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극세선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1초

마이크로 와이어의 전단 형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burrless shearing on the micro wire)

  • 홍남표;김병희;김헌영;김웅겸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8-452
    • /
    • 2005
  • Punching/blanking/shearing is among the oldest and most frequently used sheet metal forming process. We have developed the shear device for burrless cutting using the micro wire. Since the burr minimization and fine shear plane,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shear angle and clearance of the cutter-cutter. And, we confirm the tendency of the shear plane. It is impossible to completely remove the burr in the shearing process. In order to minimize the burr size and fine shear plane, we have accomplished the various experiment conditions such as the shear angle and clearance. Despite the quality of shear plane is not good enough yet, it is possible to make the burr minimization and fine shear plane by the optimization of process parameters.

  • PDF

전기방사시 공정조건이 아크릴 섬유의 선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ocessing Variables on the Acrylic Fiber Fineness during Electrospinning)

  • 심현주;이승훈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90-391
    • /
    • 2003
  • 극세사를 제조하는 방식은 복합방사 방식 외에 고온, 고속의 공기를 이용하여 연신된 초세화 섬유를 fiber web으로 제조하는 melt-blown방식과 전기방사(electrospinning)등이 있다. 전기방사에 의한 방식은 용액방사와 용융방사에 의한 방식이 가능하여 적용 고분자의 종류가 보다 다양할 뿐 아니라 공정자체가 semi-static하여 연속 필라멘트의 제조가 가능하며 전기장에 의하여 섬유가 분리됨으로, 사용 고분자에 따라 영구대전이 가능할 뿐 더러 melt-blown 방식에 의한 fiber web보다 개섬성이 우수하며, 수집된 fiber web의 random화가 용이하고, 방사 후 섬유간의 협착을 방지 할 수 있는 등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중략)

  • PDF

미세 와이어의 전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earing of the straightened micro-wire)

  • 신용승;홍남표;김병희;김헌영;김웅겸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5년도 금형가공,미세가공,플라스틱가공 공동 심포지엄
    • /
    • pp.175-180
    • /
    • 2005
  •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 novel wire straightener which uses the direct heating method (DHM) fer straightening the micro wire. Also, we have developed a shearing device for cutting the micro wire. In order to avoid the surface oxidization, we supplied the inert gas(Ar) during the heating process and examined the effect of gas flow rate. The effects of the tension and the current applied to the tungsten micro wires were also thoroughly studied. From various experiments and analyses, we could obtain fine straightness $(\approx1\;{\mu}m/1000\;{\mu}m)$ and roundness $(<{\pm}2{\mu}m\;/100{\mu}m)$ when the tension is $500\~~600gf$ and the current is about 1.5A. for burrfree cutting, counter-punch method which two cutters moving contrary was used. The cutting blade has various U-groove angle where upper $10^{\circ}$, $mid:25^{\circ}$, lower $0^{\circ}$. After the shearing process, we confirmed the shearing section.

  • PDF

해도형 극세사 폴리에스테르의 염색성 및 세탁견뢰도 향상에 관한 연구 (Dyeing Properties and Improvement of Washfastness of Ultrafine Polyester)

  • 김성동;이권선;이병선;안창희;김규식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8-55
    • /
    • 2003
  • As the polyester fiber becomes thinner, thermomigration tha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deteriorating the washfastness, is more dominant. For improving the washfastness of ultrafine polyester dyed with disperse dye, it is necessary either to decrease the amount of thermomigrated dyes on the fiber surface, or to use a disperse dye containing diester group in the coupling component. This paper is concer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chemical structure of three disperse dyes and their dyeing properties and washfastness. The disperse dye whose molecular size is big, can dye ultrafine polyester with good build-up, and its washfastness is reasonably good. Other disperse dye which has diester group, shows the same dyeing properties as the standard disperse dye, and its washfastness is better than that of the standard disperse dye.

직접방사형 PET 극세사 제품의 염색성 및 견뢰도 특성 (Dyeing and Fastness Properties of Direct Spun Type PET Microfiber Fabrics)

  • 고준석;박종호;이권선;김성동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13-19
    • /
    • 2005
  • Dyeing and fastness properties of direct spun type PET microfiber fabrics have been investigated. The dye uptake of finer microfibers commenced at lower temperatures and showed faster rate of dye uptake. The build-up and wet fastness properties of disperse dyes on finer microfbers were relatively poor since the more dye was needed to achieve a given depth of shade due to the large surface area.

