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그룹 동기화

Search Result 8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Multi-node Frequency Synchronization Method for Distributed Networks (분산 네트워크를 위한 다수 노드 주파수 동기화 방식)

  • Kim, Jung-Hyun;Kim, Ji-Hyung;Lim, Kwang-Jae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7 no.3C
    • /
    • pp.251-258
    • /
    • 2012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method of multi-node frequency synchronization for distributed networks. The proposed method synchronizes carrier frequencies of all nodes in the network and this enables new entry node to synchronize immediately. Moreover, when several groups exist in the network, inter-group synchronization method is proposed. The proposed distributed frequency synchronization method is expected to be very useful for the military operation scenario that new node entry is in a state of flux and group merging and splitting frequently happen.

Group Synchronization Method Using Adaptive Synchronization Delay Time for Media Streaming (미디어 스트리밍을 위한 적응적 동기 지연시간을 이용한 그룹 동기화 기법)

  • Kwon, Dongwoo;Ok, Kisu;Kim, Hyeonwoo;Ju, Hongtaek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40 no.3
    • /
    • pp.506-515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group playback synchronization method using adaptive synchronization delay time by the bit rate of media to synchronize a play position of streaming media between mobile smart devices. This method consists of streaming server-side and client-side synchronization algorithms based on synchronization delay time which includes connection time, control packet transmission time, streaming data buffering time, and synchronization processing time. We implement the Android media player application with synchronization support using the proposed algorithms and present the result of performance evaluation.

Deep Learning Based Group Synchronization for Networked Immersive Interactions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몰입형 상호작용을 위한 딥러닝 기반 그룹 동기화 기법)

  • Lee, Joong-Jae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11 no.10
    • /
    • pp.373-380
    • /
    • 2022
  • This paper presents a deep learning based group synchronization that supports networked immersive interactions between remote users. The goal of group synchronization is to enable all participants to synchronously interact with others for increasing user presence Most previous methods focus on NTP-based clock synchronization to enhance time accuracy. Moving average filters are used to control media playout time on the synchronization server. As an example, the exponentially weighted moving average(EWMA) would be able to track and estimate accurate playout time if the changes in input data are not significant. However it needs more time to be stable for any given change over time due to codec and system loads or fluctuations in network status. To tackle this problem, this work proposes the Deep Group Synchronization(DeepGroupSync), a group synchronization based on deep learning that models important features from the data. This model consists of two Gated Recurrent Unit(GRU) layers and one fully-connected layer, which predicts an optimal playout time by utilizing the sequential playout delays. The experiments are conducted with an existing method that uses the EWMA and the proposed method that uses the DeepGroupSync.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are more robust against unpredictable or rapid network condition changes than the existing method.

A Java Class Luibrary for Higher-Level Synchronization Mechanism (고수준 동기화를 위한 자바 클래스 라이브러리)

  • Kim, Myeong-Ho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5 no.2
    • /
    • pp.283-294
    • /
    • 1999
  • 병행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Java 언어의 기능은 저수준의 기능으로 프로그래밍이 불편하고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높다. 본 논문에서는 병렬 알고리즘에서 빈번히 활용되는 세마포어, 여러 유형의 버퍼와 버퍼그룹, 베리어 작업 영역등의 동기화 제어구조를 클래스 라이브러리의 형태로 개발하였다. 이 라이브러리를 활용하면 동기화 기능의 구현에 관한 복잡한 내용이 제어구조 클래스에 효과적으로 은폐되고, 병렬 알고리즘의 구조와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제어가 분리될 수 있다. 단일 목적의 동기화 기능을 위하여 복수 구현이 제공되므로 알고리즘의 구조를 수정하지 않으면서도 보다 적절한 구현을 선택하도록 프로그램을 변경할수도 있다.

A User Interest-based View Synchronization Framework for Real-time Groupware over Wired and Wireless Networks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실시간 그룹웨어를 위한 사용자 관심 영역에 기반한 뷰 동기화 프레임워크)

  • 최미진;조은영;강경란;이동만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9 no.4
    • /
    • pp.369-380
    • /
    • 2003
  • With the proliferation of a wireless support and the advances of mobile devices, there is a growing need of making it available for a wireless network as well. Low bandwidth of a wireless network is one of the major issues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extending a synchronous collaboration system developed for a wired network to supuort a wireless network. We propose a priority-based view synchronization scheme, exploiting the relaxed synchronization. The proposed scheme leverages the fact that mobile users need not have the exactly same view as the users in a wired network since they usually have a limited screen size and thus focus only on part of a whole document.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simple group editor with the propose scheme using ns -2. The performanc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keeps the message transmission delay low so that mobile users can have synchronous colloboration with wired users without signification delay. The proposed scheme is designed and implemented as a framework to support various kinds of realtime groupware applications, exploiting the existing groupware framework, Habanero. As a client program, we implemented a simple group text editor.

A Case Study of Synchronization-Based Group Music Therapy for Promoting Peer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또래 간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동기화 기반 그룹 음악치료 사례)

  • Kim, Jiyun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 /
    • v.17 no.1
    • /
    • pp.97-125
    • /
    • 2020
  • This cas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ynchronization-based group music therapy for improving peer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The participants were five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6 and 10 with ASD. A total of eight 30-minute music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two times a week. During sessions, target behaviors (i.e., engagement in joint action, synchronized movements, eye contact, and initiation of social interaction) were observed and analyzed. Also, the PIPPS-P was completed by parents to identify behavioral changes in real-life environments from pretest to posttest. Following the intervention, all of the participants showed increases in synchronized movements with peers and attempts to initiate social interaction. In addition, parents rated their children's play behavior as being improved in their everyday living environment. These results support that synchronous movements between children with ASD, which were facilitated with rhythmic cueing, led to enhanced engagement in joint action. Considering that those movements are the basis for further social skills (e.g., play behavior), this study also indicates that synchronization-based group music therapy could be an effective therapeutic approach for improving the peer interaction of this population.

