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그린정보화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Influences of Green Informatization levels on Logistics Performance (물류기업의 그린정보화 수준이 물류성과에 미치는 영향)

  • Jo, Jong-Won;Chang, My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215-216
    • /
    • 2016
  • 그린정보화(Green Informatization)는 기후변화 문제에 대처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기술적인 해결책의 한 부분으로 활용되어 저탄소 녹색성장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인식 되고 있다. 기업의 그린정보화를 실천하기 위하여 도입하는 친환경적인 정보시스템은 기업에서 에너지 절감과 지속가능한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게 되는 실천 도구가 되고 있다. 물류기업들도 녹색물류를 실천의 일환으로 그린정보기술(Green IT)을 도입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PDF

그린 IT와 유비쿼터스 정보화 기술의 주요이슈분석

  • Jo, Yeong-Im
    • ICROS
    • /
    • v.15 no.4
    • /
    • pp.28-37
    • /
    • 2009
  • 여기에서는 그린 IT와 유비쿼터스 정보화 기술의 주요이슈들을 분석하였다. 그린 IT의 주요 이슈는 어떻게 하면 $CO_2$ 배출량을 줄일 것인가에 있고, 유비쿼터스 정보화에서는 언제 어디서나와 같은 유비쿼터스 개념을 담은 웰빙 서비스 기술들을 어떻게 구현하느냐에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이러한 웰빙 사회를 위한 u-그린 도시 전략을 소개하고자 한다.

Development of Making Green Elementary/Secondary School Model through the Educational Information (교육정보화를 통한 초.중등 녹색학교(GS) 만들기 모델 개발)

  • Park, Sun-Ju;Lee, Seung-Jin;Kim, You-Ho;Kang, A-Young;Oh, Joung-E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4 no.3
    • /
    • pp.355-364
    • /
    • 2010
  • Elementary/secondary school must make the scheme for the Low Carbon Green Growth embodiment because of the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 Low Carbon Green Growth Policy for responding to global environmental crisis. This paper proposes a plan to make green elementary/secondary school model through the educational information. It divides into 'Greening of IT Information Resources' and 'Greening of Education Environment' through the educational information'. It is expected to embody Green School if these projects are realized to the elementary/secondary school. 'Greening of IT Information Resources' suggests the guideline necessary to the introduction of IT products, the method to abandon considering recycling IT products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model. 'Greening of Education Environment' proposes the IT green practice method for teachers and students to keep and shows the practice of various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 to seek a conversion to low carbon education environment. It is expected to embody Green School if these projects are realized to the elementary/secondary school.

  • PDF

Proposal on program to practice Green-IT of School (학교에서의 그린 IT 실천 방안 제안)

  • Park, Sun-Ju;Oh, Jeong-E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241-246
    • /
    • 2010
  • IT 장비 및 기기의 확산과 전력 소비의 증가로 인한 환경문제가 점차 심각한 국제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하면서, IT 부문의 $CO_2$ 배출과 에너지 절감을 위해 그린 IT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린 IT는 교육기관에서도 에너지 효율화 및 사교육비 절감 등의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저탄소 녹색성장을 견인하는 녹색정보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기관에서의 녹색정보화를 위해, 학교 구성원들인 교사 학생들이 지켜야 할 그린 IT 사용 지침 및 이를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교육활동을 제안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Guideline for Introduction of Green IT (초.중등학교 그린 IT 도입 가이드라인 개발)

  • Park, Sun-Ju;Kang, Ah-You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235-240
    • /
    • 2010
  • 지구온난화는 글로벌 최우선 과제로 급부상하고 있다. 지구온난화의 원인인 $CO_2$와 에너지 절감을 위해 현재 그린 IT 개념에 대해 활발히 논의 중이며 국가뿐만 아니라 기업에서도 그린 IT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교육기관의 그린 IT 관련 연구는 시작단계에 불과하다. 현재 초 중등학교에서 교육정보화 사업에 의한 IT 장비의 증가로 에너지 소비 및 $CO_2$ 배출 증가가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에 IT를 도입하는 데 있어 그린화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현재 출시되고 있는 그린 IT 제품 현황을 조사하여 학교에 보급된 IT 제품의 그린화 현황을 파악한다. 국내 외에서 설계 및 생산되는 IT 제품에 부여하는 각종 규제 및 지침과 IT관련 규제와 친환경적 속성을 평가하여 부여하는 환경마크제도 등을 조사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초 중등학교에서 그린 IT 제품 도입 시에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 PDF

