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그룹홈 아동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32초

가정외보호 아동의 보호 만족도에 관한 종단적 연구 - 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 보호의 비교 - (Longitudinal Study on Care Satisfaction of Children in Out-of-Home - Comparison among Residential Care Centers, Group Homes, and Foster Homes -)

  • 이상정;강현아;노충래;우석진;전종설;정익중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3호
    • /
    • pp.97-119
    • /
    • 2017
  • 가정외보호 서비스는 그 유형에 따라 서비스의 질과 만족도에 많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의 대표적 가정외보호 유형인, 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 서비스를 비교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으로부터 보호 서비스를 받고 있는 494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5년간 보호 만족도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더 나아가 가정외보호 아동의 보호 만족도 변화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층모형 분석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그룹홈 아동의 보호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가정위탁, 아동양육시설 순이었다. 둘째,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그리고 가정외보호 서비스 유형이 가정외보호 아동의 보호 만족도 변화 궤적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가정외보호 적응을 돕고 보호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아동그룹홈 재정지원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ing Financial Support of Grouphome for Children)

  • 조수민;김정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93-302
    • /
    • 2022
  • 본 연구는 아동그룹홈에 대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규모 및 항목 분석을 통하여 그룹홈 운영 지원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주요 결과는 첫째, 아동그룹홈의 인건비 지원에 있어 동종 시설 간 및 지역 간 종사자들의 처우에 있어 큰 차이가 발생한다는 점이며 소규모 보호시설 운영 시 종사자의 과중한 업무 부담과 이에 따른 소진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지원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었다. 둘째, 운영비 지원은 아동의 보편적이고 특수한 욕구를 충족하는데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동종 시설 간 상대적 차이가 확인되었다. 셋째, 아동그룹홈에 대한 별도의 사업비 지원이 없어 안정적인 사업 기획 및 실행의 한계가 파악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그룹홈 보호아동에 대한 적절한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아동 그룹홈의 예산 지원 방안을 논하였다.

장애아동을 그룹홈에 입소시킨 어머니의 양육경험 (Nurturing Experienc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dmitted to a Group-Home)

  • 황연화;임종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257-267
    • /
    • 2016
  •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그룹홈에 입소시킨 어머니의 양육경험 과정에 관한 질적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장애아동을 그룹홈에 입소시킨 어머니 8명이며, 연구방법으로는 심층면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개방코딩 결과 총 34개의 개념과 28개의 하위범주, 1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범주들을 종합하여 '양육한계 봉착에 처한 후 그룹홈 입소로 관계 회복'을 핵심범주로 선택하였다. 실천 전략은 어머니의 양육단계에 따른 심리상담을 제공해야 하고, 장애아동 아버지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안하며, 학령기 비장애자녀에 대한 지원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고, 대상자의 욕구에 적합한 차별화된 장애인시설이 필요하다. 정책적 차원에서는 돌봄 크레딧을 통해 장애아동 가족의 빈곤 문제의 최소화, 고운맘카드의 활용과 초기 의료사회복지적인 개입 필요, 시설순회학급 설치 확대, 성년후견제도 활용과 소득분위에 따른 장애아동 양육수당의 차등적 지급 등이 고려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그룹홈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증진을 위한 집단 치료놀이 프로그램 효과 (The Effect of a Group Theraplay Program for Improving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in Group Homes)

  • 이주연;성영혜
    • 아동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89-205
    • /
    • 2008
  • A group theraplay program for improving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in group homes was composed of 24 sessions. The researcher and a therapist accessed 5 children living in a group home and conducted one session each week for 6 months from May to September.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a pre-test was conducted using evaluation measures of attachment stability, social competence, and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A post-test was performed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and a follow-up tes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long term effects of the program.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theraplay program improved attachment stability and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in group homes and was effective in changing problem behaviors.

  • PDF

가정외보호청소년의 사회적자본이 학교적응을 매개로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and their self-reli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chool adjustment)

  • 신지혜;강현아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8호
    • /
    • pp.77-10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외보호청소년(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의 사회적자본이 그들의 자립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이 경로에서 학교적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전국의 양육 시설, 그룹홈, 가정위탁 청소년들 가운데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만 13세 이상 만 19세 이하의 청소년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표집 하였고, 총 358명의 가정외보호청소년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주요 통계 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활용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가정외보호청소년의 사회적자본이 자립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학교적응을 통해 간접적으로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외 보호청소년의 사회적자본과 학교적응, 그리고 자립의지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논하였다.

