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그린

Search Result 2,56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Residents'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Urban Greenway -Centered on the Greenway of Zhengzhou Dongfeng Canal- (도시 그린웨에이 대한 감지(感知)와 평가 연구 -정주시(郑州市) 동풍거(东风渠) 그린웨이를 중심으로-)

  • Zhang, Lin;Moon, Jeong-M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5
    • /
    • pp.919-929
    • /
    • 2022
  • As a new type of healthy public space, greenway users carry out leisure activities, exercise, sightseeing and necessary transportation in greenway. However, at present, there is little research on greenway users' evaluation and perception of greenway, and there is no comprehensive exploration of Greenway environment from a humanistic perspective. Combined with the research and actual situation of the existing representative greenways in Chinese cities, this paper refers to a large number of documents, applies the semantic difference metho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Dongfengqu greenway, explores the influencing factors and impact evaluation of the greenway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greenway users' perception, and puts forward suggestions on the optimization of the greenway environment in Zhengzhou from multiple levels. The main conclusion of this paper comes from the data conclusion obtained by semantic difference method, which is feasible in the resident evaluation of greenway use. The feedback results of post use evaluation can provide a reliable reference for the planning and design of similar greenways in the future.

그린빌딩을 위한 저압 직류배전기술

  • Lee, Gyeong-Ho
    • KIPE Magazine
    • /
    • v.15 no.5
    • /
    • pp.32-39
    • /
    • 2010
  • 최근 그린에너지 시대의 급작스런 도래와 더불어 전력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전기에너지의 고효율 사용과 지능형 전력망 기술인 스마트그리드가 국가차원의 저탄소 녹색성장의 중추 산업분야가 될 전망이다. 이와 더불어 그린홈, 그린빌딩, 그린ICT, 신재생에너지 및 전기자동차를 망라하는 고효율 에너지 네트워크 인프라로 직류배전이 부각되고 있다. 최근 태양광, 연료전지 등 직류 기반의 분산전원 보급의 활성화, 정보화 확산으로 인해 직류를 필요로 하는 정보통신기기의 대폭확대, 전기자동차 보급에 따른 전력저장장치의 확산, LED와 같은 조명부하의 확대 등 변화된 환경 속에 전체 시스템 에너지 효율화, 전력품질의 개선을 위해 교류(AC)가 아닌 직류(DC)로 공급하는 직류배전의 도입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미래 직류전력시스템의 예측 및 당사가 2009년 말 그린홈에 직류배전을 구축한 실증사례를 소개하고 현재 조기 상용화를 목표로 기술개발을 진행 중인 그린빌딩 적용을 위한 저압 직류배전기술의 개념 및 구현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A Technology of Plant Cultiv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USN (USN 기반의 식물 생장환경 관리시스템 기술)

  • Rhee, In-Baum;Ryu, Daehyun;Shin, Seung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04a
    • /
    • pp.194-197
    • /
    • 2010
  • 본 연구는 USN 기반의 그린하우스 내에서 식물을 재배함에 있어, 식물 생장의 효과적 요인을 추출 및 계량화함으로써 재배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 연구 수행을 위하여 그린하우스를 설치하고 내부에 다양한 센서를 장착한 후, 원격지에서 그린하우스 내부의 환경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화를 시도하였다. 또한 분석된 결과를 웹사이트와 모바일 상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 과제 수행을 통하여 거둔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린하우스 내의 환경정보를 원격지에서 안정적으로 수신하고, 이를 정보 유형별로 구분, 데이터베이스를 성공적으로 구축하였다. 둘째, USN 기반의 그린하우스를 실제 구성함으로써, 부품 간의 결합 및 관련 기술의 적용에 대한 적합성, 안정성 등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그린하우스의 환경정보를 웹사이트 및 모바일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그린하우스 내의 식물 재배 환경을 관리함에 있어 장소의 제한을 해소함을 물론 USN 기술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3th Green Packaging Contest (제3회 그린패키징 공모전)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49
    • /
    • pp.108-118
    • /
    • 2014
  • 환경부가 주최하고 (사)한국환경포장진흥원이 주관하는 제3회 그린패키징 공모전 시상식이 12월 9일 엘타워 엘하우스홀에서 열렸다. 그린패키징 공모전은 우수한 친환경 포장기술 및 디자인을 발굴, 시상함으로써 친환경 포장에 대한 인식 및 관심을 제고하여 관련 학생 및 종사자들의 사기진작과 기술개발 의욕을 고취시킨다는 목적 아래 금번 제3회를 맞고 있다. 특히 친환경 포장과 관련한 신기술 개발을 촉진함으로써 자원 절약과 녹색 성장에 기여한다는 취지를 갖고 있다. 제3회 그린패키징 공모전에서는 일반 부문 10개 업체 16점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으며, 학생부문에서도 5개교 12점이 수상했다. 본 고에서는 제3회 그린패키징 공모전 수상작들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에너지 절감형 그린 네트워크 기술 동향

