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근거리

Search Result 1,474,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Nearfield Eigenvector Method for Array Shape Estimation (어레이 형상 추정을 위한 근거리 고유벡터 기법)

  • 신원민;도경철;강현우;윤대희;이충용;박희영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4
    • /
    • pp.282-287
    • /
    • 2004
  • This paper proposes the nearfield eigenvector method for array shape estimation using reference signals basted on the nearfield signal modeling. Generally. direction finding methods assume the reference signals to be plainwave. However, in case of the reference signals in nearfield, this assumption is inadequate for array shape estimation. In this paper. the nearfield reference signals are modeled. and we propose the nearfield eigenvector method. The numerical experiments indicated that the proposed method shows good performance for array shape estimation regardless of the ranges of the reference signals.

H/W Platform Design for Verifi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근거리 무선통신 검증을 위한 H/W Platform 설계 및 구현)

  • Kang, Hyun-Joon;Kim, Hwa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8.06a
    • /
    • pp.263-268
    • /
    • 2008
  • 고도의 정보 사회로의 빠른 변화는 통신 기술의 발달과 통신 정보들의 다양함에 있다. 현대 사회에서 이용자들은 기존의 통신 서비스보다 좀 더 복잡한 기능과 편리한 기능 다양한 서비스를 필요로 하고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언제나 어디서나'라는 뜻을 가진 유비쿼터스 사회를 이루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에 대해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연구와 개발이 활발히 진행이 되고 있다. 무선통신 환경이 증가하고 무선 네트워크화의 필요와 수요에 따른 차세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중 대표적인 ZigBee 통신과 기능검증에 대한 H/W 플랫폼을 설계하고 구현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ZigBee의 전송도달거리와 송수신 속도를 확인하였다. 근거리 무선 통신 중 ZigBee의 특성을 고찰하였고 근거리 무선 통신의 연구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 PDF

Nearby Vehicle Detection in the Adjacent Lane using In-vehicle Front View Camera (차량용 전방 카메라를 이용한 근거리 옆 차선 차량 검출)

  • Baek, Yeul-Min;Lee, Gwang-Gook;Kim, Whoi-Yul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5 no.8
    • /
    • pp.996-1003
    • /
    • 2012
  • We present a nearby vehicle detection method in the adjacent lane using in-vehicle front view camera. Nearby vehicles in adjacent lanes show various appearances according to their relative positions to the host vehicle. Therefore, most conventional methods use motion information for detecting nearby vehicles in adjacent lanes. However, these methods can only detect overtaking vehicles which have faster speed than the host vehicle. To solve this problem, we use the feature of regions where nearby vehicle can appear. Consequently, our method cannot only detect nearby overtaking vehicles but also stationary and same speed vehicles in adjacent lanes. In our experiment, we validated our method through various whether, road conditions and real-time implementation.

A Study on secure payrnert System applying Bluetooth (Bluetooth를 이용한 안전한 지불 시스템에 관한 연구)

  • 서대희;이임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859.1-861
    • /
    • 2002
  • 최근 근거리 무선 통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면서 근거리 무선 통신의 규격으로 자리잡고 있는 Bluetooth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한 분야이다. Bluetooth는 기존 근거리 통신이 가지지 못한 여러 가지 장점들을 가지면서 SIG그룹을 중심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중에 있으며 많은 응용분야에 적용하기에 충분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Bluetooth 여러 가지 기술 응용중 안전한 지불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지불 시스템은 사용자를 중심으로 사용자가 승차하고 있는 자동차를 하나의 piconet으로 하여 자동차에서 사용자가 무선 mobile 기기를 이용하여 주유소에서 자동차에 주유을 한 뒤 이를 결제하는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안전한 지불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Secure Monitoring in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근거리 무선 통신의 안전한 보안 모니터링 기법에 관한 연구)

  • 서대희;이임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d
    • /
    • pp.916-919
    • /
    • 2002
  • 무선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는 가운데 Mobile 기기들의 연결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국내 무선국에서는 Bluetooth와 WLAN을 국내 근거리 무선 통신기술의 표준으로 제정한바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인 WLAN에 적용한 보안 모니터링 기법을 제안함으로써 무선이라는 통신 환경에서 Mobile 기기들의 여러 가지 취약 요소들에 대한 주기적인 감시를 통해 안전한 통신이 가능하는 보안 모니터링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Near Visual Performance of Multifocal Contact Lenses in University Students (대학생에서 멀티포컬 소프트콘택트렌즈의 근거리 시기능 유용성)

