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균일한 모델

Search Result 49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new regression analysis method in network model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한 새로운 회귀분석방법)

  • 김기복;인치호;김희석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a
    • /
    • pp.410-413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가 막연히 무작위적이라고 하기에는 사회나 세포, 인터넷 등이 어떤 법칙에 따라 짜연진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복잡한 네트워크의 모습이 네트워크의 모델과 실제로 똑같은지를 비교하기는 그리 쉬운 문제가 아니다. 무작위적 네트워크의 경우는 수학적으로 엄밀히 말하자면 쁘아송분포를 따른다. 쁘아송분포에서는 모든 점들이 동일한 확률로 여러 점들에 연결되는 기회를 갖는다. 즉 균일한 분포이다. 따라서 상당히 적거나 반대로 상당히 많은 수의 연결선을 가진 점은 극히 드물다. 이 경우 연결선 분포가 종 모양이 된다. 대부분의 점들이 곡선에 해당하는 연결선 수를 갖게 된다. 본 논문에서 쁘아송분포와 회귀분석을 통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변수들 사이에 어떤 관계를 함수관계로 나타내어 분석하는 방법을 보이고 회귀분석 방법에 의해서 미래를 예측하고자 한다.

  • PDF

Concurrency Control Model for Main Memory Database Systems (주기억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위한 동시성제어)

  • Cho, Sung-J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921-924
    • /
    • 2001
  • 실시간 처리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트랜잭션은 장시간이 요구되는(CAD/CAM) 긴 트랜잭션이 아닌 일반적인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환경이 대부분이다. 주 메모리 실시간 DBMS는 디스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빠른 접근시간과 균일한 성능 특성 때문에 실시간 처리 환경에 적합하다. 그러나, 기존의 주기억 데이터베이스에서 동시성제어는 2단계 로킹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 기법은 특징은 첫째, 록 획득과 해제가 실제 트랜잭션 처리 보다 많은 오버헤드가 발생되고, 또한, 처리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데이터 충돌 발생률이 적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동시성제어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동시에 여러 트랜잭션을 처리 할 수 있고, 신속히 충돌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디렉토리별로 정보를 기록하여 실시간에 적합하도록 모델을 제안한다.

  • PDF

A Feature Saliency Measure in FMM Neural Network-Based Pattern Classification (FMM 신경망 기반의 패턴분류 문제에서 특징의 중요도 판별 기법)

  • Park, Hyun-Jung;Cho, Il-Gook;Kim, Ho-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443-44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패턴 분류문제에서 특징의 분포와 빈도를 고려하는 FMM(Fuzzy Min-Max) 신경망 구조와 이를 이용한 특징 분석 기법을 소개한다. 이는 기존의 모델에서 균일한 가중치를 고려했을때 비정상적 학습데이터에 학습 효과가 민감하게 왜곡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학습된 신경망으로부터 각 특징의 중요도를 분석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모델의 특성을 소개하고 특징 값과 하이퍼박스 간의 관계로부터 특징의 연관도 요소, 중요도 평가 및 특징의 서열화 기법을 제시한다. 이는 패턴 분류 신경망의 노드수를 최적화 함으로써 학습 및 분류 과정에서 연산의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 PDF

Forced Convection Condensation of Vapor on A Cold Water (강제 대류에서 수증기의 찬물 표면에서의 응축)

  • Park, Jae-Koel;Lee, Sung-Hong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13 no.3
    • /
    • pp.141-147
    • /
    • 1984
  • 2차원 채널 입구에서의 꿰떼 난류 유동하는 찬 물 위를, 같은 방향으로 빠르게 난류 유동하는 수증기의 응축은 액체필름 초기상태의 과냉 정도에 의하여서 응축능력이 정하여진다. 수증기와 액체의 채널 입구에서의 균일한 속도 및 온도, 그리고 채널 입구에서 액체와 증기가 차지하는 체적비, 즉 액체필름과 채널 높이를 알고 있을 때, 하류로 유동하면서 응축이 일어나는 현상을 예측하는 모델을 제안하고, 실험치와 비교한 것이다. 채널 입구에서 윗쪽으로는 더운 기체, 아래쪽으로는 찬 액체가 평행한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접촉하고 평균적인 액체필름의 두께와 단열된 채널 벽체를 가정하여서, 기본방정식으로 연속방정식, 운동방정식을 세우고. 에너지와 운동량 전달 메카니즘 사이에 유사성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였으며, 전단응력의 크기는 필자의 모델을 적용하였다. 기본방정식을 기체 속도, 액체 속도, 필름의 두께, 압력에 대해서 수치해를 구하여서 동일조건 하에서 실험한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수증기와 액체 경계면에서의 전단응력은 매우 좋은 일치를 보여주고 있다.

