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그림명명

Search Result 21,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The effect of eueing technique in acquired Hangul dyslexia (후천성 한글 난독증에서의 단서 주기 효과)

  • 조경덕;이광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292-296
    • /
    • 2000
  • 뇌손상에 기인하는 한글 난독증의 어휘처리 양상을 분석하여 한글정보처리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피험자 PSK의 한글 어휘처리에서 특히 주목되는 점은 단어의 음독은 가능하나, 비단어의 음독은 불가능하였다는 것이다. PSK의 한글 어휘처리는, 자소-음소변환(grapheme-phoneme conversion)경로가 선택적으로 손상되어, 심성어휘집(mental lexicon)의 발음정보를 이용하는 직접경로에 의해서 이루어진다고 판단된다. 읽기(reading)와 그림명명(picture naming)에서 나타난 오류들에 대하여, 음운적 단서(phonological cueing)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읽기 수행에서는 단서 주기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그림명명에서는 수행상의 향상이 나타났다. 또한, 1음절어의 읽기 수행에서는 규칙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2음절어의 읽기 수행에서는 빈도와 규칙성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이것은, PSK의 1음절어와 2음절어에 대한 읽기 수행이 상이한 경로에서 이루어질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Neural Substrates of Picture Encoding: An fMRI Study (그림의 부호화 과정과 신경기제 : fMRI 연구)

  • 강은주;김희정;김성일;나동규;이경민;나덕렬;이정모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3 no.1
    • /
    • pp.23-40
    • /
    • 2002
  • This study is to examine brain regions that are involved in picture encoding in normal adults using fMRI methods. In Scan 1, the picture encoding was studied during a semantic categorization task in comparison with word. In Scan 2 task type effects were studied both during a picture naming task and during a semantic categorization task with pictures. Subjects were asked to make decision either by pressing a mouse button (Scan 1) or by responding subvocally (naming or saying yes/no) (Scan 2). Regardless of stimulus type, left prefrontal, bilateral occipital, and parietal activations were observed during semantic processing in comparison with fixation baseline. Processing of word stimulus relative to picture resulted in activations in prefrontal and parieto-temporal regions in the left side while that of picture stimulus relative to word resultd in activations in bilateral extrastriatal visual cortices and parahippocampal regions. In spite of the same task demands, stimulus-specific information processings were involved and mediated by different neural substrates; the word encoding was associated with more semantic/lexical processings than pictures and the picture processing associated with more perceptual and novelty related information processings than word. Activations of dorsal part of inferior prefrontal region, i.e., Broca's areas were found both during the picture naming and during the semantic tasks subvocally performed Especially, during the picture naming task, greater occipital activations were found bilaterally relative to the semantic categorization task. indicating a possibility that greater and higher visual processing was involved in retrieving the name referred by picture stimuli.

  • PDF

A Korean Normative Study of 213 Pictures (한국판 그림자극의 규준연구)

  • 박미자;박태진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1 no.3_4
    • /
    • pp.57-72
    • /
    • 2000
  • A Korean standardized set of pictures has been called for as more and more studies utilized picture stimuli among memory and representation research. This article presents a Korean standardized set of pictures for studies probing the cognitive mechanisms that underlie picture and word processing or studies that simply utilize pictures stimuli. This norm provides 213 pictures, data on several variables such as name agreement, appropriateness of pictures. and familiarity. Previous data on such variables as frequency. category. and frequency within a category have been integrated 1 into this norm. Limitation, usage. and application of this set are discussed in terms of 1 implicit and explicit memory, and those variables mentioned previously.

  • PDF

말 실수와 의미 및 음운 정보 처리: 실험식 유도 말실수의 분석

  • Go, Hye-Seon;Lee, Jeong-M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6.10a
    • /
    • pp.114-122
    • /
    • 1996
  • 그림자극의 명명에 있어서 이름의 의미유사성, 음운유사성, 그리고 처리부담(말속도, 기억 부담)이 말 실수 오류수와 명명 시간에 주는 영향을 알기 위해 2개의 실험이 실시되었다. 의미(유사/상이), 음운(유사/상이) 변인에 추가하여 실험 1에서는 말속도(330ms, 385ms, 770ms)의 변인이, 실험 2에서는 인지적 부담(높음/낮음)의 변인이 조작되었다. 두 실험의 결과, 의미유사성과 음운유사성, 그리고 인지적 처리 부담이 말 실수의 양과 그림자극 명명 시간이 증가시킴이 드러났다. '의미유사' 조건 및 '음운유사 조건'과 '의미-음운 모두 유사' 조건간의 말실수의 양의 차이는 말 산출 과정에서의 어휘 인출 과정에 대한 '독립적 2단계 모형'과 '활성화 상호작용 모형' 중 전자에 의해 더 잘 설명될 수 있음이 논의되었다.

