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균형운동

Search Result 71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3D Visual Feedback Exercise on Hemiplegia Patients for the Balance Ability (편마비 환자의 균형 증진을 위한 시각적 되먹임 운동)

  • Roh, Hyo-Ly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a
    • /
    • pp.68-71
    • /
    • 2012
  • 이 연구는 시각적 되먹임을 이용한 3차원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1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3D 시각적 운동을 이용한 균형 훈련을 실시하였고, 11명은 고전적인 균형훈련을 실시하였다. 운동은 주5회 6주 동안 이루어졌다. Berg Balance 척도를 통해 균형정도를 측정하였다. 3D 시각적 운동을 이용한 그룹에서 균형 정도가 더 많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3D 시각적 운동은 뇌졸중환자의 균형훈련에 유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Comparison of Balance Ability for Cerebral Vascular Accident (뇌졸중 환자의 균형 능력 비교)

  • Roh, Hyo-Ly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1048-1051
    • /
    • 2011
  • 이 논문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균형 훈련이 안정 지지면에서의 균형 훈련과 비교하였을 때 균형 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뇌졸중 환자 30명으로 안정지지면 운동군과 불안정 지지면 운동군으로 분류하여 주 3회 6주동안 실시하였다. 균형능력의 측정은 Good balance system를 사용하였다. 안정지지면 운동군에서는 속도모멘트만 감소하였고, 불안정 지지면 운동군에서는 내외측, 전후방, 속도모멘트에서 감소하여서, 안정 지지면 운동군보다 불안정 지지면 운동군에서의 운동이 균형 훈련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눈을 감고 있을때는 눈을 뜨고 있을 때보다 안정 지지면과 불안정 지지면에서의 균형정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안정지지면에서의 균형훈련보다 불안정 지지면에서의 훈련이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Effects of Postural Balance by Chronic Stroke Patients in Horse Simulator Exercise (승마 시뮬레이터 운동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자세 균형에 미치는 영향)

  • Park, jung-seo;Lee, sang-young;Lee, dae-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3-94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뇌졸중 환자에게 승마 시뮬레이터 기계를 이용한 운동이 환자의 균형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자와 연구방법으로는 67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승마운동그룹(n=34)과 일반 매트운동그룹(n=33)으로 나누어 두 그룹 모두 병원에서 일반적인 운동치료를 실시한후 추가적으로 승마운동과, 매트운동을 실시하였다. 운동시간은 주당 5회 8주동안 35분간 실시하였다. 균형능력 평가는 무게중심의 동요 거리를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는 두그룹 모두 눈을 뜬상태에서 균형능력이 증가하였으나($^*$p<0.05), 눈을 감은 상태에서는 지상운동군보다 수중운동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균형능력 증가가 나타났다($^*$p<0.05).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승마 시뮬레이터 훈련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다.

  • PDF

Comparison of Balance Ability between Stable and Unstable Surfaces for Chronic Stroke Patients (불안정 지지면과 안정 지지면에서의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능력 비교)

  • Lee, Ji-Yeun;Roh, Hyo-L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8
    • /
    • pp.3587-3593
    • /
    • 2011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alancing and clinical abilities using stable and unstable surface of stroke patients who surface changes in balance of bo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stroke patients(16 males and 14 females). They were separated into two groups and did balance reinforcing exercise on stable and unstable surfaces for five times a week for six weeks. To evaluate their balancing ability, they performed functional standing balance test, functional forward arm stretching test. performance-oriented mobility assessment was performed. The balancing exercises were modified from preceding studies and consisted of 6 difference exercises. The functional standing test with open and close eyes and performance-oriented mobility assessment, the unstable surface exercise group and the stable surface exercise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The forward arm stretching test was the unstable surface exercise group improved. This study found that the balancing exercise on unstable surface was more effective than on stable surface for stroke patients. Thus, exercise on unstable surface has more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balancing abilities of stroke patients.

The effect of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according to face-to-face, non-face-to-face, and self-exercise on balance ability (대면, 비대면, 자가운동에 따른 체간안정화 운동이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Kyung-eun Lee;So-eun Kim;Hyun-jeong Kim;Jeongwoo Jeon;Jiheon Hong;Jaeho Yu;Jinseop Kim;Seong-Gil Kim;Yeongyo Nam;Dongyeop Lee
    • Journal of Advanced Technology Convergence
    • /
    • v.3 no.1
    • /
    • pp.65-72
    • /
    • 2024
  • Study of the effect of interbody stabilization exercises on the static and dynamic balance of face-to-face, non-face-to-face, and self-group. We recruited healthy young adults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to perform inter-body stabilization exercises, and static and dynamic balance were measured, respectively,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the Face to Face Group, dynamic balanc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anterior and posteriomedial direction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increase in static balance. In the Non face to face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hree directions of dynamic and static balance. The self-exercise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ree directions of dynamic balanc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c balanc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found in any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terbody stabilization exercises are effective in improving static and dynamic balance. In the face-to-face group, the inter-body stabilization exercise was effective in improving dynamic balance and static balance, and in the non-face-to-face group, the inter-body stabilization exercise was effective in improving dynamic balance and static balance. In the self-contained group, it was effective in improving dynamic balance.

