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ory of Mind in Old Age: A Review from a Neurocognitive Perspective

노년기의 마음이론: 신경인지적 접근

  • Park, Min (Department of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Korea Nazarene University)
  • 박민 (나사렛대학교 심리재활학과)
  • Received : 2010.02.27
  • Accepted : 2010.08.25
  • Published : 2010.08.30

Abstract

Theory of mind (ToM) is the ability to infer one's own and other people's mental states such as beliefs, desires, and intentions. Although the majority of research in ToM has focused on young children or autistic individuals, several studies have investigated ToM in normal old age and in the demented elderly. This article provides an overview on existent findings of theory of mind in aging populations and suggests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including applying neuroimaging techniques and real-life tasks. It is still unclear how ToM in aging is associated with other aspects of cognition.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oM perspective on aging will increase our understanding of aging of cognition and social functioning.

마음이론이란 자기 자신과 타인의 믿음, 바람, 의도와 같은 마음 상태를 추론하는 능력을 가리킨다. 마음이론에 대한 대다수의 연구는 아동과 자폐증 환자에 초점을 맞춘 것이었으나 정상적인 노화 과정을 겪고 있는 노인과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마음이론의 노화에 대한 기존 연구 결과들을 개관하고 신경영상 기법의 활용과 실생활에 근거한 마음이론 측정 과제의 적용과 같은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한다. 아직까지 마음이론 능력의 노화가 다른 인지적 측면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와 같은 문제에 대해 논쟁이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지만 마음이론의 관점에 근거한 노화 연구는 노인의 인지적 기능과 사회적 기능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