facilities adapting their own realities. - Grounded Theory Approach (아동양육시설 퇴소 성인들의 세상을 품고 살아가기 : 근거이론(Grounded Theory) 연구 접근)

  • Hwang, Suyo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9 no.1
    • /
    • pp.297-334
    • /
    • 2018
  • This study focused on accomplishment of successful life development after discharge a child-care facility even though they had a variety of diversity in hard environment on their own past. Furthermore the research analyzed expression progress and detail information of resilience effect on twenty healthy members of society, who lived theirselves for more than 10 years at out of chid-care centers, based on grounded theory methodology participants. As written in the result section of the study, using the paradigm model analysis showed that it was caused by 'Practical planning for the future', 'Organization of positive meaning' and 'Understanding in another's shoe'. The contextual condition appeared as 'Self examination, 'Seeking anchor as ontology' and 'Natural intimacy among family members'. The centralization phenomenon came in 'Living philosophy of internal stabilities'. The intervention condition appeared as 'Rise up through the world' and 'faith all the world'. The action-interaction showed up as 'Strict self-discipline' and 'Growing up own family'. The consequence appeared as 'Making social family' and 'Being a someone's social mentor'. This research shows discussion in depth based on above analyzed result.

Grounded Theoretical Approach of Working Moms' Work and Family Balance Experien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코로나 19 시기 워킹맘의 일과 가정의 양립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Sohn, Youngmi;Hwang, HyeYoung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28 no.3
    • /
    • pp.441-481
    • /
    • 2022
  •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experience related to the work-family balance of working moms during the COVID-19 period.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recruiting 17 part-time and full-time working moms with at least 1 child under the age of 1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using the method of grounded theory, 106 concepts, 50 subcategories, and 24 categories were derived. The central phenomenon that working moms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work and family balance were "physical and emotional exhaustion", "anxiety and guilt about not doing well in situations of role conflicts between various roles", "job crisis experienced by working mothers" and "deepening family conflicts". The process of working moms overcoming the central phenomenon and achieving work-family balance was identified as five stages: the 'shock and confusion stage', the 'struggling stage', the 'actively coping and making compromise stages', the 'acceptance stage', and the 'post-traumatic growth stage'.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on the work-family balance of working mothers during the COVID-19 period was dealt as well as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Processes of Voluntary Services Delivered by Korean Undergraduates: An Approach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대학생의 자발적 봉사활동에 대한 질적 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 Hu, Sungho;Jung, Taeyun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17 no.3
    • /
    • pp.287-30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hases and paradigms related to voluntary services offered by undergraduates and the processes in which voluntary services are implemented. For this, interviews for 23(men: 10, women: 13) undergraduates were conducted from Aug., 2008 to Apr., 2009 were conducted and the data collected from those interview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Grounded Theory. Main analysis procedure is known as codings(open coding, axial coding, selective coding). This analyses produced 119 concepts, 41 subcategories, and 16 categories in open coding. Then, axial coding was conducted to organize the basic framework of generic relationships among psychological motivation, social context, personal perception, practical action, psychological response, and psychological consequence. Core essence is "Volunteer types are categorized simple practice type, self-serving type, and community type." Finally, undergraduate volunteers were explained in 3 types(simple practice, self-serving, and community) on the basis of paradigm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further research and limitation.

  • PDF

Study on the experience of defecting North Korea women in South Korea : Grounded Theory (북한이탈여성의 자녀양육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접근)

  • Hong, Na-Mi;Lee, In-Jeong;Kim, Go-Eun;Park, Keun-Hye;Choi, Yeo-Hee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1 no.1
    • /
    • pp.307-343
    • /
    • 2010
  • This study, based on grounded theory, explores the child-rearing process of defecting North Korea women in South Korea.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defecting North Korea women who had children. With the permission of the participants,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with the digital recorder and transcribed by the researchers. Data were collected with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until they were saturated. The interviews were analysed according to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used in grounded theory. The study derived 86 concepts, 31 subcategories and 11 categories in open coding. A core category was 'enduring hardships with hopes for children's success ' in selective coding. And The child-rearing process of the defecting North Korea women takes 'stage of entry', 'stage of confrontation', 'stage of struggle', 'stage of adjustment' and 'stage of hope for children's success'.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be useful in seeking an effective social welfare intervention plan for successful child-rearing of defecting North Korea women in South Korea.