  • Kim, Tae-Il;Park, U-Gu;Yang, Seon-Hui;Kim, Seong-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6 no.9
    • /
    • pp.8-15
    • /
    • 2009
  • 자원 고갈로 인한 에너지 부족과 온실가스 방출량 증가에 기인한 기후변화 등의 환경문제가 인류에게 현실적인 위협으로 등장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응으로 전세계가 IT의 역할과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구미 선진국들은 환경과 IT의 전략적 융합을 통한 그린 IT를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신성장 동력으로 인식하고, 저탄소 사회로의 전환 촉진을 위하여 정부 차원의 정책을 도모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그린 IT의 전략적 추진에 있어서 그린화의 인프라 핵심 기술인 에너지 절감형 그린 네트워크 기술의 전반적인 동향을 살펴본다.

ITU-T의 그린ICT 표준화 현황과 전망

  • Kim, Hyeong-Jun;Im, Jeong-Il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6
    • /
    • pp.22-27
    • /
    • 2012
  •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 고조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서 그린 ICT 관련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린 ICT 관련 기술 개발과 함께 해당 기술의 국제표준화가 ITU-T를 비롯해 ISO, IEC, ISO/IEC JTC 1 등 국제 표준화 기구와 ETSI, ATIS, Ecma International, GHG Protocol, The Green Grid, GreenTouch등 지역표준화 기구 및 사실 표준화 기구를 통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린ICT의 의미를 살펴보고, ITU-T의 주요 표준화 그룹들의 그린 ICT 표준화 현황과 전망에 대해 소개한다.

The Way of Activating the Green Campus around the University (대학가 주변 그린캠퍼스 활성화 방안)

  • Eum, Ye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241-242
    • /
    • 2016
  • 본 연구는 학생 주도 하에 대학가 주변 그린캠퍼스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연구한 것이다. 대학가 주변은 주로 학생들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넓은 의미에서 그린캠퍼스에 포함될 수 있다. 자원 및 에너지의 절감 차원에서 볼 때 대학가 주변에 분리 쓰레기통 설치는 필요하다. 그러나 설치와 운영에 따른 비용 문제를 해결해야 가능하다. S대학의 사례는 이에 좋은 사례로 볼 수 있다.

  • PDF

u-그린포트 제도의 도입 제언

  • Jang, Mi-Suk;Mun, Il-Seong;Lee, Dong-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107-108
    • /
    • 2007
  • 본 논문은 항만의 친환경성을 평가하여 그린포트 등급을 부여함은 물론 유비쿼터스 기술을 접목하여 보다 첨단화된 항만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u-그린포트에 대한 제언이다.

  • PDF

그린카 산업 동향

  • Kim, Cheol-Su
    • KIPE Magazine
    • /
    • v.14 no.4
    • /
    • pp.19-22
    • /
    • 2009
  • 최근 금융위기로 인한 자동차 산업의 급격한 경기 침체는 급기야 GM의 파산을 몰고 왔다. 그런데 GM 파산의 중대한 이유가 그린카 기술을 등한시하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몇 년 사이에 갑자기 부각되고 있는 그린카는 이제는 누구나 향후 자동차 산업에서 주류가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여기서는 이렇게 그린카가 갑자기 부상한 이유에 대해 살펴 보고 각국의 정책과 메이커의 대응 동향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향후그런카에 대한 전망과 대응방안에 대해 논하고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