The effects of combination patterns exercise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on balance in chronic low back pain elderly patients (PNF 통합 패턴 운동이 만성 요통 노인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 Jeon, Jae-Ke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4
    • /
    • pp.361-368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nfluence that integrated PNF(IPNF) on sprinter and skater pattern exercise had an effect on static and dynamic balance in chronic low back pain elderly adul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PNF exercise group(n=17), swiss ball exercise group(n=17). They were measured static balance ability using Good Balance System (GBS) and dynamic balance ability using functional reaching test(FRT) and timed up and go (TUG) during pre and post exercis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ups about pre and post static and dynamic balance tests the greater part(p<.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ups according to exercises(p<.05). The abov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d that integrated patterns of PNF have improved the static and dynamic balance ability. This study will be enough to provide the basic raw material using a integrated PNF.

Immediate Effects of Abdominal Hollowing Exercise and Abdominal Bracing Exercise on Dynamic Balance (복부 할로잉 운동과 복부 브레이싱 운동이 동적 균형에 미치는 즉각적 효과)

  • Jeong-In Lee;Ji-Hye Choi;Ye-Won Lee;Ji-Eun Kim;Ga-Young Lim;Jong-Yun Park;Byeong-Wook Youn;Hyeong-Kyun Yu;Min-Jae Jin;In-hyouk Hyong
    •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
    • v.2 no.2
    • /
    • pp.16-24
    • /
    • 202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mmediate effect on dynamic balance through Abdominal hollowing exercise and Abdominal bracing exercise. Method: 90 healthy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ir 20s were surveyed and measured using Y-balance test and Functional reach test. Result: In the dynamic balance Test between group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that performed Abdominal hollowing exercise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Although both representative spinal stabilization exercises Abdominal hollowing exercise and Abdominal bracing exercise are meaningful in increasing dynamic equilibrium, it is difficult to suggest that any method is more effective in terms of immediate effects.

Two Years and Four Month's Complex Exercise for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Balance Proficiency of a Older Woman With Stroke : A Case-Study (2년 4개월 동안 수행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및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 Lee, Sang-Heon;Choi, Yoo-Im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735-738
    • /
    • 2010
  • 본 연구는 관절가동범위 및 근력강화운동, 반복적인 과제-지향적 활동으로 구성된 복합운동프로그램을 뇌졸중 환자에게 2년 4개월 동안 적용하여 상지 기능 및 균형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뇌졸중으로 인한 좌측 편마비 증상을 보이는 68세 여성으로 매 회기 1시간씩, 주 3회, 2년 4개월 동안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 대상자의 상지 기능은 브론스트롬의 손 회복 단계와 상지 회복단계, Fugl-Meyer Assessment of Motor Function, 뇌졸중 상지기능검사로, 균형 능력은 Tinetti Gait & Balance Scale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상지 기능과 균형 능력이 유지 및 향상 되었다. 이를 통하여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상지 및 균형 능력의 유지 및 증진을 위한 지속적인 복합 운동프로그램 수행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3-Dimensional Spinal Stabilization Exercise on Static Balance in chronic low back patients (만성요통환자에게 적용한 3차원 척추안정화운동이 정적균형에 미치는 영향)

  • Park, wan-seo;Kim, kyung-yun;Bae, s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47-348
    • /
    • 2017
  • 만성요통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4주간, 주 3회 3차원 척추안정화운동과 허리안정화운동을 실시한 후 3차원 척추안정화검사를 통하여 허리심부근력을 측정하고 Tetrax장비를 통하여 신체균형능력을 평가하였다. 단기간일지라도 3차원척추안정화운동을 통해 정확한 방법으로 운동을 실시하였더니 만성요통환자의 허리근력과 자세균형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

  • PDF

Effectiveness of Sensory-Feedback Ankle Training on Motor Functions in Hemiparetic Patients (시지각을 이용한 발의 감각되먹임 적용이 편마비 환자의 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 Seo, Dong-Kwon;Lee, Dong-Yeop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595-598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으로 인한 만성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발에 시지각 자극을 적용하여 균형과 보행에 관한 운동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6개월 이상 된 편마비 환자 1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무작위로 실험군(EG) 10명과 대조군(CG) 10명으로 구분하였다. 두 군 모두 기본적인 물리치료를 적용하였고 실험군은 정적균형도구인 Tetrax Multiple System을 이용하여 발목에 감각되먹임 시지각 자극을 매회 30분, 4주간 주 3회 실시하였다. 운동 중재 전과 후의 운동기능에 해당하는 균형(TUG), 보행(DGI)을 측적하여 본 연구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실험군에서 정적 균형, TUG, 그리고 동적 균형지수(DGI) 지수는 중재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p<.05), 실험, 대조군간 전후의 변화율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대조군에서는 DGI 만 중재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순수하게 유산소 운동만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 방법으로 전 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고 대조군과의 차이 검증을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편마비 환자에게 흥미를 촉진하고 운동 기능 회복의 효과를 강화할 수 있는 감각 되먹임이 동반된 시지각 자극을 적용하여 균형 및 보행기능의 향상을 얻을 수 있었고, 차후 연구는 장기간의 추적 관찰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고 발목 뿐만 아니라 다른 관절에서의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