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rounded Theoretical Approach of Working Moms' Work and Family Balance Experien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코로나 19 시기 워킹맘의 일과 가정의 양립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손영미 (건양대학교 심리상담치료학과) ;
  • 황혜영 (건양대학교 상담심리전공)
  • Received : 2022.07.27
  • Accepted : 2022.08.19
  • Published : 2022.08.31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experience related to the work-family balance of working moms during the COVID-19 period.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recruiting 17 part-time and full-time working moms with at least 1 child under the age of 1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using the method of grounded theory, 106 concepts, 50 subcategories, and 24 categories were derived. The central phenomenon that working moms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work and family balance were "physical and emotional exhaustion", "anxiety and guilt about not doing well in situations of role conflicts between various roles", "job crisis experienced by working mothers" and "deepening family conflicts". The process of working moms overcoming the central phenomenon and achieving work-family balance was identified as five stages: the 'shock and confusion stage', the 'struggling stage', the 'actively coping and making compromise stages', the 'acceptance stage', and the 'post-traumatic growth stage'.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on the work-family balance of working mothers during the COVID-19 period was dealt as well as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본 연구는 코로나 19 시기 워킹맘의 일과 가정의 균형과 관련된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명 이상의 초등학생 이하의 자녀를 둔 시간제와 전일제 워킹맘 17명을 연구 대상자로 모집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 내용을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106개의 개념, 50개의 하위범주, 2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코로나 19 시기에 워킹맘이 일과 가정을 양립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중심현상은 '신체적, 정서적 소진', '역할 갈등 상황에서의 불안감과 죄책감', '워킹맘이 겪는 일자리 위기', '가족 갈등 심화'로 나타났다. 워킹맘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중심현상을 극복하여 일과 가정의 양립을 이루는 과정은 '충격과 혼란 단계', '고군분투 단계', '적극적 대처와 타협 단계', '수용 단계', '외상 후 성장 단계'의 5단계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 19 시기 워킹맘의 일과 가정의 양립 경험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서술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학년도 건양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

References

  1. 고용노동부 보도자료 (2020. 5. 11.). 가족돌봄비용 8만 3천 명에게 271억 원 긴급지원. Retrieved From https://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10961
  2. 김나정, 안현의 (2020). 외상경험에 대한 사회적 반응과 우울의 관계: 외상 후 인지의 매개효과와 성차. 인지행동치료, 20(1), 91-113.
  3. 김도균, 김재신 (2019). '워라밸' 불균형과 휴가이용 격차. 이슈 & 진단, 389, 1-25.
  4. 김영란 (2020). 코로나 19 시기 가족생활과 가족 정책 의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세미나자료, 2-36.
  5. 김영재, 김이삭 (2022). COVID-19 상황에서 코로나 스트레스가 일-여가 갈등과 일-여가 촉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6(1), 77-89.
  6. 김원정 (2020). 젠더 관점에서 본 코로나 19 일자리 위기와 정책 대응 과제. 여성가족패널브리프, 62, 1-13.
  7. 김주현, 문영주 (2010). 맞벌이 여성의 성역할 태도가 결혼생활 만족과 일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강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2), 109-126.
  8. 김지민, 김선미, 김정민 (2021). 대인관계 외상을 경험한 성인의 외상후 인지가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및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37(1), 55-84.
  9. 김지연 (2021). 코로나 19 고용충격의 성별 격차와 시사점. KDI 경제전망, 61-68.
  10. 김지현, 최영준 (2021). 코로나 19 시기 가족관계 만족도 변화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남성 가사분담의 역할을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70, 101-132.
  11. 김진욱 (2005). 근로기혼여성의 이중노동부담에 관한 실증연구: 가사노동분담에 대한 협조적 적응, 이중노동부담, 적응지체 가설의 검증. 한국사회복지학, 57(3), 51-72.
  12. 김현동, 양인숙 (2013). 직장-가정생활 부정적 상호전이과정과 여성 친화적 기업문화가 유연근무제도 수요에 미치는 영향. 여성연구, 5-29.