A Study of Traffic Flow Characteristics for Estimating Queue-Length in Highway (고속도로 대기행렬 길이 산정모형 개발을 위한 연속류 특성 분석)

  • 노재현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297-297
    • /
    • 1998
  • 고속도로의 교통혼잡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혼잡지점 상류부의 진입교통량을 제어해야 한다. 이를 위한 효과적인 램프미터링 운영전략이나 고속도로 교통정보제공방안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혼잡영향권(대기행렬길이)에 관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가 반드시 필요하다. 고속도로의 대기행렬길이를 산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충격파이론과 Queueing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충격파 이론을 포물선형의 교통량-밀도관계식을 근거로 하고 있어 충격파간에 발생하는 부수적인 충격파를 해석하는 과정이 수학적으로 불가능하여 실질적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음은 이미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 최근에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교통량 밀도간의 관계식을 삼각형으로 가정하고 교통량 대신에 누적교통량을 사용하는 Simplified Theory of Kinematic Waves In Highway Traffic이 개발(Newell, 1993)되었지만, 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대상 고속도로 구간의 교통량-밀도관계식을 규명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사실 실시간으로 밀도데이터를 수집하기란 불가능하다.) Queueing이론에서 제시하는 대기행렬은 모두 대기차량이 병목지점에 수직으로 정렬하여 도로를 점유하지 않는 Point Queue(혹은 Vertical stack Queue)로서 실제로 도로상에 정렬된 대기행렬(Real Physical Queue)과는 전혀 다르다. 이미 입증된 바 있어, Queueing이론을 이용함은 타당성이 없다. 이러한 사실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고속도로 대기행렬길이를 산정할 수 있는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혼잡상태의 연속류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도시고속도로에서 수집한 실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진입램프지점의 혼잡상태에서 대기행렬의 증가 또는 감소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혼잡초기의 대기행렬은 다른 혼잡시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급속한 속도로 증가함. 2. 혼잡초기의 대기행렬의 밀도는 다른 혼잡시기에 비해 비교적 낮음. 3. 위의 두 결과는 서로 관계가 있으며, 혼잡시 운전자의 행태(차두간격)과 혼잡기간중에도 변화함을 의미함. 4. 교통변수 중에서 대기행렬길이를 산정하는데 적합한 교통변수를 교통량과 밀도로 판단됨. 5. Queueing이론에서 제시하는 대리행렬길이 산정방법인 대기차량대수$\times$평균차두간격은 대기행렬내 밀도가 일정하지 않아 부적합함을 재확인함. 6. 혼잡초기를 제외한 혼잡기간 중 대기행렬길이는 밀도데이터 없이도 혼잡 상류부의 도착교통량과 병목지점 본선통과교통량만을 이용하여 추정이 가능함. 7. 이상에 연구한 결과를 토대로, 고속도로 대기행렬길이를 산정할 수 있는 기초적인 도형을 제시함.

  • PDF

The Nature of Flow in Virtual Reality Education: Based on A Grounded Theory Approach (가상현실 교육에서 몰입의 생태: 근거이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 Choi, Sung-Ho;Won, Jong-Se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11
    • /
    • pp.446-46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nature of users' flow experience in virtual reality education services. To this end, we analyz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user's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by applying grounded theory,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11 subjects who were interested in conducting virtual reality education, and conducted interviews after experiments. All of the interviews were documented and configured to construct a paradigm model through the steps of opening coding, axial coding, selective coding. Based on the results, it presents suggestions for future virtual reality education services.

하우징의 가변성 - 디자인의 연구 및 적용(02)

