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그래픽사용자 인터페이스

Search Result 381,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SVG document editing system based on XML for structured graphic representation (XML기반의 구조화된 그래픽 표현을 위한 SVG문서 저작 시스템)

  • 배희재;송병규;김윤기;김창수;정회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a
    • /
    • pp.817-819
    • /
    • 2004
  •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은 기존의 정적인 웹을 탈피하여 사용자들로 하여금 더욱더 동적이고 다양한 콘텐츠를 요구하는 형태로 바뀌어 가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인터넷 상에서 표현의 고급화와 체계적이고 구조적인 방식의 콘텐츠를 생성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법들이 논의됨에 따라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는 SVG(Sealable Vector Graphics)를 제안하였다. SVG는 기존의 인터넷에서 사용되던 비트맵 기반의 디스플레이 보다 훨씬 풍부하고 정교한 그래픽 표현을 제공하기 때문에 기능이나 장지 호환성의 희생 없이 완전하게 벡터 그래픽을 표현한다. 또한. 그래픽에 대한 논리적인 구조를 기술함으로써 인덱싱, 검색, 저장 또는 공유가 가능하도록 정의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SVG에 관한 기초기술 연구 및 구조화된 SVG 문서를 사용자 중심의 편집 인터페이스를 통해 일반 사용자들이 손쉽게 그래픽 객체를 직접 저작함에 따라 복잡한 SVG 구문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SVG 문서 저작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 PDF

An Intelligent User Interface using Rule-based Method (규칙 기반의 지능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 양영수;이민석;김재희;장문익;박충식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4 no.1
    • /
    • pp.11-24
    • /
    • 1998
  • 이 논문에서는 상황에 적합한 정보들을 선택하고 이를 해당되는 GUI (Graphic User Interface) 객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한 규칙 기반의 지능적 사용적 인터페이스 구조를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제로 군사 분야 정보 융합 시스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였다. 군사분야와 같이 복잡하고 급변하는 상황에서는 상황에 따라 필요한 정보가 다를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정보의 제시로 인해 오히려 사용자의 판단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시할 정보와 GUI 객체의 적절한 대응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해당분야의 전문가로부터 획득한 규칙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시하도록 하기 위한 GUI 구조를 제안하였다. 개발한 GUI의 구조는 입력 해석, 제시할 정보의 선택, GUI 객체의 선택, GUI객체의 생성 및 속성 기정, GUI 객체의 배치 및 출력 단계들로 구성되며, 각각의 단계는 규칙에 의해 처리된다. 제안된 구조에 의해 공중 작전 수립을 위한 정보 융합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한 결과, 다양한 매체를 통해 많은 데이터가 들어오는 상황에서 필요한 정보만을 선택하여 적절히 제시해 줌으로써 사용자의 신속한 상황 판단과 결정 수립을 지원할 수 있었다.

  • PDF

Study on Development of Graphic User Interface for TensorFlow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기반의 TensorFlow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에 관한 연구)

  • Song, Sang Gun;Kang, Sung Hong;Choi, Youn Hee;Sim, Eun Kyung;Lee, Jeong- Wook;Park, Jong-Ho;Jung, Yeong In;Choi, Byung Kwa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5
    • /
    • pp.221-229
    • /
    • 2018
  • Machine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re core technologie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it is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get familiar with those technologies because most people lack programming ability. Thus, we developed a Graphic User Interface(GUI) to overcome this obstacle. We adopted TensorFlow and used .Net of Microsoft for the develop. With this new GUI, users can manage data, apply algorithms, and run machine learning without coding ability. We hope that this development will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various fields.

A Study on the Collaboration of User Interface Design for Software Developments (소프트웨어개발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협동작업에 관한 연구)

  • 김소영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2 no.1
    • /
    • pp.15-24
    • /
    • 1999
  •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changes the thinking of people and the ways of IMngs. The software developers as well as users are now aware of the importance of graphic user interface design, and the usage of graphic elements is getting rrore and more easier due to the technological improvements based on the windows system(Microsoft). For these reasons, people who engaged in software developments do much more efforts to get user-oentered design solutions, in other words, the usability improvements. And the interdisciplinary projects teams which consist of experts of various fields are increasing in number. But, the lack of understanding on software developments and the proceeding of design work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entire process of a project make interface design work difficult. For exampIe, some engineers often think designers as persons who decorate their products in the final stage. In this thesi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user interface design and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the frarnework of effective team projects is proposed. The main purposes of this thesis are to define the work area and position of designers and to propose the interface design process for the cooperative software development projects within the interdiociplinary teams.