Implementation of Adaptive Bucket-based Synchronization Layer for Distributed Virtual Environment (분산 가상 환경을 위한 버킷 기반 적응형 동기화 제어 계층 구현)

  • 김재윤;김종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c
    • /
    • pp.106-108
    • /
    • 2004
  • 연속적이고 동기화된 미디어 스트림을 요구하는 분산 가상 환경 (DVE: Distributed Virtual Environment) 시스템은 크게 3 개 계층, 즉 가상환경, 동기화, 그리고 네트워크 계층 등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그 중 동기화 계층의 목적은 그룹 멤버들 간에 일관된 전역적인 상태와 멤버쉽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분산 가상 환경에서 이질적인 종단 시스템들 간에 효율적인 미디어 재생을 위해 적응형 동기화 기업들이 연구 되어 왔으나 기존의 적응형 동기화 기업은 가변적인 재생지연의 조절로 인하여 skipping 과 pausing 현상 을 야기한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 가상환경 시스템에서 다자간 미디어 재생을 지원하기 위한 동기화 계층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특히, 가변적인 네트워크 상태로 인해 발생되는 이벤트 패킷 지연 (delay) 과 순서 오류 (out of sequence) 를 수신 측에서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적응형 동기화 재생 기법을 제안하고 skipping 과 pausing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재생 버퍼 구조를 소개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기법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 PDF

Collision Reduction Scheme based on Station Grouping in IEEE 802.11 Wireless LANs (IEEE 802.11 무선 랜에서 단말 그룹화를 통한 충돌 감소 방법)

  • Choi, Jun-Hyuk;Kim, Sunmy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393-395
    • /
    • 2015
  • IEEE 802.11 무선 랜은 단말들 간의 채널을 공유하기 위해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기반의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DCF는 네트워크상의 단말수가 증가할수록 충돌 확률이 증가하여 전체적인 성능 감소를 야기한다. 이는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단말이 동시에 채널 경쟁을 하기 때문이다. 충돌 확률을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말을 여러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 속하는 단말들간 채널 경쟁을 수행하는 가상 그룹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가상 그룹 방법은 각 단말이 독립적으로 그룹 수를 결정하고 자신이 어느 그룹에 속해 동작할지 결정한다. 따라서 단말마다 서로 그룹 수가 다를 수 있고 단말이 하나도 포함되지 않은 그룹이 존재할 수 있다. 즉, 가상 그룹 방법은 단말간 공평성 문제가 있고 오동작 가능성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비지톤과 타이머를 이용하여 단말간 동기화를 맞춰 그룹 수 및 자신의 그룹 번호를 독립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룹 수는 현재 채널 경쟁 수준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단말들의 그룹화를 통해 충돌확률을 줄이고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킨다.

SMIL Structure Information Generation Algorithm based on Timeline Information (타임라인 정보로부터 SMIL 구조 정보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의 개발)

  • 김태현;김경일;이규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242-244
    • /
    • 2000
  • 인터넷 미디어의 멀티미디어화 추세에 따라 W3C의 동기화 멀티미디어 워킹그룹(SYMM) [1]에서는 1998년 웹상에서의 멀티미디어 표현을 위한 XML 기반의 동기화 언어인 SMIL을 발표하였다. SMIL [2]은 순차관계()와 병렬관계() 및 이들의 중첩관계를 사용하여 미디어간의 시간적 동기화를 설정한다. 이에 따라 기존의 SMIL 저작 도구들은 구조 편집기를 통하여 엘리먼트간의 중첩관계를 직접 편집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시나리오의 시간적 동기화 정보를 기술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구조 편집기는 SMIL에 중심적인 편집 방법으로써 엘리먼트간의 중첩이 심화될수록 사용자에게 혼돈을 가져온다. 본 논문은 사용자 중심적인 시간적 동기화 정보 기술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에서 출발하였다. 즉, 시간 축을 기준으로 미디어간의 시간정보를 기술하는 타임라인 편집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직관적으로 프리젠테이션 시나리오를 작성할 수 있다. 이때, 타임라인 정보는 SMIL 문서의 구조 정보와는 상이한 데이터모델을 사용하므로 이를 SMIL 구조 정보로 자동 변환하기 위한 변환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 PDF

A MAC Protocol based on Hi.erarchical Virtual Clusters (계층적 가상 클러스터 기반 MAC 프로토콜)

  • Back, Doo-Sung;Pyun, Ki-Hyu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4 no.5
    • /
    • pp.93-102
    • /
    • 2009
  • Environmental monitoring applications measure temporature, humidity, and pollution degrees of large areas periodically and are essential for ubiquitous socie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nsor network MAC protocol that is applicable to environmental monitoring applications. The proposing MAC protocol has scalability by constructing multiple groups of sensor nodes as in SMAC protocol. Differently from SMAC protocol, however, ours have hierarchical structure between adjacent groups. Data transmission schedules are efficient since lower groups are synchronized to higher groups. Thus. the end-to-end delays and energy consumption can be reduced due to sequential transmission schedules. But since the nodes within the same group are synchronized to themselves. they have good adaptability and scalability compared to existing hierarchical approaches such as DMAC. We show by simulations that the proposing MAC protocol is superior to SMAC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