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균질기

검색결과 299건 처리시간 0.025초

에폭시기반 나노콤포지트의 고온부에서 트리잉현상 (Treeing Phenomena to High Temperature for Epoxy Based Nanocomposites)

  • 박재준;조대령;엄지용;윤여욱;백관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Techno-Fair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물성,응용부문
    • /
    • pp.155-156
    • /
    • 2008
  • 물리적 분산기법으로 초음파와 균질기를 동시에 적용한 분산기법을 이용하여 에폭시 기반 층상나노실리케이트를 충진한 에폭시-나노콤포지트 제조하였다. 유리천이온도 특성으로 무충진 에폭시수지와 층상실리케이트가 충진된 나노콤포지트의 비교에서 $9.2^{\circ}C$가 상승되는 결과를 얻었다. 고온부인 $130^{\circ}C$ 환경온도에서 장시간 트리잉 절연파괴측정에서 무충진에폭시 수지에 비하여 나노콤포지트가 절연파괴시간이 13.39배 늦은 시간에 파괴되었고, 트리진전속도의 경우 나노콤포지트가 13.9배 늦은 지연속도를 나타내었다.

  • PDF

Epoxy-$SiO_2$ Nanocomposites 충진함량 변화의 전기적 그리고 기계적 특성 (Electr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for Filled Contents Variation of Epoxy-SiO2 Nanocomposites)

  • 박재준;이동윤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21
    • /
    • pp.361-362
    • /
    • 2008
  • 에폭시 메트릭스에 $10{\pm}5nm$ SiO2 입자를 함량별 (1,3,5,7,9wt%)로 혼합하여 초음파 및 균질기를 이용한 분산을 실시하여 나노콤포지트를 제조하였다. 엉킴이 있는 나노입자를 물리적분산법을 이용하여 분산시킬 수 있었고, 그 결과 여러특성을 연구하였다. 기계적 굴곡강도 특성은 나노입자 충진함량 증가에따라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무충진 에폭시수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굴곡강도를 나타내었다. 나노입자의 충진함량 증가에따라 절연파괴강도는 1wt%에서 가장 높는 절연파괴강도를 기록하였고 함량증가에 따라 약간 감소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여러 연구자의 경향과 대체로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표면선량율을 이용한 방사성폐기물 드럼내 핵종평가

  • 강덕원;신상운;박경록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872-878
    • /
    • 1995
  • 방사성폐기물 드럼내에 포함되어 있는 방사성 핵종의 양이 핵종분석장치로 측정할 수 있는 검출 하한치 이하이거나, 혹은 너무 높아 불감시간이 크게 증가될 경우에는 순수 Ge 검출기를 장착한 핵종분석장치로는 분석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표면선량율과 Scaling Factor를 이용하여 드럼속에 포함되어 있는 핵종들의 양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불균일성이 높을 경우의 가능한 평가방법을 알아보기 위하여 점선원을 이용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비균질 드럼에 대해서는 점선원을 이용한 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합리적이고 기하학적 산술평균을 취함으로써 보다 정확도가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그 오차범위는 -25%∼5.5%로서 실제보다 상당히 낮게 평가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적절한 비균질성 보정인자를 적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긴 사슬 지방산 생산을 위해 재조합된 E. coli로부터의 세포 내 지질 추출 (Extraction of Intracellular Lipids from Recombinant E. coli for Improving Long-chain Fatty Acid Production)

  • 함수미;유인상;박상준;김지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4호
    • /
    • pp.482-486
    • /
    • 2013
  • 바이오알콜이 아닌 탄화수소계 바이오연료를 생산하기 위한 발효 공정에 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야생 균주에 비해 긴 사슬 지방산을 과량 생산하는 재조합 E. coli MG1655를 배양한 후 세포 내 지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고압 균질기를 이용하여 세포를 파쇄한 후 환경친화적인 용매들을 이용하여 지질을 추출하였다. 세포 파쇄는 고압 균질기의 압력이 5,000 psi 보다 큰 압력 하에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졌으며 20,000 psi 까지의 압력 범위에서는 1~3회 파쇄로 모두 90% 이상의 파쇄율을 얻었다. 추출 용매 시스템의 경우 hexane/isopropyl alcohol과 ethyl acetate/ethanol 시스템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질 회수율을 나타내었고 상기 세포 파쇄 조건을 적용하여 초기 지질량의 약 60%를 추출하였다. 또한 추출된 지질은 $C_{12}$, $C_{14}$, $C_{16}$$C_{18}$과 같이 긴사슬 지방산으로 구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고압균질처리에 따른 산지별 밀기울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heat Bran in Different Areas Prepared by a High-pressure Homogenizer Process)

