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그린 학교

Search Result 56,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Development of Guideline for Introduction of Green IT (초.중등학교 그린 IT 도입 가이드라인 개발)

  • Park, Sun-Ju;Kang, Ah-You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235-240
    • /
    • 2010
  • 지구온난화는 글로벌 최우선 과제로 급부상하고 있다. 지구온난화의 원인인 $CO_2$와 에너지 절감을 위해 현재 그린 IT 개념에 대해 활발히 논의 중이며 국가뿐만 아니라 기업에서도 그린 IT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교육기관의 그린 IT 관련 연구는 시작단계에 불과하다. 현재 초 중등학교에서 교육정보화 사업에 의한 IT 장비의 증가로 에너지 소비 및 $CO_2$ 배출 증가가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에 IT를 도입하는 데 있어 그린화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현재 출시되고 있는 그린 IT 제품 현황을 조사하여 학교에 보급된 IT 제품의 그린화 현황을 파악한다. 국내 외에서 설계 및 생산되는 IT 제품에 부여하는 각종 규제 및 지침과 IT관련 규제와 친환경적 속성을 평가하여 부여하는 환경마크제도 등을 조사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초 중등학교에서 그린 IT 제품 도입 시에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 PDF

Research on the State of utilization of Green School and Suggested Improvement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ase (그린스쿨 활용실태 분석과 개선방안 ;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Choi, Hyeong-ju;Shin, Hwaj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7 no.1
    • /
    • pp.1-11
    • /
    • 2018
  • The aims of this research are investigating and analysing background, enforcement situation, distinct features and current status of green schools which have been conducted by the government targeting decrepit schools. Based on this investigation and analysis the solution for vitalizing green schools will be sought because green schools are more effective in reducing energy and greenhouse gas and they are more appropriate methods for schools. With internal and external literature reviews the concept and background of overseas green school policies and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re analyzed. Based on the investigation into current status of green schools in Korea and eco-schools and super eco-schools in Japan which are benchmarking objects of green schools project in Korea the problems and outcomes of green schools in Korea are diagnosed. By analyzing cases of eco-schools and super eco-schools in Japan implications for introducing to Korea are considered.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earches this study suggests the improvement plan for vitalizing green schools project and similar projects.

Development of Making Green Elementary/Secondary School Model through the Educational Information (교육정보화를 통한 초.중등 녹색학교(GS) 만들기 모델 개발)

  • Park, Sun-Ju;Lee, Seung-Jin;Kim, You-Ho;Kang, A-Young;Oh, Joung-E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4 no.3
    • /
    • pp.355-364
    • /
    • 2010
  • Elementary/secondary school must make the scheme for the Low Carbon Green Growth embodiment because of the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 Low Carbon Green Growth Policy for responding to global environmental crisis. This paper proposes a plan to make green elementary/secondary school model through the educational information. It divides into 'Greening of IT Information Resources' and 'Greening of Education Environment' through the educational information'. It is expected to embody Green School if these projects are realized to the elementary/secondary school. 'Greening of IT Information Resources' suggests the guideline necessary to the introduction of IT products, the method to abandon considering recycling IT products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model. 'Greening of Education Environment' proposes the IT green practice method for teachers and students to keep and shows the practice of various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 to seek a conversion to low carbon education environment. It is expected to embody Green School if these projects are realized to the elementary/secondary school.

  • PDF

Proposal on program to practice Green-IT of School (학교에서의 그린 IT 실천 방안 제안)

  • Park, Sun-Ju;Oh, Jeong-E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241-246
    • /
    • 2010
  • IT 장비 및 기기의 확산과 전력 소비의 증가로 인한 환경문제가 점차 심각한 국제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하면서, IT 부문의 $CO_2$ 배출과 에너지 절감을 위해 그린 IT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린 IT는 교육기관에서도 에너지 효율화 및 사교육비 절감 등의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저탄소 녹색성장을 견인하는 녹색정보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기관에서의 녹색정보화를 위해, 학교 구성원들인 교사 학생들이 지켜야 할 그린 IT 사용 지침 및 이를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교육활동을 제안하였다.

  • PDF

도시 오픈스페이스를 활용한 그린네트워크 구축

  • 김기호;김수봉;조진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77-179
    • /
    • 2003
  • 기존 자연녹지인 앞산, 금호강/낙동강, 와룡산과 대상지내 산재해 있는 공원녹지를 연결하여 환상형(環狀形)의 그린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그린네트워크 조성에 따른 기존 자연녹지와 공원녹지 사이의 연계 방안으로 도시내 오픈스페이스인 학교용지를 선택하고 이를 연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공원녹지의 위치상 1면이상이 도로와 접하고 있어 이를 연계하기 위한 가로공간의 녹화를 추진하여 녹지축을 연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도시내 자연녹지 중 도시하천의 역할을 분석하여 본 결과, 대상지내 그린네트워크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하천변을 녹화하는 계획을 추진하여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Technology of Plant Cultiv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USN (USN 기반의 식물 생장환경 관리시스템 기술)

