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그래프 구조

Search Result 677, Processing Time 0.081 seconds

Efficient Approximate Top-k Subgraph Matching Scheme in Graph Stream (그래프 스트림에서 효율적인 근사 Top-k 서브 그래프 매칭 기법)

  • Choi, do-jin;Bok, kyoung-soo;Yoo, j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1-12
    • /
    • 2019
  • IoT 및 SNS의 발달로 인해 관계를 표현하는 그래프 모델링 기법이 활용되고 있다. 실시간 스트림 그래프에서 유사한 모형의 그래프를 탐색하기 위한 근사 Top-k 서브 그래프 매칭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래프 스트림에서 간선의 유형 및 구조적 차이를 고려한 효율적인 근사 Top-k 서브 그래프 매칭 기법을 제안한다. 임계값 기반의 필터링과 스트림 환경에 맞는 연속 서브 그래프 매칭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그래프 스트림에 적합한 질의 처리를 수행한다.

  • PDF

Efficient Generation of Docking Graph in Protein Structure Comparison (단백질 구조 비교에서 유사성 그래프의 효율적인 생성)

  • 최경호;김진홍;이명준;이수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893-895
    • /
    • 2003
  • 단백질간 구조 비교는 기능적 또는 구조적으로 연관된 단백질을 분류하거나 모티프(motif)를 찾는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여러 가지 단백질간 구조 비교 방법 중에서 단백질 2차구조를 이용하는 방법은 실행속도의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백질 2차 구조와 그들 사이의 관계를 기반으로 한 단백질 구조 비교에서 사용될 유사성 그래프를 생성하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유사성 그래프는 단백질의 2차구조 사이의 관계를 노드로 하여 생성되는데, 그 시간복잡도가 O(n$^4$)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유사성 그래프의 생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 PDF

An Efficient Technique using Graph Topology Information for Finding Graph Median (그래프 구조 정보를 이용한 효율적인 그래프 메디안 탐색 기법)

  • Park, Kisung;Yun, Youngsun;Kim, Taeyeon;Lee, Young-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193-1195
    • /
    • 2013
  • 최근 정보 기술의 발달로 XML, 화학 복합물, 소셜 네트워크 등과 같은 구조적 정보를 갖는 빅 데이터들이 대량으로 축적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정보를 갖는 그래프 데이터에서 메디안을 찾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기존에는 그래프 메디안을 효율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하한값을 이용한 그래프 메디안 탐색 기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탐색을 시작하는 버텍스를 선정하는 데에 따라 가지치기 효과가 다르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버텍스의 그래프 구조 정보를 이용한 효율적인 메디안 탐색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탐색 기법은 버텍스의 차수와 에지 가중치를 이용하여 그래프 메디안 예측 값을 정의하고, 그래프 메디안과 유사한 버텍스들부터 우선적으로 탐색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의 방법보다 최대 10%까지 수행시간을 단축함을 보인다.

Damage detection of a structure based on natural frequency ratio measurements (고유진동수비 측정에 기초한 구조물 손상탐지)

  • Hwang, Ho-Y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5 no.8
    • /
    • pp.726-734
    • /
    • 2007
  • 구조물에 손상이 발생하면 구조물의 강성변화로 구조물의 고유진동수에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실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손상 전 구조물의 고유진동수와 해석적 방법을 사용하여 구하는 고유진동수가 같다고 가정하고 해석적인 방법으로 손상전후 고유진동수비를 구하여 3차원 그래프로 표시하였다. 손상이 한 부위에 존재할 경우 진동실험으로 구한 고유진동수비를 고유진동수비 그래프와 비교하여 손상의 위치, 크기 및 방향을 알 수 있었으나 여러 지점에 손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손상을 파악하기 위해 고유진동수비 그래프 외에 주파수 응답함수를 병행하여 사용하였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etabolic Pathway Drawing Algorithm based 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구조적 특징에 기반한 대사 경로 드로잉 알고리즘의 설계 및 구현)

  • 이소희;송은하;이상호;박현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325-327
    • /
    • 2004
  • '생물정보학'이란 생물학적 데이터를 처리, 가공하여 정보를 얻어내는 연구 분야로 이 중 대사체학은 대사 경로 네트워크를 가시화하여 생명 활동을 이해하고자 하는 분야로, 대사 경로 내의 흐름을 한 눈에 알 수 있도록 가시화하여 보여 주는 도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대사 경로 드로잉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대사 경로 그래프의 구조로는 이분 그래프를 이용하여 가독성을 높였으며. 이 그래프가 척도 없는(scale-free) 네트워크 구조라는 것과 구조적으로 환형, 계층적 선형 컴포넌트를 가진다는 것을 고려하여 사이즈가 큰 그래프도 적절하게 드로잉 하도록 하였다.