  • PDF

A study on Real-time Graphic User Interface for Hidden Target Segmentation (은닉표적의 분할을 위한 실시간 Graphic User Interface 구현에 관한 연구)

  • Yeom, Seokw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7 no.2
    • /
    • pp.67-70
    • /
    • 2016
  • This paper discusses a graphic user interface(GUI) for the concealed target segmentation. The human subject hiding a metal gun is captured by the passive millimeter wave(MMW) imaging system. The imaging system operates on the regime of 8 mm wavelength. The MMW image is analyzed by the multi-level segmentation to segment and identify a concealed weapon under clothing. The histogram of the passive MMW image is modeled with the Gaussian mixture distribution. LBG vector quantization(VQ) and expectation and maximization(EM) algorithms are sequentially applied to segment the body and the object area. In the experiment, the GUI is implemented by the MFC(Microsoft Foundation Class) and the OpenCV(Computer Vision) libraries and tested in real-time showing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A Study on a Graphic Acceleration Module for Embedded Systems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그래픽 가속 모듈에 관한 연구)

  • Kim, Seong-Woo;Seol, Dong-M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459-462
    • /
    • 2003
  •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그래픽 윈도우 시스템은 특정 기능을 가진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편리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여 준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그래픽처리 성능을 본질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그래픽 하드웨어가 제공하는 선, Bitblt, 패턴 채우기 등의 2D 그래픽 가속 기능을 이용한 그래픽 가속 모듈의 구현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오픈 윈도우 환경인 Tiny X 에서 그래픽 가속 모듈을 구현하는 방법을 상세히 제시한다. 뿐만 아니라, 제시한 방법대로 구현된 그래픽 가속 모듈의 성능 평가를 통하여 그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30 User Interface Technique with Java3D (Java3D를 이용한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법의 개발)

  • 오태철;고명철;최윤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223-225
    • /
    • 2001
  • 최근 인터넷과 비몰입형 가상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3D 사이버스페이스 분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 동안 3D 그래픽의 처리나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 전송기술과 같은 하드웨어 분야에서는 많은 개선이 있었으나 가상환경 내부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특히 3D 사이버스페이스 상에서 참여자의 의사결정 및 상호작용의 수단이 되는 3D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는 성공적인 연구사례가 보고되지 않았다. 현재 실험적인 수준의 3D 사이버스페이스가 앞으로 좀더 활성화되고 일반화되기 위해서는 사용자 관점을 지원하는 친숙하고 자연스러운 3D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가장 일반적인 입력 장치로서 사용되는 2D 마우스를 이용하여 3D 사이버스페이스 상의 다양한 객체들을 자연스럽게 조작할 수 있게 하는 3D 조작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제안된 3D 조작 인터페이스를 실시간 환경에 적용하여 검증한 결과 3D 사이버스페이스 상에서의 상호작용을 매우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Design of a Interface for Digital Mock-up (디지털 목업 인터페이스 설계)

  • Park, Hee-Seoung;Kim, Sung-Kyun;Lee, Kyne-Woo;Oh, Won-Jin;Jin, Se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403-1406
    • /
    • 2005
  • 원자력 시설 및 연구용 원자로 해체 시 해체 일정과 해체 폐기물량 그리고 해체 비용을 분석하기 위한 평가식이 수립되었다. 연구로 2 호기 Thermal column 자료를 참고하여 평가식을 실험하였다. 해체 공정 모사 결과를 애니메이션으로 보여주는 가시화 모듈과 해체 일정과 해체 폐기물량, 작업자 피폭선량 및 해체 비용 등을 평가식으로 계산 한 후 그 결과를 그래픽으로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모듈로 구성된 해체 디지털 목업 시스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설계되었다. 해체 단위 작업별 평가식은 원자력과 관련한 시설 해체 시 해체 일정 및 해체 비용 분석 및 예측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사용 될 것이다. 또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방사능의 오염으로 인해 작업자가 접근하기 힘든 환경에서의 해체 활동을 사전에 경험함으로써 피폭으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