  • Jong, Woo-Cheol;Kim, Soo-Hyun;Kim, Jai-Min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6 no.1
    • /
    • pp.51-60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isual performance and subjective satisfaction with multifocal soft contact lenses at near works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In a cross-over study design, 26 students (6 male, 20 female) who did not have any ocular disorder with at least 20/20(1.0) binocular vision were fitted with singlevision lenses (SofLens$^{TM}59$, Bausch + Lomb Co. USA) or multifocal lenses (SofLens Multifocal, Bausch + Lomb Co. USA). After 2 weeks, visual performance assessments included visual acuity, stereo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 at distance and near. Near point of accommodation, accommodative facility, near point of convergence, vergence facility and near range of clear vision at near were examined. Students' satisfaction and preference were measured using survey questionaries. Results: Subjects maintained at least 20/20 binocular vision with multifocal and single-vision lenses at distance and nea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ultifocal and single-vision lenses in stereoacuity,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 and vergence facility at far and near. The near point of accommodation, accommodative facility, near point of convergence and the near range of clear vision with multifocal lenses were better than single-vision lenses. On the survey questionaries, subjects reported that they preferred and satisfied with multifocal lenses with near works, and single-vision lenses with distance works. Conclusions: The majority of university students preferred multifocal to single vision lenses because multifocal lenses provided better visual performance at near works. This study suggests that multifocal lens is helpful for young adult in prolonged near works.

Specifications of Information Security Algorithm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Its Implementation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적용 가능한 정보보호 규격 및 기능 실현)

  • 김상필;윤호선;이강석;염흥열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1997.11a
    • /
    • pp.274-288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의 프로토콜 구조를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적용 가능한 정보보호 규격을 제시하고, 관련 정보보호 메카니듬을 도출하며, 적용된 정보보호 메카니듬들을 C 언어로 시뮬레이션한다.

  • PDF

등부표 관리를 위한 근거리 점검 시스템 설계 및 점검 이력 관리 방안 고찰

  • 채정근;박종현;이충진;서유리;이동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270-271
    • /
    • 2023
  • 해양 4차 산업 도래에 맞춰 기존 항로표지 역할에 ICT 기술을 융합하여 근거리에서 통신을 활용하여 항로표지의 점검 및 관리시스템 개발의 요구가 있다. 항로표지 점검 시 관리자들의 편의와 점검을 위하여 선박 접안 사고 예방 등 근거리 통신을 적용한 장비 점검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황 분석을 통하여 근거리 점검 시스템 설계 방향을 제시하였다. 다양한 분야에서 무선 통신을 활용한 점검 및 모니터링 기술을 분석하여 시스템 구성 방향을 제시하였고, 현재 운영중인 항로표지 관리운영 시스템을 분석하여 점검을 위하여 표출할 정보를 검토하였다. 향후 설계 방향을 바탕으로 시스템을 개발하고 성능 평가를 수행할 예정이며, 관리의 편의를 위하여 정보협력센터에 제공할 이력 정보를 검토할 예정이다.

  • PDF

Minimization of short range shadow zone using HMS vertical scanning method (HMS(Hull Mounted Sonar) Vertical Scanning 기법을 이용한 근거리 음영구역 최소화)

  • Han Yunhoo;Lim Sehan;Oh Imsang;Kim Seongil;Na Jungyul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437-440
    • /
    • 2004
  • HMS(Hull Mounted Sonar) 운용 시 수중음속구조의 영향에 의한 음파가 경계면(해저면, 해수면)의 반사를 통해서 근거리 음영구역(short range shadow zone)을 발생시킨다(그림 1).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수중음파탐지 무기체계 가운데 특히 단상태 (monostatic) 조건일 때 HMS에 의해 발생하는 근거리 음영구역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즉, 2차원 수중공간 (수심-거리)에서 빔형성기법 (beamforming)을 이용한 HMS Vertical Scanning (HMS Verscan) 기법을 제안하여 수치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치실험을 위해 HMS 운용환경에 근접한 고주파 음선모델(BELLHOP)과 잔향음 모델(HYREV)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HMS Verscan 기법은 수평방향의 음파방사에 의해 주로 발생하는 근거리 음영구역으로 해저반사를 통하여 음파를 전달시켰고, 근거리 음영 구역에 숨어있는 표적의 탐지가능성을 높였다. 또한 실제 산란환경을 고려한 수치실험 결과에서도 부분적으로 표적이 탐지가 됨으로써 HMS Verscan 기법의 근거리 음영구역의 감소효과를 확인하였다.

  • PDF

Efficient 3-D Near-field Source Localization Algorithm Using Uniform Circular Array (환형배열센서를 이용한 근거리 표적의 효율적인 3차원 위치추정 알고리즘)

  • 이정훈;박규태;박도현;이균경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3
    • /
    • pp.214-220
    • /
    • 2004
  • A computationally efficient algorithm is presented for 3-D near-field source localization using a uniform circular away (UCA). Algebraic relations are demonstrated between the incident angles (elevation angle and azimuth angle) under the far-field assumption and the actual near-field location (range. elevation angle, and azimuth angle). Using these relations as paths to follow to the peak of the 3-D MUSIC spectrum, the proposed algorithm replaces the 3-D search required in the conventional 3-D MUSIC with a 1-D path following after a 2-D initialization. thereby reducing the computational bur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