그린빌딩을 위한 저압 직류배전기술

  • Lee, Gyeong-Ho
    • KIPE Magazine
    • /
    • v.15 no.5
    • /
    • pp.32-39
    • /
    • 2010
  • 최근 그린에너지 시대의 급작스런 도래와 더불어 전력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전기에너지의 고효율 사용과 지능형 전력망 기술인 스마트그리드가 국가차원의 저탄소 녹색성장의 중추 산업분야가 될 전망이다. 이와 더불어 그린홈, 그린빌딩, 그린ICT, 신재생에너지 및 전기자동차를 망라하는 고효율 에너지 네트워크 인프라로 직류배전이 부각되고 있다. 최근 태양광, 연료전지 등 직류 기반의 분산전원 보급의 활성화, 정보화 확산으로 인해 직류를 필요로 하는 정보통신기기의 대폭확대, 전기자동차 보급에 따른 전력저장장치의 확산, LED와 같은 조명부하의 확대 등 변화된 환경 속에 전체 시스템 에너지 효율화, 전력품질의 개선을 위해 교류(AC)가 아닌 직류(DC)로 공급하는 직류배전의 도입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미래 직류전력시스템의 예측 및 당사가 2009년 말 그린홈에 직류배전을 구축한 실증사례를 소개하고 현재 조기 상용화를 목표로 기술개발을 진행 중인 그린빌딩 적용을 위한 저압 직류배전기술의 개념 및 구현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Green Marketing and Attitude of Companies (그린 마케팅과 기업의 자세)

  • Cho, Hag-Ra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convergence
    • /
    • v.1 no.1
    • /
    • pp.55-5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about recent marketing environment pertaining to green marketing and corporations' countermeasures in the future. Among other changes in business environment, green marketing has brought big changes in corporations' business strategy. Unlike past business where environment was considered non-relevant to corporate business, green marketing became one of essential and indispensable strategies in modem corporate stratey.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find out about change in marketing environment and the background of green marketing as well as forecast attitudes of corporations and their future in order to satisfy consumers with various desires who are flooded by information.

  • PDF

차세대 그린 IDC 구축을 위한 국내.외 표준화 동향 및 전망

  • Lee, Jae-Bong;Lee, In-Su;Choe, Jeong-Yeol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6
    • /
    • pp.14-21
    • /
    • 2012
  • 지식 정보화 사회로의 진입 이후로 IT 기술은 눈부실 정도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로 인해서 IT 분야의 전력 소비량도 급증하고 있으며, 전체 전력량의 약 2%를 차지하고 있다. 지구 온난화를 해결하기 위해서 IT 분야 자체의 에너지 절감은 물론 IT 기술을 활용한 가정 및 산업 분야의 에너지를 절감하려는 노력이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데이터센터는 IT 분야의 총아로 불리며 정보 제공 및 데이터웨어 하우스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센터와 관련하여 더욱 주목해야할 것은 데이터센터가 전기먹는 하마처럼 엄청난 양의 전력을 소비한다는 것이다. 데이터센터는 그 용량 뿐만 아니라 그 수도 급증하고 있어 에너지 절감은 데이터센터의 미래를 결정짓는 핵심적이면서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본고에서는 에너지 효율적인 데이터센터, 즉 그린 IDC(Internet Data Center) 분야의 표준화 동향 및 전망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먼저 1장에서는 그린 IDC 연구에 대한 필요성과 국내외 유관 표준화 기구의 현황을 소개한다. 2장에서는 그린 IDC의 정의와 그린 IDC관련 표준화 동향을 살펴본다. 특히 ISO, ITU-T를 비롯한 국제 표준화 기구의 동향과 산업체 표준을 살펴본다. 한다. 3장은 2장에서 살펴본 국제 표준화 기구 및 산업체 표준을 바탕으로 향후 그린 IDC 표준화 추진을 위한 국제 및 국내표준화 추진 방향을 전망해본다.

Reduction Effect of CO2 Discharge of Green PC (그린 PC의 탄소(CO2) 배출량 감축효과)

  • Kim, Young-Geil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9C no.2
    • /
    • pp.115-121
    • /
    • 2014
  • Since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ge and information technology might be considered to cause environmental problems, Green IT is perceived as core technology for low carbon green growth and the minimum waste of electricity. In this vein, Green IT is becoming new paradigm of focusing on natural environment. This study examines current various IT required for green growth, and studies various methods for diminution of carbon discharge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Especially, it focuses on the diminution effect of carbon discharge by using Green PC, and compares the difference of voltage, voltaic current, and the use of electricity between Normal PC and Green PC by using HPM-300A, and measures carbon discharge of Normal PC and Green PC. The result shows that the diminution effect of $CO_2$ discharge of Green PC is amount to 11.5Kg per year, and the effect of green growth is up to the conservation of 2 or 3 pine trees.

Green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A Decade in Review and Future Agenda (그린 정보시스템 연구: 과거 10년간 연구 동향 분석 및 향후 과제)

  • Lee, Ha-Bin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7 no.4
    • /
    • pp.3-23
    • /
    • 2020
  • It has been two decades since Green Information System attracted scholars in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The surge of sustainability issues over the world naturally made Information Systems scholars to turn their attention to understanding how the use of Information Systems is making impact to our society and environments. This paper reviews studies on Green Information Systems(Green ISs) to evaluate efforts made in the last decade. Based on a systematic approach, 64 articles published in peer-reviewed international journals in Information Systems and Business & Management disciplines are analyzed to identify research gaps and propose future research agenda in Green ISs that include the application of psychological theory in the design of Green ISs, energy efficient IT/IS to respond to accelerated virtualization, and contribution of Green ISs to biod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