  • 안은미;이재강;최용석;김영화;신한승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04-40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영양적으로 우수한 밀기울의 식품 소재화를 위해 산지별 밀기울의 고압균질처리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변화를 연구하였다. 고압균질처리로 밀기울의 입자 크기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었으며, 이러한 미세화 처리에 의해 물리 화학적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었다. 입자 크기와 용적밀도가 감소함에 따라 보수력, 팽창력, 보유력 및 양이온치환력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p<0.05). 이는 고압균질기의 노즐 지름이 작을수록, 통과횟수가 많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IC 200으로 1회 및 IC 100 2회 처리한 시료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나 IC 100 5회 처리한 시료는 IC 100 2회 처리한 시료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경제적인 면과 기능적인 면을 고려할 때 IC 100 2회 처리한 시료가 가장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산지별 밀기울 간에는 이화학적 특성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밀과 수입밀의 밀기울 특성에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밀기울의 고압균질처리에 의해 불용성 식이섬유소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섬유소를 강화하고 유지와 수분의 보유를 필요로 하며 지질 흡수를 저해하는 식품에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세화 처리를 통한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정적연소기에서의 메탄-공기 혼합기의 연소특성(1) : 균질급기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Methane-Air Mixture in a Constant Volume Combustion Chamber(1): Homogeneous Charge)

  • 최승환;전충환;장연준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48-57
    • /
    • 2003
  • A cylindrical constant volume combustion chamber was used to investigate the flow characteristics at spark plug and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homogeneous charge methane-air mixture under various initial pressure, excess air ratio and ignition times in quiescent mixture. The flow characteristics such as mean velocity and turbulence intensity was analyzed by hot wire anemometer. Combustion pressure development measured by piezoelectric pressure transducer and flame propagation acquired by ICCD camera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itial pressure, excess air ratio and ignition times on pressure, combustion duration, flame speed and burning velocity. Mean velocity and turbulence intensity had the maximum value at 200 or 300ms and then decreased to near 0 value gradually after 3 seconds. Combustion duration, flame speed and burning velocity were observed to be promoted with excess air ratio of 1.1, lower initial pressure and ignition time of 300ms.

캐비테이션 유동해석을 위한 기- 2상 국소균질 모델 -제2보: 기-액 2상 매체중의 고속유동현상 (GAS-LIQUID TWO-PHASE HOMOGENEOUS MODEL FOR CAVITATING FLOW -Part II. HIGH SPEED FLOW PHENOMENA IN GAS-LIQUID TWO-PHASE MEDIA)

  • 신병록;박선호;이신형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91-97
    • /
    • 2014
  • A high resolution numerical method aimed at solving cavitating flow was proposed and applied to gas-liquid two-phase shock tube problem with arbitrary void fraction. The present method with compressibility effects employs a finite-difference 4th-order Runge-Kutta method and Roe's flux difference splitting approximation with the MUSCL TVD scheme. The Jacobian matrix from the inviscid flux of constitute equation is diagonalized analytically and the speed of sound for the two-phase media is derived by eigenvalues. So that the present method is appropriate for the extension of high order upwind schem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 theory. By this method, a Riemann problem for Euler equations of one dimensional shock tube was computed. Numerical results of high speed flow phenomena such as detailed observations of shock and expansion wave propagations through the gas-liquid two-phase media and some data related to computational efficiency are made. Comparisons of predicted results and solutions at isothermal condition are provided and discussed.