  • PDF

Individual Differences in Instrument Inference (도구추론의 온라인 생성과정에서의 읽기범위 개인차 효과)

  • 김성일;유현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201-206
    • /
    • 2000
  • 도구추론에서 읽기범위에 따른 개인차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2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 어휘판단과제를 사용한 결과 읽기범위가 큰 이해자는 도구추론을 온라인으로 생성하였지만, 읽기범위가 작은 이해자는 도구추론을 온라인으로 생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명명과제를 사용한 실험 2 에서는 읽기 범위에 관계없이 도구추론이 온라인으로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1과 2의 상반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언어이해과정에서는 발생하는 도구추론의 유형은 언어적인 도구추론과 시각적인 도구추론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어휘판단과제는 언어적 추론에 민감한 과제인 반면, 그림명명과제는 시각적 추론에 매우 민감함 과제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읽기범위가 작업기억의 음운루프 모듈에서의 처리효율성을 반영하는 측정치라는 점을 시사한다.

  • PDF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of icons (아이콘의 표상 방식에 따른 시각정보처리)

  • Park, Jin-Han;Han, Gwang-Hui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8 no.4
    • /
    • pp.19-33
    • /
    • 1997
  • Icon is a small graphic which represents a particular function in computer interface. Comprehension and learning of icons are needed for using them because they represent some meaning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ich were more important factors in using icons. First, representational characteristics of icons were examined. Second, using a eyetracker, the way of coding of redundant display was examined which removed obscurity of display and gave more meaning to a user. Icons using attribute of object and direct discription of action were more efficient than icons of other representational form in comprehension. Redundant display was proved to have some advantages, especially when the icons had low familarity.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of icons were discussed according to familarity and learning.

  • PDF

Vocabulary Learning from Storybooks : Effects of a Teacher's Reading Strategy on Korean Preschoolers with Different Prior Word Knowledge (이야기책을 통한 취학 전 아동의 어휘력 발달에 관한 연구 : 개인차에 따른 교사 읽기 방법의 차별적 영향을 중심으로)

  • Han, Eun Hae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
    • v.22 no.1
    • /
    • pp.251-271
    • /
    • 2001
  • 교사가 이야기책을 반복하여 읽어주는 (a multiple reading) 과정에서 아동이 새로운 단어에 해당하는 그림을 보고 그 단어를 명명하게 하는 (a labeling strategy) 읽기 방법이 아동의 어휘획득에 연령과 경험에 따라 차별적인 효과를 가져오는가, 또한 동일한 읽기 방법이 그룹 상황에 적용되었을 때 일대일 상황에서 얻어지는 효과와 같은 효율성을 갖는가의 문제가 각각의 실험에서 다루어졌다. 양 실험에서 각 연령 (4, 5세) 집단은 그림 어휘력 검사의 표준 점수 결과를 기준으로 하여, 상 하 두 어휘력 집단으로 나뉘어졌다. 아동이 설정된 새로운 단어를 획득한 결과는 comprehensive와 productive 어휘력 검사를 통해 측정되었다. 첫 번째 실험에서 4세와 5세 아동들은 각 연령 집단에서 교사가 일 대 일로 이야기책을 읽어줄 때, 수동적으로 듣거나 또는 설정된 단어에 해당하는 그림을 보며 직접 명명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첫 번째 실험에 참여한 4세 아동들이 같은 읽기 방법으로 그룹 상황에서 읽혀졌다. 첫 번째 실험 결과, 새로운 단어를 comprehend 하고 produce 하는데 5세 아동이 4세 아동 보다 나은 기제를 갖고 있는지는 분명히 밝혀지지 않았다. 결과를 통해 분명하게 밝혀진 것은 이야기책이 읽혀지는 동안 얻어지는 comprehensive 어휘와 productive 어휘에는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아동들은, 특히 어릴수록, 새로운 단어를 comprehend 하는데 있어서는 labeling strategy의 효과를 보지 못한 반면, 단어를 produce 하는데 있어서는 동일한 방법이 단순한 반복 읽기 보다 효과적이었다. 덧붙여, 어휘력에 있어 상위 집단에 속한 아동이 하위 집단에 속한 아동 보다 더 많은 단어를 comprehend 하고 produce 한다는 점을 확인시켰다. 두 번째 실험 결과는 그룹 상황에서 4세 아동에게 이야기책을 읽어줌으로써 새로운 단어를 획득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사용된 labeling strategy는 특히 productive 어휘 획득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일대일 상황에서 뿐 아니라 그룹 상황에서도 중요한 요소로 보였다. 덧붙여, productive 어휘 획득에 있어서 labeling strategy의 효과는 어휘력에 있어 하위 집단에 속한 아동에게는 상황에 따라 다른 결과를 가져왔다. 즉, labeling strategy의 효과에 있어서 하위 집단의 아동들은 그룹보다 일대일 상황에서 productive 어휘를 더 많이 획득했다. 연구결과, productive 어휘력 발달을 위하여 교사는 일대일 책읽기 뿐 아니라 그룹 책 읽기에서도 labeling strategy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야 하며, 비교적 적은 어휘력을 갖고 있는 아동에게는 일대일 상황에서 labeling strategy를 사용하여 이야기책을 읽어주는 시간을 할당할 것을 제시했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rrors Type for Wellness of Alzheimer's Dementia Patients in the Naming Task (알츠하이머성 치매환자의 웰니스를 위한 명명하기 과제에서의 오류유형 특성 연구)