  • Rhee, In-Baum;Ryu, Daehyun;Shin, Seung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04a
    • /
    • pp.194-197
    • /
    • 2010
  • 본 연구는 USN 기반의 그린하우스 내에서 식물을 재배함에 있어, 식물 생장의 효과적 요인을 추출 및 계량화함으로써 재배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 연구 수행을 위하여 그린하우스를 설치하고 내부에 다양한 센서를 장착한 후, 원격지에서 그린하우스 내부의 환경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화를 시도하였다. 또한 분석된 결과를 웹사이트와 모바일 상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 과제 수행을 통하여 거둔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린하우스 내의 환경정보를 원격지에서 안정적으로 수신하고, 이를 정보 유형별로 구분, 데이터베이스를 성공적으로 구축하였다. 둘째, USN 기반의 그린하우스를 실제 구성함으로써, 부품 간의 결합 및 관련 기술의 적용에 대한 적합성, 안정성 등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그린하우스의 환경정보를 웹사이트 및 모바일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그린하우스 내의 식물 재배 환경을 관리함에 있어 장소의 제한을 해소함을 물론 USN 기술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 Study on Development of Green IT Education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을 위한 그린 IT 교육내용 개발연구)

  • Jun, Wooch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8 no.1
    • /
    • pp.89-100
    • /
    • 2014
  • While every nation in the world is emphasizing economic growth, we are confronting a side effect called environmental pollution. The main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is abuse of fossil fuels which emit carbon dioxide and are causing various problems including global worming. Green IT becomes popular as a method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as well as a method to develop IT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education contents of green I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extensive literature review works have been searched and analysed. In this paper, education contents of green IT are developed for three categories, knowledge, application, and ethic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practical guidelines in application category, 55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randomly selected and their responses are gathered and analyzed through thorough statistical work. We expect that the proposed education contents will be guidelines for future green IT education.

메사추세츠 주의 그린빌딩 프로그램

  • 에너지절약전문기업협회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21
    • /
    • pp.62-67
    • /
    • 2003
  • 최근 많은 미국 주정부에서는 재생 전기를 지원할 클린에너지기금을 조성하였다. 이 기금을 현재까지 조성했던 15개 주정부에서는 재생에너지 투자에 대해 1998년에서 2012년까지 35억달러를 조성할 예정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재생에너지를 위한 진취적인 주정부에게는 새로운 경향이지만, 이 기금들의 초기경험을 보고하고, 공유하려는 노력은 거의 없었다. 클린에너지그룹과 제휴하고 있는 Berkeley 연구실은 이러한 클린에너지 기금의 사용에 대해 보고할 사례 연구를 시작했다. 이 연구의 주요한 목적은 정보의 추가적인 원천을 강조하고, 연락처를 확인하기 위해 주정부의(그리고 몇몇의 국제적인 사례) 클린에너지기름의 혁신적인 프로그램과 관리적인 실제에 대해 간단히 보고한다. 우리의 바람은 이 사례 연구가 새로이 확립된 클린에너지기금의 관리자들에게 유용하고, 신규로 클론에너지기금의 조성하려는 선봉적인 재생에너지 노력에 대한 학습에 관심을 가진 기금관리인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라는 것이다. 새로운 몇 개의 사례 연구가 매년 추진될 것이다. 이번에 소개하는 사례는 매사추세츠 주정부의 그린빌딩프로그램으로 그린학교와 그린빌딩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미 에너지부의 선도적인 클린에너지 기금 연구 보고서 중에서 발췌)

  • PDF

Green UCR (User Created Robot) in r-Learning (r-Learning에서의 Green UCR (User Created Robot))

  • Kim, Jin-Oh;Han, Jeong-Hye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5a
    • /
    • pp.260-265
    • /
    • 2010
  • 국제적으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지구 온난화와 환경문제는 제조업체, 유통업체, 서비스업체 뿐만 아니라 교육현장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창의성 증진에 대한 기대로 성장하고 있는 로봇교육은 OECD 및 EU 국가정부의 환경영향 카테고리인 유독성, 비에너지 자원고갈의 문제와 연결된다. 본 논문에서는 r-Learning을 위한 교구로봇교육에서 환경이슈를 고려하는 미래지향적 Green UCR(User Created Robots)에 대한 이론적 개념을 정립하고자 한다. 그리고 교과부에서는 '친환경 그린스쿨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창의성 증진뿐만 아니라 환경보호에 대한 인지적 교육 효과가 매우 큰 초등학교의 Green 로봇교육은 제대로 조명받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국내외 Green 로봇 제품 및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국내의 초등 방과후학교 로봇교실에서의 연간 전국 건전지 사용실태 추정수치와 교사의 Green UCR에 대한 이슈를 조사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를 토대로 업체, 교육기관, 정부를 위한 그린 UCR 교육 서비스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