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근거이론적 연구

Search Result 2,071, Processing Time 0.056 seconds

Divergence of Grounded Theory : Focused on the Differences of Glaser and Strauss (근거이론의 분기: Glaser와 Strauss의 차이를 중심으로)

  • Kim, In-Sook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2 no.2
    • /
    • pp.351-379
    • /
    • 2011
  • This study explores the divergence of grounded theory focused on the differences of Glaser and Strauss. Grounded theory has been divided into two versions, Glaser version and Strauss version. Two versions are different in research methodology.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us to choose one of these two version. There are many grounded theory researches or qualitative researches by grounded theory approach in Korea. But Theses researches has been studied only Strauss version. Therefore this article introduces the differences of Glaser method and Strauss method in various aspects of research methods: basic logic of research process, core category and basic social process, and coding methods - especially axial coding, selective coding and theoretical coding. Glaser and Strauss argued differently in many aspects of grounded theory method.

A Critical Review of Literature: Mid-Range Nursing Theory of Uncertainty in Illness (중간범위 간호이론인 Mishel의 질병에서의 불확실감에 관한 문헌고찰)

  • Kang, Younhee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 /
    • v.15 no.1
    • /
    • pp.146-153
    • /
    • 200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표적인 중간범위 간호이론인 Mishel의 Uncertainty in Illness모델에 관한 연구문헌 고찰이다. 기존의 간호이론에 근거해서 새로운 간호연구가 시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들의 결과는 또한, 근거이론을 지지 및 수정보완을 통해서 간호이론의 타당성과 유용성을 강화해왔다. Mishel의 모델에 근거한 불확실감에 관한 연구의 수행에 앞서, 근거이론에 관한 현지식의 상태와 부족한 영역을 탐구하여, 이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계획을 수립하는데 문헌고찰의 주요한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문헌고찰은 중간범위 간호이론인 Mishel's Uncertainty in Illness에서의 주요 개념간의 관계에 대해서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불확실감의 선행요소들(antecedents)과 불확실감, 불확실감의 평가(appraisal of uncertainty), 불확실감 모델내에서 건강 통제위(health locus of control)의 역할, 및 불확실감의 결과, 적응(adaptation)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결론: 문헌고찰 결과로서, 불확실감 이론에 관한 현지식의 상태를 확인하였고 이 이론의 타당성과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한 추후연구에 대한 방향도 제언되었다.

  • PDF

Theoretical Foundations and a Conceptual Model of Therapeutic Readers' Advisory Services (치료적 독자상담의 이론적 근거와 개념적 모형에 관한 연구)

  • Lee, Kee-Myung;Lee, Jae-Whoa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3 no.1
    • /
    • pp.53-72
    • /
    • 2012
  •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search and analyze information theories which are useful to approach bibliotherapy in terms of 'therapeutic' readers' advisory service, and to propose a conceptual model of 'therapeutic' readers' advisory service on the basis of such theoretical foundations. To the end, Dervin's sense-making theory and Kuhlthau's ISP model are introduced and applied to the conceptual model. The conceptual model is profoundly based on Dervin's situation-gap-use metaphor and Kuhlthau's Uncertainty Principle.

Judges' Perception of Public Opinion: Comparing Grounded Theory and Topic Modeling in Analyzing Focused Group Interview with Judges (사회여론에 대한 법관의 인식: 법관 대상 FGI에 대한 근거이론 분석과 토픽 모델링 비교)

  • Gahng, Taegyung
    • Korean Journal of Forensic Psychology
    • /
    • v.13 no.1
    • /
    • pp.23-52
    • /
    • 2022
  • In this study, focused group interviews with 24 incumbent judges were conducted on how they conceptualize public opinion and what attitude they take toward it in relation to judicial trials.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through grounded theory and topic modeling (STM).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results, judges distinguished concepts such as social rules, socially accepted ideas, legal emotion, and public mood from public opinion, and subdivided public opinion into temporary and emotional reactions to specific legal cases and consistent attitudes toward law and polici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judges' attitudes toward public opinion and social norms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cases or legal issues. Topic modeling results significantly corresponded to the grounded theory results. In this model, the effects of the types of cases dedicated to participants on topical preval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상황적 인지론(situated cognition)과 수학 학습