  • Kang, Min-Gu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4 no.8
    • /
    • pp.213-219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error types in naming task for 8 questionable demeatia groups, 9 definite dementia groups, and 10 normal groups. The items of naming error analysis were classified into visual perception errors, semantic association errors, semantic non-correlation errors, phoneme errors, Don't Know, and No Response. For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using SPSS 21.0.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rror rat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error type. The error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other two groups were visual perception errors and semantic non-related errors. The error of non-response was different from the dementia confirmation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dementia suspicion group. These results showed that Alzheimer's patients had a defect in confrontation naming ability. Also, it was found that it is appropriate to provid other clues when the defects caused by the degeneration of a specific step dur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become severe.

The Cortical representation in Korean-English picture naming: fMRI study (한국어-영어 그림 명명 시 나타나는 대뇌 영역: fMRI 연구)

  • Choi Wonil;Cho Kyungdnk;Nam Kichun
    • Proceedings of the KSPS conference
    • /
    • 2003.05a
    • /
    • pp.93-96
    • /
    • 2003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cortical activation in naming the picture in Korean and English. Experimental design was 2(Korean, English) language condition x 4(no distractor, semantic related distractor, semantic unrelated distrator, corresponding distractor) distractor condition. language condition was between subject factor and distractor condition was within subject factor. The result was that Korean naming condition showed less cortical activation than English naming condition. The activation region was reported in each condition.

  • PDF

Neural bases underlying Native or Foreign word production, and Language switching (모국어와 외국어의 단어산출 및 언어 간 전환에 따른 뇌 활성화 과정)

  • Kim, Choong-My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3
    • /
    • pp.1707-1714
    • /
    • 2015
  • The neural bases underlying within or between-language picture naming was investigated by using event-related fMRI. The present suudy explorered the following two goals: The first is to compare cortical activation areas relevant to naming process in native and foreign language, and to decide whether the activation pattern of the foreign word will be the same as native words or not. The next is to find the cerebral areas involved only in alternating language switching between native and foreign language condition. Differential activation patterns were observed for language switching against one-language. Both naming tasks all activated the left inferior frontal gyrus (LIFG) as expected. However the differences in naming between languages were reflected in the activation amount of the LIFG, namely more activation in naming the native language than the foreign language. Especially, naming of the foreign word from English showed the similar area and size in activation with native language suggesting that the process of borrowed noun resembles that of native common noun. And the language switching between languages newly activated the right middle frontal gyrus as well as the left inferior frontal areas. The right middle frontal gyrus engagement in switching conditions obviously identified that right hemisphere is recruited in code switching possibly with respect to meta-cognition controlling language index at a subconscious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