  • Park, Jin-Ho
    • Korean Architects
    • /
    • no.5 s.433
    • /
    • pp.72-78
    • /
    • 2005
  • 지난 몇 년간의 연구와 출간된 글, 그리고 디자인 스튜디오 등 일련의 실험과정을 '하우징의 가변성 - 디자인의 연구 및 적용'이란 하나의 주제로 묶어 연재한다. 근본적으로, 이 연구 및 실험은 두 가지 틀 속에 그 근간을 두고 있다. 첫째는 '이론과 실무'이고, 둘째는 '분석과 종합'이다. 건축 활동에 있어 이론과 실무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우리에게 흔히 '건축10서'라고 알려져 있고 현존 가장 오래된 건축 저서인 비트루비우스의 'De Architectura'의 첫 번째 책, 첫 장 '건축가의 교육에 관하여'에서 비트루비우스는 건축가의 이론과 실무능력의 겸비를 강조하고 있다. 건축 디자인을 함에 있어 구체적이고 체계화된 이론과 그 이론의 디자인으로의 적용을 통한 상호 보완관계를 강조한다. 즉 디자인 작업이란 연구, 분석, 실험 행위로 구성되는 연속 과정을 하나의 전체로 종합시켜 이루어지는 결정체이다. 따라서 건축 디자인은 그 근본이 되는 이론적 지식의 습득과 연구 그리고 디자인으로의 실험적인 적용 및 응용을 통한 상호 보완관계 위에서 전개, 발전되어야 한다. 따라서 디자인 작업이 '이론과 실무'의 상호 보완적인 작업이라는 전제하에 연재를 이어간다. 접근 방식으로는 '분석과 종합'의 변증법적인 통합에 기초한다. 건축 디자인의 형태적 체계를 인식하거나 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분석과 종합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다. 여기서의 분석은 논리적인 사고나 원리에 근거한 디자인을 비교 검증하는 과정으로 해석하고 디자인에 나타나는 어떤 공통 특징을 인식하는 것이고, 이에 의거해 정련하고 개괄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만들어가는 것이 종합이다. 즉, 건축가의 작품의 분석적 작업을 통해 이론과 원리를 추출하고, 이 원리들을 다양한 새로운 디자인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디자인 스튜디오 작업을 통해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방법을 말한다.

  • PDF

하우징의 가변성 - 디자인의 연구 및 적용(01)

  • Park, Jin-Ho
    • Korean Architects
    • /
    • no.4 s.432
    • /
    • pp.75-81
    • /
    • 2005
  • 지난 몇 년간의 연구와 출간된 글, 그리고 디자인 스튜디오 등 일련의 실험과정을 '하우징의 가변성 - 디자인의 연구 및 적용'이란 하나의 주제로 묶어 연재한다. 근본적으로, 이 연구 및 실험은 두 가지 틀 속에 그 근간을 두고 있다. 첫째는 '이론과 실무'이고, 둘째는 '분석과 종합'이다. 건축 활동에 있어 이론과 실무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우리에게 흔히 '건축10서'라고 알려져 있고 현존 가장 오래된 건축 저서인 비트루비우스의 'De Architectura'의 첫 번째 책, 첫 장 '건축가의 교육에 관하여'에서 비트루비우스는 건축가의 이론과 실무능력의 겸비를 강조하고 있다. 건축 디자인을 함에 있어 구체적이고 체계화된 이론과 그 이론의 디자인으로의 적용을 통한 상호 보완관계를 강조한다. 즉 디자인 작업이란 연구, 분석, 실험 행위로 구성되는 연속 과정을 하나의 전체로 종합시켜 이루어지는 결정체이다. 따라서 건축 디자인은 그 근본이 되는 이론적 지식의 습득과 연구 그리고 디자인으로의 실험적인 적용 및 응용을 통한 상호 보완관계 위에서 전개, 발전되어야 한다. 따라서 디자인 작업이 '이론과 실무'의 상호 보완적인 작업이라는 전제하에 연재를 이어간다. 접근 방식으로는 '분석과 종합'의 변증법적인 통합에 기초한다. 건축 디자인의 형태적 체계를 인식하거나 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분석과 종합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다. 여기서의 분석은 논리적인 사고나 원리에 근거한 디자인을 비교 검증하는 과정으로 해석하고 디자인에 나타나는 어떤 공통 특징을 인식하는 것이고, 이에 의거해 정련하고 개괄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만들어가는 것이 종합이다. 즉, 건축가의 작품의 분석적 작업을 통해 이론과 원리를 추출하고, 이 원리들을 다양한 새로운 디자인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디자인 스튜디오 작업을 통해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방법을 말한다.