  • PDF

Effective Information Extraction Wrapper Generation and Maintenance by Using a Block-Based Graph Model (블록 단위 그래프 모델을 통한 효율적인 정보 추출 Wrapper 생성과 유지 관리)

  • Park, Ju-Young;Yang, Jae-Young;Choi, Jo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c
    • /
    • pp.322-327
    • /
    • 2007
  • 기존의 정보 추출에서는 웹 문서의 구조가 변경되었을 때 Wrapper가 원하는 정보를 추출할 수 없었다. 또한 웹 문서의 구조가 바뀌는 경우 동일한 정보를 Wrapping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정보를 추출 할 수 없었던 이유를 찾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Web 페이지를 시각적 블록 단위로 잘라 인접한 블록들을 통해 그래프를 형성하여 웹 문서의 구조가 일부 변경되어도 기존의 Wrapper를 통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보다 효율적으로 Wrapper를 생성하고 유지관리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웹 문서를 블록 단위로 분할하여 그래프를 생성함으로써 블록 내부에 추출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한 규칙이 좀 더 유연하게 표현 될 수 있으며 문서의 구조가 아닌 추출하고자 하는 정보를 중심으로 규칙을 생성함으로써 그래프의 구조뿐 아니라 그래프를 구성하고 있는 블록 내부의 구조가 일부 변하더라도 기존의 규칙을 이용하여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Link Analysis of Korean Web Graph (국내 웹 그래프의 링크 구조 분석)

  • Seo, Jung-Joo;Kim, Jin-Il;Kim, Eun-Sang;Kim, Daniel;Jeong, Ha-Woong;Kim, Sung-Ryul;Park, Ku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a
    • /
    • pp.400-402
    • /
    • 2012
  • 웹을 구성하는 웹 페이지들과 페이지들 사이의 하이퍼링크들은 방향성을 지니는 그래프로써 표현될 수 있으며, 웹 그래프가 가지는 독자적인 링크 구조의 특성은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다. 현재 검색 엔진들이 수집한 웹 페이지들은 그 규모가 수십억 개로 방대한 양을 이루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약 3억 개의 국내 웹 페이지들을 수집하고, 링크 데이터를 추출하여 생성한 웹 그래프의 구조에 대해 분석한다. 국내 웹 페이지들의 링크의 진입 차수와 연결 요소들의 크기 분포는 멱법칙을 따르고, 웹 페이지의 진출 차수는 특정 차수 이상에서 멱법칙을 가짐을 확인한다. 또한 그래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웹 그래프를 구성하는 요소들로 나눈 후 전체적인 구조를 도식화한 보우타이 다이어그램을 도출한다.

Web Site Evaluation Using Structure Analysis Agents (구조분석 에이전트를 사용한 웹사이트의 평가)

  • 정윤경;조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143-145
    • /
    • 2000
  • 인터넷이 보편화되면서 그에 따른 정보량도 급증하고 있다. 웹문서량이 많아짐에 따라 웹문서를 구조를 이용하여 저장,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사이트를 사용자가 평가하기 위해 계층적인 웹문서들의 관계를 사이트맵으로 구성하며 웹문서 내의 계층구조를 추출, 저장하고 그래픽적으로 표시하였다. 이를 위해 웹문서 내의 계층구조를 위해 W3기관의 공용으로 사용되는 Tidy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URL에 대한 HTML 문서를 얻고 이를 XML로 변환하였다. 변환된 XML 결과로 이진트리를 구성하고 계층구조를 표현하였다. 웹문서들의 사이트맵은 그래프형식과 계층구조형식으로 표현했는데 그래프형식을 이용하여 사이트맵의 연결구조를 파악할 수 있게 하였으며, 계층구조를 이용하여 웹문서간의 계층구조에 따른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사이트맵을 구성하기 위해 URL들의 구조를 인접리스트로 저장하였으며, 방향성 그래프형식을 이용하였다. 또한 웹문서 구조를 계층적으로 구성하기 위해 웹문서의 그래프형식에 대해 BFS(Breadth First Search)방식을 이용했다. 또한 계층적 사이트맵을 이용한 평가항목을 이용하여 증권사이트에 대해 실험하였다. 실험을 통해 본 시스템이 웹사이트 평가에 유용성함을 입증하였다.

  • PDF

Network Operation Support System on Graph Database (그래프데이터베이스 기반 통신망 운영관리 방안)

  • Jung, Sung Jae;Choi, Mi Young;Lee, Hwa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2.05a
    • /
    • pp.22-24
    • /
    • 2022
  • Recently, Graph Database (GDB) is being used in wide range of industrial fields. GDB is a database system which adopts graph structure for storing the information. GDB handles the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graph which consists of vertices and edges. In contrast to the relational database system which requires pre-defined table schema, GDB doesn't need a pre-defined structure for storing data, allowing a very flexible way of thinking about and using the data. With GDB, we can handle a large volume of heavily interconnected data. A network service provider provides its services based on the heavily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network facilities. In many cases, their information is hosted in relational database, where it is not easy to process a query that requires recursive graph traversal operation. In this study, we suggest a way to store an example set of interconnected network facilities in GDB, then show how to graph-query them efficiently.

  • PDF

Enhancement of Railway Graph for Representing Othogonal Railway Crossing in a Track Network (철도 네트워크에서 직교 교차선로 표현을 위한 선로그래프의 개선)

  • Cho, Dong-You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6 no.4
    • /
    • pp.61-69
    • /
    • 2003
  • RG(Railway Graph), which is a connected graph structure with the concepts of internal and external edges, is a data structure for representing railway assignments in a track network. In RG, it is possible to represent railway connectivities considering it's forward direction which is impossible in a digraph representation. But with RC, we can not still represent an othogonoal railway crossing in a track network. In this paper, we extend RG using the concept of dummy edge. Using ERG(Extended Railway Graph), we describe a method to consistently represent track network including othogonoal railway crossings, data structure for our ERG, and path allocation algorithm in ER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