  13. 노미영, 김대욱 (2017).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육아휴직 선택의 어려움과 이유. 열린유아교육연구, 22(5), 325-350.
  14. 노성숙, 한영주, 유성경 (2012). 한국에서 '워킹맘'으로 살아가기: 직장인 엄마의 다중역할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365-395.
  15. 박승민, 김광수, 방기연, 오영희, 임은미 (2012). 근거이론 접근을 활용한 상담연구과정. 서울: 학지사.
  16. 손영미, 박정열 (2014). 기혼여성근로자의 일- 가족 전이에 미치는 조직문화와 지원제도의 영향력 비교. 한국웰니스학회지, 9(4), 111-125.
  17. 손영미, 박정열 (2015). 한국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가정 양립 관련 가치관이 일-가정 갈등 및 촉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7). 203-2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7.203
  18. 여성가족부 정책뉴스 (2021.5.20). 여성 고용유지를 위한 일.생활 균형 지원 제도 활성화 방안 모색. Retrieved From http://www.mogef.go.kr/nw/enw/nw_enw_s001d.do?mid=mda700&bbtSn=709326
  19. 오민아, 변길진, 권정윤 (2018).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성역할 가치와 양육분담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일-가정 양립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를 매개로. 유아교육학논집, 22(5), 429-448.
  20. 은기수 (2020). 코로나 19 팬데믹과 자녀 돌봄의 변화. 노동리뷰, 35-49.
  21. 이경진, 유금란 (2019). 워킹맘들이 경험하고 있는 심리적 어려움 및 대처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6), 587-604. https://doi.org/10.5392/JKCA.2019.19.06.587
  22. 이동훈, 김예진, 황희훈, 남슬기, 정다송 (2021). 코로나 19 팬데믹 시기 동안 한국인의 정서적 디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의 영향력에 대한 종단 두 시점 비교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7(4). 629-659. https://doi.org/10.20406/KJCS.2021.11.27.4.629
  23. 이보람, 이강이 (202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로 인한 공교육 원격수업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과 자녀교육 지원현황. 가정과 삶의질 연구, 39(2), 63-78.
  24. 이유경, 이헌주 (2021). 포스트 코로나 시대 워킹맘의 육아 스트레스 경험과 적응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6(1), 171-201.
  25. 이진숙, 최원석 (2012). 기혼 직장여성의 출산계획 경로에 관한 연구-성역할태도, 일가족양립갈등, 결혼행복감과 출산계획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3(4), 5-30. https://doi.org/10.16999/KASWS.2012.43.4.5
  26. 정선훈 (2021). 코로나 19 위기 상황에서 워킹맘의 일과 양육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32(3), 245-277.
  27. 진미정, 성미애, 손서희, 유재언, 이재림, 장영은 (2020). 코로나 19 확산에 따른 가족생활 및 가족관계의 변화와 스트레스.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8(3), 447-461. https://doi.org/10.6115/fer.2020.032
  28. 최유정, 최미라, 최샛별 (2018). 맞벌이 부부의 역할분담이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 19(1), 47-93. https://doi.org/10.22862/KJSR.2018.19.1.002
  29. 통계청 (2020a).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 서울: 통계청.
  30. 통계청 (2020b). 2020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서울: 통계청.
  31. 통계청 (2020c). 2019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부가항목. 서울: 통계청.
  32. Allen, T. D. (2001). Family-supportive work environments: The role of organizational perception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8(3), 414-435. https://doi.org/10.1006/jvbe.2000.1774
  33. Boca, D. D., Oggero, N., Profeta, P., & Rossi, M. (2020). Women's and men's work, housework and childcare, before and during COVID-19, Review of Economics of the Household, 18, 1001-1017. https://doi.org/10.1007/s11150-020-09502-1
  34. Brewin, C. R., Andrews, B., & Valentine, J. D. (2000). Meta-analysis of risk factors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rauma-exposed adul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8(5), 748-766. Retrieved From https://doi.org/10.1037/0022-006X.68.5.748
  35. Creswell, J. W. (1998).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조홍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2005).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가지 전통. 서울: 학지사.