  • PDF

하우징의 가변성 - 디자인의 연구 및 적용(03)

  • Park, Jin-Ho
    • Korean Architects
    • /
    • no.6 s.434
    • /
    • pp.88-97
    • /
    • 2005
  • 지난 몇 년간의 연구와 출간된 글, 그리고 디자인 스튜디오 등 일련의 실험과정을 '하우징의 가변성 - 디자인의 연구 및 적용'이란 하나의 주제로 묶어 연재한다. 근본적으로, 이 연구 및 실험은 두 가지 틀 속에 그 근간을 두고 있다. 첫째는 '이론과 실무'이고, 둘째는 '분석과 종합'이다. 건축 활동에 있어 이론과 실무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우리에게 흔히 '건축10서'라고 알려져 있고 현존 가장 오래된 건축 저서인 비트루비우스의 'De Architectura'의 첫 번째 책, 첫 장 '건축가의 교육에 관하여'에서 비트루비우스는 건축가의 이론과 실무능력의 겸비를 강조하고 있다. 건축 디자인을 함에 있어 구체적이고 체계화된 이론과 그 이론의 디자인으로의 적용을 통한 상호 보완관계를 강조한다. 즉 디자인 작업이란 연구, 분석, 실험 행위로 구성되는 연속 과정을 하나의 전체로 종합시켜 이루어지는 결정체이다. 따라서 건축 디자인은 그 근본이 되는 이론적 지식의 습득과 연구 그리고 디자인으로의 실험적인 적용 및 응용을 통한 상호 보완관계 위에서 전개, 발전되어야 한다. 따라서 디자인 작업이 '이론과 실무'의 상호 보완적인 작업이라는 전제하에 연재를 이어간다. 접근 방식으로는 '분석과 종합'의 변증법적인 통합에 기초한다. 건축 디자인의 형태적 체계를 인식하거나 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분석과 종합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다. 여기서의 분석은 논리적인 사고나 원리에 근거한 디자인을 비교 검증하는 과정으로 해석하고 디자인에 나타나는 어떤 공통 특징을 인식하는 것이고, 이에 의거해 정련하고 개괄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만들어가는 것이 종합이다. 즉, 건축가의 작품의 분석적 작업을 통해 이론과 원리를 추출하고, 이 원리들을 다양한 새로운 디자인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디자인 스튜디오 작업을 통해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방법을 말한다.

  • PDF

하우징의 가변성 - 디자인의 연구 및 적용(6)

  • Park, Jin-Ho
    • Korean Architects
    • /
    • no.9 s.437
    • /
    • pp.93-101
    • /
    • 2005
  • 지난 몇 년간의 연구와 출간된 글, 그리고 디자인 스튜디오 등 일련의 실험과정을 '하우징의 가변성 - 디자인의 연구 및 적용'이란 하나의 주제로 묶어 연재한다. 근본적으로, 이 연구 및 실험은 두가지 틀 속에 그 근간을 두고 있다. 첫째는 '이론과 실무'이고, 둘째는 '분석과 종합'이다. 건축 활동에 있어 이론과 실무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우리에게 흔히 '건축10서'라고 알려져 있고 현존 가장 오래된 건축 저서인 비트루비우스의 'De Architectura'의 첫번째 책, 첫 장 '건축가의 교육에 관하여'에서 비트루비우스는 건축가의 이론과 실무능력의 겸비를 강조하고 있다. 건축 디자인을 함에 있어 구체적이고 체계화된 이론과 그 이론의 디자인으로의 적용을 통한 상호 보완관계를 강조한다. 즉 디자인 작업이란 연구, 분석, 실험 행위로 구성되는 연속 과정을 하나의 전체로 종합시켜 이루어지는 결정체이다. 따라서 건축 디자인은 그 근본이 되는 이론적 지식의 습득과 연구 그리고 디자인으로의 실험적인 적용 및 응용을 통한 상호 보완관계 위에서 전개, 발전되어야 한다. 따라서 디자인 작업이 '이론과 실무'의 상호 보완적인 작업이라는 전제하에 연재를 이어간다. 접근 방식으로는 '분석과 종합'의 변증법적인 통합에 기초한다. 건축 디자인의 형태적 체계를 인식하거나 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분석과 종합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다. 여기서의 분석은 논리적인 사고나 원리에 근거한 디자인을 비교 검증하는 과정으로 해석하고 디자인에 나타나는 어떤 공통 특징을 인식하는 것이고, 이에 의거해 정련하고 개괄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만들어가는 것이 종합이다. 즉, 건축가의 작품의 분석적 작업을 통해 이론과 원리를 추출하고, 이 원리들을 다양한 새로운 디자인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디자인 스튜디오 작업을 통해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방법을 말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