복운모 화강암의 암석화학적 특징 : 청산, 인제-홍천, 영주 및 남원지역의 예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wo-Mica Granites : Examples from Cheongsan, Inje-Hongcheon, Yeongju and Namwon areas)

  • 좌용주
    • 암석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10-225
    • /
    • 1997
  • 청산, 인제-홍천, 영주 및 남원지역에 분포하는 복운모 화강암은 과알루미나질이며, 일반적으로 S-타입 및 티탄철석계열의 화강암류임을 나타내어, 지각물질로부터 유래된 마그마가 환원 환경에서 관입.고결하여 생성된 것이다. 인제-홍천과 남원 지역의 복운모 화강암은 각각 반상 흑운모 화강암과 높은 Ti/Mg 비의 흑운모 화강암으로부터 분화.파생된 잔류 마그마로부터 형성되었다. 청산과 영주지역의 복운모 화강암은 접촉하고 있는 반상 흑운모 화강암과, 화강섬록암과는 각각 성인적인 관련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남원과 영주지역 복운모 화강암은 비교적 물에 포화된 마그마로부터 형성되었고, 청산과 인제-홍천지역 복운모 화강암질 마그마는 물에 불포화 되었음이 나타난다. 한편, 물에 포화되었던 남원지역의 흑운모 화강암과 복운모 화강암에 있어 마그마 내의 물의 함량은 5.8wt.%이상으로 추정되고, 영주 목운모 화강암질 마그마의 경우 2.4~5.8wt.%정도의 물을 포함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인제-홍천과 영주지역의 복운모 화강암의 최소융해액 조성으로 구해지는 압력 (0.5~2kb)과 세립질 내지 극세립질의 암석 조직은 화강암질 마그마가 지각의 얕은 곳에서 관입.배태된 양상을 나타내며, 청산과 남원지역의 복운모 화강암의 경우 최소융해액 조성 압력(2~3 kb)과 세립~중립질 내지 조립질의 암석 조직으로부터 비교적 지하 심부에 관입.배태외었음을 알 수 있다. 화강암질 마그마의 고상선/백운모의 안정선의 교점으로부터 물에 포화된 마그마에서는 최소한 약 1.6kb (약 6km)이상의 압력에서 마그마기원의 1차 백운모가 정출될 수 있으며, 그 이하에서는 고상선 아래에서 교대작용으로 2차적인 백운모가 형성된다. 반면, 물에 불포화된 마그마에서 1차 백운모가 정출되기 위해서는 보다 놓은 압력이 요구된다. 백운모 형성에 대한 이 조건은 각 지역 복운모 화강암에 산출되는 백운모에 1차 백운모와 2차 백운모 양쪽이 나타남을 설명하기에 충분하다. 한편, 실험으로 구해진 백운모의 안정선의 적용에는 주의가 필요하고, 특히 순수한 합성 백운모 단성분을 이용한 실험의 경우 팔면체 배위에 Ti, Fe, Mg의 성분이 첨가됨에 따라 안정선이 높은 온도 영역으로 이동됨을 고려해야 한다.

  • PDF

실험적 치아이동시 백서 치은 상피의 표피성장인자 수용체의 발현 (Expression of EGFR on the Rat Gingival Epithelia During the Experimental Tooth Movement)

  • 이상선;김영호;배창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75-782
    • /
    • 1998
  • 동소 mRNA 보합결합법을 이용하여 백서의 실험적 치아 이동시 치은 상피에 있어서 견인측과 압박측의 표피성장인자 수용체의 발현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조군은 구강 상피의 기저세포층, 극세포층, 과립세포층, 각화층의 전층에 걸쳐 미약한 염색상을 보였으며 압박측, 견인측의 차이는 없었다. 2. 장치의 장착 시간 경과에 따라 반응의 정도가 증가하는 양상으로 나타났으며, 그 분포도 하부의 기저세포층에서 상부의 각화층으로 확산되었다. 전반적으로 반응정도에 있어 압박측과 견인측의 차이는 없었으나, 단지 장치 장착후 7일의 견인측 각화층에서만 압박측보다 반응의 정도가 약하게 나타났다. 3. 장치를 제거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표피성장인자의 발현 정도가 감소하여 제거후 7일에는 전층에 걸펴 경미한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압박측과 견인측간의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미루어 볼 때 치아의 이동시에 EGFR의 증가는 치아 이동시에 가해지는 물리적 stress를 포함한 외부 환경의 변화로부터 치은 상피를 포함한 치주조직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반응으로 여겨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