  36. Ford, M. R., Heinen, B. A., & Langkarmer, K. L. (2007). Work and family satisfaction and conflict: A meta analysis of cross-domain rel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2(1), 57-80. https://doi.org/10.1037/0021-9010.92.1.57
  37. Garnefski, N., & Kraaij, V. (2007).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Psychometric features and prospective relationships with depression and anxiety in adults.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ssessment, 23(3), 141-149. https://doi.org/10.1027/1015-5759.23.3.141
  38. Haar, J. M., Sune, A., Russo, M., & Ollier-Malaterre, A. (2019). A cross-national study on the antecedents of work-life balance from the fit and balance perspective. Social Indicators Research, 142(1), 261-282. https://doi.org/10.1007/s11205-018-1875-6
  39. Joseph, J., Kavia, C. G., Simon, J., & Sebastian, D. J. (2018). Demographics and Work-life Enrichment. Asian Journal of Management, 9(1), 261-266. https://doi.org/10.5958/2321-5763.2018.00039.2
  40. Kim, J. H., Shim, Y., Choi, I., & Choi, E. (2022). The role of coping strategies in maintaining well-being during the COVID-19 outbreak in South Korea.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 13(1), 320-332. https://doi.org/10.1177/1948550621990595
  41. Lazarus, R. S., & Folkman, S. (1987). Transactional theory and research on emotions and coping.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1(3), 141-169. https://doi.org/10.1002/per.2410010304
  42.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CA: Sage.
  43. McRae, S. (2003). Constraints and choices in mothers' employment careers: a consideration of Hakim's Preference Theory.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54, 317-338. https://doi.org/10.1080/0007131032000111848
  44. Norris, F. H., Friedman, M. J., & Watson, P. J. (2002). 60,000 disaster victims speak: Part II. Summary and implications of the disaster mental health research. Psychiatry, 65(3), 240-260. https://doi.org/10.1521/psyc.65.3.240.20169
  45. Prime, H., Wade, M., & Browne, D. T. (2020, May 21). Risk and Resilience in Family Well-Be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merican Psychologist. Advance online publication. http://dx.doi.org/10.1037/amp0000660.
  46. Sakakibara, R., & Kitahara, M.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 and depression, anxiety: Meta-analysis. Shinrigaku kenkyu: The Japanese Journal of Psychology, 87(2), 179-185.
  47. Schmid, L., Worn, J., Hank, K., Sawatzki, B., & Walper, S. (2020). Changes in Employmen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Times of the COVID-19 Pandemic: Evidence from the German family Panel, European Societies, 23(S1), S743-S758.
  48. Shanahan, L., Steinhoff, A., Bechtiger, L., Murray, A. L., Nivette, A., Hepp, U., ... & Eisner, M. (2022). Emotional distress in young adul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vidence of risk and resilience from a longitudinal cohort study. Psychological medicine, 52(5), 824-833. https://doi.org/10.1017/S003329172000241X
  49. Shockley, K. M., Clark, M. A., Dodd, H., & King, E. B. (2021). Work-family strategies during COVID-19: Examining gender dynamics among dual-earner couples with young childre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06(1), 15. https://doi.org/10.1037/apl0000857
  50.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ousand Oaks, CA: Sage.
  51.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4a). Target Article: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15(1), 1-18. https://doi.org/10.1207/s15327965pli1501_01
  52.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4b). A clinical approach to posttraumatic growth. In P. Alex Linley and Stephen Joseph (Eds.), Positive psychology in Practice(pp. 405-419). New Jersey: John Wiley & Sons.
  53. Vaziri, H., Casper, W. J., Wayne, J. H., & Matthews, R. A. (2020). Changes to the work-family interfa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xamining predictors and implications using latent transition analysi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05(10), 1073-1087. https://doi.org/10.1037/apl000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