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알츠하이머성 치매환자의 웰니스를 위한 명명하기 과제에서의 오류유형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rrors Type for Wellness of Alzheimer's Dementia Patients in the Naming Task

  • 강민구 (세한대학교 언어치료학과)
  • Kang, Min-Gu (Departmen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Sehan University)
  • 투고 : 2020.11.16
  • 심사 : 2020.12.29
  • 발행 : 2020.12.31

초록

본 연구는 치매의심군 8명, 치매확정군 9명 및 정상군 10명을 대상으로 명명하기 과제에서 오류 유형의 특성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명명하기의 오류 분석 항목은 시지각적 오류, 의미적 연관 오류, 의미적 비연관 오류, 음소적 오류, 모름, 무반응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21.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분산분석,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오류유형에 따라 집단 간 오류율에는 유의한 차이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군이 다른 두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인 오류는 시지각 오류와 의미적 비연관 오류이며, 무응답 오류는 치매확정군과는 차이가 있었으나, 치매의심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들이 그림 명명하기 능력에 결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보처리과정 중 특정 단계의 퇴행으로 인한 결함이 심해지면 다른 단서를 제공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error types in naming task for 8 questionable demeatia groups, 9 definite dementia groups, and 10 normal groups. The items of naming error analysis were classified into visual perception errors, semantic association errors, semantic non-correlation errors, phoneme errors, Don't Know, and No Response. For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using SPSS 21.0.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rror rat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error type. The error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other two groups were visual perception errors and semantic non-related errors. The error of non-response was different from the dementia confirmation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dementia suspicion group. These results showed that Alzheimer's patients had a defect in confrontation naming ability. Also, it was found that it is appropriate to provid other clues when the defects caused by the degeneration of a specific step dur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become severe.

키워드

과제정보

This paper was supported by the Sehan University Research Fund in 2020.

참고문헌

  1. 한일우, 곽동일(1997). Alzheimer병의 증상. 계명의대논문집, 16(3): 339-347.
  2. Appell, J., Kertesz, A., & Fisman, M.(1982). A study of language functioning in Alzheimer patients. Journal of Brain and Language, 17(1): 73-91. https://doi.org/10.1016/0093-934X(82)90006-2
  3. Bowles, N.L., Obler, L.K., Albert, M.L.(1987). Naming errors in healthy aging and dementia of Alzheimer's type. Journal of Cortex, 23(3): 519-524. https://doi.org/10.1016/S0010-9452(87)80012-6
  4. 박은실, 정옥란, 강수균(2005). 알쯔하이머성 치매 환자의 내용어 명명하기에 관한 비교 연구. 언어치료연구, 14(2): 217-228.
  5. 김향희, 나덕렬(1997). 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K-BNT: Korean-Version-Bostion Naming Test), 학지사.
  6. Bayles, K.A., Tomoeda, C.K., Kaszniak, A. W., & Trosset, M.W.(1991). Alzheimer's disease effects on semantic memory: Loss of structure or impaired processing?.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3(2): 166-182. https://doi.org/10.1162/jocn.1991.3.2.166
  7. Chenery, H.J., Murdoch, B.E., & Ingram, J.C. L.(1996). An investigation of confrontation naming performance in Alzheimer's dementia as a function of disease severity. Journal of Aphasiology, 10(5): 423-441. https://doi.org/10.1080/02687039608248423
  8. 권영철, 박종한(1989). 노인용 한국판 MMSE-K (Mini-Mental state examination)의 표준화 연구. 신경정신의학, 28(1): 125-135.
  9. 강연욱, 김향희, 나덕렬(2000). 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K-BNT)의 병렬 단축형 개발. 대한신경과학회지, 18(2): 144-150.
  10. 강은희, 박희정, 정옥란(2005). 알쯔하이머 치매 환자의 명명하기 능력에 관한 연구. 언어치료연구, 14(1): 213-224.
  11. 김향희, 김은연, 나덕렬(1997). 알쯔하이머성 치매환자의 이름대기장애: 한국판 보스턴 이름대기검사 상의 오류를 중심으로. 대한신경과학회지, 15(5): 1012-1021.
  12. 김현경, 김승미, 이은주(2020). 경도 알츠하이머성 치매환자와 경도 혈관성 치매환자의 쓰기서술 특성. 언어치료연구, 29(2): 1-12.
  13. 이은하(1999). 여성 경도 알쯔하이머형 치매군, 치매의심군 그리고 비치매 대조군간의 신경인지기능 비교,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차영, 이준엽, 김진성, 이종범, 구본훈(2011). 알쯔하이머형 치매에서 한국판 보스톤 이름 대기검사와 지연회상검사 조합의 진단적 유용성. 생물치료정신의학, 17(1), 30-37.
  15. 모경옥, 성지은, 정지향(2015). 명사 친숙도를 활용한 의미자질중재가 초기 알츠하이머성 치매노인의 이름대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0(1): 34-47. https://doi.org/10.12963/csd.14215
  16. 변해원(2020). 경도인지장애와 경도 치매의 감별을 위한 대면 이름대기와 범주 이름대기의 예측 성능 비교.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1(5): 153-158. https://doi.org/10.15207/JKCS.2020.11.5.153
  17. Salmon, D.P., Thomas, R.G., Pay, M.M., Booth, A., Hofstetter, C.R., Thal, L.J. & Katzman, R.(2002). Alzheimer's disease can be accurately diagnosed in very mildly impaired individuals. Journal of Neurology, 59(7): 1022-1028. https://doi.org/10.1212/WNL.59.7.1022
  18. 황순희(2014). 동작 명명하기 과제에 나타난 알츠하이머형 치매환자와 일반아동의 분리성 동사 사용. 언어과학, 21(1): 235-262.
  19. 현안나, 최현주(2019). 경도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단어 빈도, 길이 및 생물성에 따른 이름대기 특성. 재활복지, 23(3): 165-182.
  20. 이선미, 김수련, 김진동(2017).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의 중증도에 따른 대면이름대기 능력과 어휘유창성.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13(4): 345-351. https://doi.org/10.21848/asr.2017.13.4.345
  21. 강지윤, 성지은, 이수은(2015). 컴퓨터프로그램을 활용한 알츠하이머성 치매환자의 지남력 및 명사 이름대기 중재 효과.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0(2): 237-254 https://doi.org/10.12963/csd.15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