  • 박성선;전평국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 no.1
    • /
    • pp.23-32
    • /
    • 1997
  • 최근 및 년 사이에 수학교육에 대한 연구는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수학교육의 문제는 크게 Piaget의 인지이론에 근거한 연구와 정보처리 이론을 바탕으로 한 인지심리 학자들의 연구에 근거하고 있다. 지금까지 연구되어 발표된 학습이론에 대한 논문들을 보더라도 이러한 경향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중략)

  • PDF

PATERNAL INFANT BONDING : A CRITICAL REVIEW (부아(父兒)애착 : 문헌고찰 및 비평)

  • Kim, Hea-Sook
    • 모자간호학회지
    • /
    • v.2 no.1
    • /
    • pp.34-44
    • /
    • 1992
  • 지난 10년 동안 구미에서는 부모-아동 관계 영역에 혁신을 가져왔다. 특히 부모-아동 애착이론의 획기적인 변화로 가족 중심 출산 경험을 강조하고 있다. 과거에는 남편이 아내의 출산에 참여하던 것이 타부시되어 왔지만 애착의 개념이 대두되면서 남편도 출산에 함께 참여하도록 고려하여 임신에서부터 부부가 함께 이 과업을 완수하도록 모든 환경을 변화시키고 있다. 애착이론은 다양하여 정신분석이론, 학습이론, 인지발달이론과 동물 행동학적 측면에서 이해되고 있다. 다양한 이론적 배경과 개념들을 가지고 아버지-아동의 애착 및 유대관계에 대한 연구가 지난 10여년 이상 되어오고 있다. 가장 관심의 촛점이 되어 연구 되어온 것으로는 애착형성을 위해 중요하다고 하는 민감한 시기(Critical period)를 중심으로 애착의 특성인 시각, 청각, 촉각, 상호호혜적 관계, 긍정적 애정을 바탕으로 연구되어졌다. 이 연구는 부아 애착(Paternal Infant Attachment)의 연구를 연구방법, 측정도구 및 방법상문제와 변수들을 중심으로 재정리하여, 이 분야에 있어서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살펴보았다. 17편의 연구들을 각각 년도, 표본수, 방법 및 측정, 결과 및 비고난을 비교 분석하여 도표를 작성하였다. 이론적 기틀과 문헌고찰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적용과 제언을 한다. 1. 출산전 아버지의 특성에 대한 사정이 필요하다. 2. 연구자가 집단간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연구전에 표본의 특성을 정확히 기술해야 한다. 3. 부모와 아버지의 과거력에 대한 상세한 정보수집이 강조되어야 한다. 4. 앞으로의 연구는 이론적 모델에 근거하여 이루어져, 대중교육 뿐 아니라 정책 결정에 기여해야 한다. 5. 연구결과 평가와 해석을 위해 정확한 이론적 근거가 필요로 된다. 6. 간호연구는 부적절한 부아 애착 형성에 있어서 아버지의 특성을 확인하고 부아유대와 애착 증진의 요소를 파악해야한다. 7. 부아 유대에 대한 위협요소 확인을 위한 도구개발과 그들에 대한 효과적인 간호전략이 필요 된다. 8. 가족에 있어서 모든 부모행위가 하나의 독립변수로서 연구되어야 하고 부아유대 증진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어야겠다. 오늘날 부모들은 임신기간동안 많은 정보에 접하기를 원한다. 산전, 산후의 교육과 지식은 긍정적인 부아 관계를 증진시키고, 이것은 아동의 발달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긍정적으로 이러한 관계는 가족단위를 강하게 통합시키게 되므로 건강관리자(Health care workers)들은 애착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갖어야 하겠다.

  • PDF

THEORETICAL BACKGROUND AND EMPIRICAL EVIDENCE FOR R&D AND ADVERTISING INVESTMENTS IN KOREA (한국기업의 투자 행태 분석 : 이론적 배경과 실증적 근거)