그룹홈과 아동양육시설의 운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Blinder-Oaxaca 분해를 중심으로 (The Factors Influencing Service Outcomes of Group Homes and Residential Care Centers : Focusing on Blinder-Oaxaca Decomposition)

  • 정익중;우석진;강현아;전종설;이정애
    • 아동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07-127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influencing service outcomes of group homes and residential care centers, as well as the factors causing any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ervice outcomes. 119 and 137 5-6th graders were selected from group homes and residential care centers respectively, using the cluster sampling method. Multiple regression and Blinder-Oaxaca decomposition were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revealed that 'stigma', 'school 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service outcomes among children in group homes, while 'stigma', 'primary caregivers' attitude', and 'peer relations'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factors among children in residential care centers.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 mean service outcome score for group homes was higher than that of residential care centers. The 74 percent of this difference in the mean scores was due to the difference in children' characteristics of the two out-of-home care service types. The remaining 26 percent of this difference was due to unobserved characteristic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 child welfare practices were also discussed.

그룹홈 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 연구 (The Effects of a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Self-Esteem on Children of Group Home)

  • 강기정;정은미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71-18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effects of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 in a group hom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effective to improve self esteem. The most significant increases were seen in the global self-esteem and school-academic self-esteem. Second, the group cohesion and participation frequency of the program were improved, as the session was progressed. Third, as the changes of individual, the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oneself and the others are improved. So, impulsivity and aggression became lower, and problem behavior was less.

그룹홈과 일반가정 아동의 어머니 양육행동과 형제자매관계 및 사회적 적응 (Maternal Child Rearing Behavior, Sibling Relationship and Children's Social Adjustment in Group Home and Original Home)

  • 조성연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81-391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ternal child rearing behavior, sibling relationship, and children's social adjustment in group home and original hom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9 mothers and their children in Seoul and Gyounggi-do. Mothers responded to 'Korean Maternal Behavior Inventory', 'Sibl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 and 'Social Maturity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Pearson's partial correlation,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for internal consistency by SPSS PC program(10.0 ver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ernal rearing behavior between group home and original home. Original home mothers showed higher scores in reasoning guidance, affect, authoritarian control, achievement, overprotection, active involvement, and limit setting.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ibling relationship among two different homes. Sibling relationship in original home was more worm, intimate, and competitive.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adjustment in those homes. Finally, there were different correlations among those homes. In original home,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aternal rearing behavior and children's social adjustment,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ose variables.

  • PDF

여성 노인의 거주형태에 따른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of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Focusing on Living Arrangement)

  • 전병주
    • 한국노년학
    • /
    • 제37권4호
    • /
    • pp.853-87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그룹-홈과 공동거주제에서 공동생활 하는 노인들의 우울 및 삶의 만족도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독거노인 집단과 비교함으로써 최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하고 있는 노인들의 공동생활 사업에 대한 실질적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전남 북, 충남 북 지역에서 생활하는 여성 노인 205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였고, 그룹-홈, 공동거주제, 독거노인 등 3개의 거주형태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조사는 Time 1과 Time 2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대하여 설명하기 어려운 점이 나타나 2차로 질적 연구를 진행하여 추가적인 맥락 정보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우울은 그룹-홈과 공동거주제에서 생활하는 경우에 유의미하게 개선되었지만, 독거노인 집단에서는 유의미하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들의 삶의 만족도는 공동거주제에서 생활하는 경우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지만, 그룹-홈 집단에서는 유의미하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고, 독거노인 집단에서는 다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룹-홈에서 생활하는 집단의 삶의 만족도 변화에 대해 정확한 해석을 도모하기 위하여 통합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고, 개인생활에 익숙한 노인들이 다른 노인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독립적인 공간 부족과 사생활 침해에 따른 문제가 지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들의 공동생활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함으로써 실질적인 사회안전망 역할에 기여할 수 있는 보완책을 제시했으며, 노인들이 공동생활에서의 조기 적응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