초고압균질기 밸브 타입에 따른 coenzyme Q10 나노에멀젼의 제조 및 안정성 (Preparation and Its Stability of a Coenzyme Q10 Nanoemulsion by High Pressure Homogenization with Different Valve Type Conditions)

  • 임지선;강호진;윤성우;김형민;석종우;김도언;임재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65-57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coenzyme $Q_{10}$을 나노에멀젼화 하기 위해 초고압균질기를 이용하여 3가지 다른 형태의 밸브를 대상으로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선정된 밸브를 사용하여 제조된 coenzyme $Q_{10}$ 나노에멀젼의 품질 특성 및 안정성 평가를 하였다. 초고압균질기를 이용한 coenzyme $Q_{10}$ 나노에멀젼 제조 시 최적 조건은 150MPa, C 밸브, 통과 횟수 3회이었다. 제조된 나노에멀젼은 평균입자 크기가 40 nm, 제타 전위 값이 -57 mV을 나타내어 콜로이드 상태가 충분히 안정하다고 볼 수 있었다. 또한 수용액에 빠르게 분산되었으며, 이때 coenzyme $Q_{10}$ 100 mg을 함유한 증류수100 mL의 투과도 값이 90(%T)로 투명한 용액을 얻을 수 있었다. 제조한 coenzyme $Q_{10}$ 나노에멀젼은 $4^{\circ}C$$25^{\circ}C$에서 12주 동안 보존하여도 침전 또는 부유물을 발생시키지 않았고 coenzyme $Q_{10}$ 함량이 변하지 않았으며, 10일간의 동결처리 후에도 안정하였다. pH 2 용액을 제외하고는 pH(4-10) 처리와 열($95^{\circ}C$)처리 및 동결($-20^{\circ}C$)처리 시에도 안정하였다. 따라서 제조된 coenzyme $Q_{10}$ 나노에멀젼은 액체 형태 등 다양한 식품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보하였으며, 유통시에는 상온보다는 냉장 보관이 더 적합 할 것으로 판단된다.

미역귀를 이용한 잼의 제조 (Preparation of Jam Using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 김선재;문지숙;김정목;강성국;정순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98-602
    • /
    • 2004
  • 미역귀의 알긴산 함량은 알칼리가용성 알긴산 추출법에 의한 미역귀 알긴산 수율이 33.8%,비교구로서 미역줄기의 알긴산 수율이 22.3%를 나타내어 알긴산 수율은 미역귀가 높게 나타났다. 미역귀 잼의 주원료인 미역귀 페이스트는 미역귀를 자숙, 염장하여 건조한 것을 물에 침지하여 탈염하고 물기를 뺀 후, 2.5배의 물을 가하여 초퍼와 균질기를 차례로 써서 균질화한 다음, 50 mesh 체로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미역귀 잼은 미역귀 페이스트에 설탕, HM pectin 및 유기산 (citr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을 순차적으로 첨가하면서 일정 농도까지 가열, 농축한 다음 잼 제품으로서 품질을 유지하고 미역취를 차폐할 목적으로 계피가루와 합성 딸기향을 일정량 가하여 제조하였다. 잼 제조시 설탕, 펙틴, 유기산 및 유기염이 제품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기계적 및 관능적으로 살펴본 결과, 미역 페이스트에 설탕 60%(w/w), HM pectin 0.75%(w/w), citric acid 0.3%(w/w)를 첨가하여 62$^{\circ}$Brix로 한 제품이 물성면에서 양호하였고, 미역 특유의 바람직하지 못한 해조취를 차폐하기 위해 합성 딸기향 0.08%(w/w)을 첨가한 미역귀 잼이 관능적으로 우수하였다.

급사면에 형성된 일시적 포화대의 지하수면깊이에 대한 TOPMODEL의 예측능력 검증 (Test for the TOPMODEL′s Ability to Predict Water Table Depths of the Transient Saturation Zones which Are Formed on the Steep Hillslope)

  • 안중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6호
    • /
    • pp.1035-1046
    • /
    • 2003
  • TOPMODEL의 지하수면길이 분포에 대한 예측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2개 기본가정과 지하수면깊이에 대한 지배방정식을 검증하였다. 검증에는 토양두께가 얇은 급경사 사면의 수문관측과 토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조사사면에서 지하수면반응과 토양의 수리적 특성은 지형경사와 평행하는 수리경사, 지하수면깊이에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는 투수량계수 등과 같은 TOPMODEL의 기본가정과 일치하였다 토양의 투수량계수감소율(f)과 토성은 지표부터 깊이 0.3m까지 사면전체에서 공간적으로 균질하지만, 토성과 f의 수직적인 변화로 깊이 0.3m 아래부터 공간적으로 불균질한 특성을 보인다. 조사사면에서 TOPMODEL의 지배방정식은 f값이 공간적로 균질한 깊이의 지하수면깊이 분포를 예측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