  • 이종일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3 no.1
    • /
    • pp.185-212
    • /
    • 1995
  • 전통적인 산업조직이론에서 널리 사용되는 시장구조-행동-성과 분석 도구 (The SCP Paradigm)는 시장성과가 가격정책, 기술개발투자(R&D), 광고투자, 생산설비 변경 등 시장행동의 함수라는 암묵적 가정에 근거한다. 최근 시장행동 중에서 기업의 관심이 크게 높아진 R&D 및 광고투자가 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부각되었으며, 시장성과를 구성하는 주요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R&D 및 광고 투자의 성격과 행태, 그리고 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상호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두 가지 변수를 동시에 다룬 연구는 매우 드물다. 몇 안 되는 연구들도 기업의 행태를 실증적으로 설명하는데 치중함으로써 이론적 근거를 소홀히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즉, 논리의 전개상 이론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수리모형이 먼저 제시된 후에야 이를 검증하는 방법으로 통계모형을 사용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이 논문은 기존의 SCP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기업이 한정된 재원을 어떤 원칙아래 R&D 및 광고에 분산 투자하는 가를 설명하기 위해 수리모형을 설정한 후, 정태와 동학, 확실성과 불확실성, 단발성과 균등투자전략의 개념을 도입하여 다양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또 R&D 및 광고투자 함수를 이론적 근거에 의해 도입하되, 각 모형에 균형이 존재하는가를 검증하였다. 수리모형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1) 기업의 투자는 R&D 및 광고투자간에 한계원리(Marginal Principle)가 지켜지도록 분배할 때에 효율적임이 판명되었고, (2) 동학모형이 정학모형을 포함하는 일반모형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으며, (3) 투자는 확실성이 높을수록, 분산시킬수록 투자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 모형추정은 앞의 수리모형 및 그 결과에 근거를 두었으며, 한국기업에 적절한 R&D 및 광고투자함수를 추정한 뒤 이를 이용해 업종, 기업규모, 상품유형별로 적합한 모델(Fixed Effects Model)을 결정하고, 각각에 해당하는 통계모형을 구축하였다. 이 결과 (1) 업종 및 기업규모별로 그룹간에 유의한 특성이 발견되었으며, (2) R&D 및 광고투자는 기업의 시장성과를 설명하는 중요한 변수이나, (3) R&D 투자의 경우는 광고에 비해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4) 수리모형에서 도출된 한계원리가 통계모형에서도 유효한 것으로 드러났다.

  • PDF

Theories and Practi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ottom-up Perspectives (유아 교사의 이론과 실천에 관한 고찰: bottom-up 관점을 중심으로)

  • Kim, Mia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6
    • /
    • pp.107-119
    • /
    • 2017
  • This article explores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es from bottom-up perspectiv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Results of the review of literature are as follows: 1) From top-down perspectives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es and their classroom behaviors have been traditionally defin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ories of child development, the notion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and designed program models; 2) From bottom-up perspectives researchers have a focus on how teachers' practices lead theories and how they construct the act of teaching through reflective thinking; 3) empirical research on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demonstrates that preservice teachers develop their own theories of teaching from their previously held assumptions, gained knowledge from preparation programs, and their individual experiences. It also shows that inservice teachers construct teaching through their implicit knowledge and the use of strategies to negotiate problems.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on teachers's practices are discussed.

유아기 수학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

  • Hwang, Jeong-S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1
    • /
    • pp.107-127
    • /
    • 2002
  • 본 연구는 유아기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기초 이론과 수학교육에서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제안들을 근거로 유아에게 적절하고도 효과적인 수학 교수-학습 방법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구성주의에 근거한 상호적 접근과 교수-학습을 위한 기타 제안들 그리고 활동중심의 통합적 접근으로 나누어 그 이론적 기초와 구체적인 적용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다. 구성주의에 근거한 상호적 접근은 Piaget와 Vygotsky의 견해와 인지적 도제모형, 상황적 교수 모형, 그리고 인지적 유연성 이론의 세 가지를 포함하였고, 기타 제안들에는 NCTM, NAEYC, Schweinhart Perlmutter, Bloom & Burrell, 그리고 Althouse의 견해를 포함하였다. 그리고 활동중심의 통합적 접근은 수학적 개념 중심의 활동 통합교육과 활동 중심의 수학 통합교육으로 나누어 Web을 구성하고 적용하는 과정을 알아보았다.

  • PDF

Theory of Mind in Old Age: A Review from a Neurocognitive Perspective (노년기의 마음이론: 신경인지적 접근)

  • Park, Min
    • 한국노년학
    • /
    • v.30 no.3
    • /
    • pp.743-757
    • /
    • 2010
  • Theory of mind (ToM) is the ability to infer one's own and other people's mental states such as beliefs, desires, and intentions. Although the majority of research in ToM has focused on young children or autistic individuals, several studies have investigated ToM in normal old age and in the demented elderly. This article provides an overview on existent findings of theory of mind in aging populations and suggests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including applying neuroimaging techniques and real-life tasks. It is still unclear how ToM in aging is associated with other aspects of cognition.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oM perspective on aging will increase our understanding of aging of cognition and social functio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