  • PDF

Investigation on Prediction Methods for a Rotor Averaged Inflow in Forward Flight (전진비행하는 회전익기 로터의 평균 유입류 예측기법 연구)

  • Hwang, Chang-Jeon;Chung, Ki-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5 no.2
    • /
    • pp.124-129
    • /
    • 2007
  • Prediction methods for a rotor averaged inflow in forward flight a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investigated methods are Drees linear inflow model, Mangler & Squire model and free vortex wake(FVW) method. Predictions have been performed for a four-blade rotor operating at three different advance ratios i.e. 0.15, 0.23 and 0.30, at which experimental data are available. According to results, Drees model has a limitation for the inflow non-uniformity prediction due to an inherent linear characteristics. Mangler & Squire model has a reasonable accuracy except the disk edge region. KARI FVW method has very good accuracy and has better accuracy than the other FVW method especially in inboard region. However, there are some discrepancies in retreating side due to the dynamic stall effect and in near hub region due to the fuselage upwash effect.

Determination of color samples uniformly distributed in printer gamut and its application to color reproduction (프린터 색역에 균등한 분포를 갖는 색표본 생성 및 색재현)

  • Lee, Cheol-Hee;Kim, Hee-Soo;Ahn, Suk-Chul;Ha, Yeong-H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37 no.5
    • /
    • pp.64-75
    • /
    • 2000
  • This paper proposes a color sample selection method that produces a uniform distribution in the display gamut plus a color reproduction method for using a uniform color sample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method, the proposed uniform color samples are selected m CIELAB, a device-independent color space, instead of RGB (red, green, and yellow) or CMY (cyan, magenta, and yellow) space, device-dependent color space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color samples, they were applied to color space conversion using both a regression model and neural network As a result, in the case of a color sample of the same size, the color space conversion method using the proposed samples showed a lower color difference for color conversions using either neural or regression.

  • PDF

CCD Non-uniformity Correction Method based on Pixel Non-Linearity Model (픽셀 비선형성 모델을 기반으로 한 영상센서 불균일 특성 보정)

  • Kim, Young-Sun;Kong, Jong-Pil;Heo, Haeng-Pal;Park, Jong-Euk;Yong, Sang-Soon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9 no.1
    • /
    • pp.28-34
    • /
    • 2010
  • All pixels of image sensor do not react uniformly when the light of same radiance enters into the camera. This non-uniformity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 image quality. However we can overcome it by calibration process under the special test-setup. Usually it is used the algorithm to get the correction coefficients under the specific illumination condition. But, this method has drawback in the very low or very high illumination due to pixel non-linearity. This paper describes the robust algorithm, which calculates the correction coefficients based on the pixel non-linearity model, against thew hole radiance. The paper shows the non-uniformity test results with the own camera and the specified test equipments as well. The results shows the best performance over the entire radiance when this method is applied.

Current sharing method for parallel bidirectional dc-dc converters using the switching frequency analysis (스위칭 주파수 분석을 이용한 병렬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전류분배 제어방법)

  • Chae, Suyong;Park, Jinju;Baek, Jongb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07a
    • /
    • pp.85-86
    • /
    • 2016
  • 본 논문은 스위칭 주파수 스펙트럼 분석에 기반한 모듈형 병렬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전류분배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병렬 DC-DC 컨버터 각 모듈의 전류분배 균일도 향상은 동작안정성 확보, 효율 및 신뢰성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드룹 제어의 적용을 통해 별도의 통신연결 없이 각 병렬모듈간 전류 분배량 제어가 가능하지만, 선로 저항의 차이나 측정 소자의 편차가 발생할 경우 각 모듈간 균일한 전류분배가 어려운 문제가 존재한다. 각 모듈간 전류분배를 위해 각 개별모듈의 입력 전류에 존재하는 스위칭 주파수 성분만을 분석하여 병렬 모듈 사이의 전류분배 차이를 검출하고, 그 차이를 최소화 하도록 드룹 이득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제어 알고리즘은 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계된 380V급 DC 배전 시스템 모델을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 PDF

비균일 축방향 출력분포시 임계열속 예측치 해석적 보정모형

  • 권정택;남기일;임종선;황대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05a
    • /
    • pp.329-334
    • /
    • 1997
  • 기포막 제한 및 기포 군집 이론에 의한 해석적 접근을 통해 축방향 출력분포가 임계열속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임계열속 발생지점에서의 엔탈피 변화를 고려하여 축방향 출력분포에 따른 임계열속 예측치 보정 모델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모델의 검증을 위해 cosine 형태의 축방향 출력분포를 갖는 임계열속 측정치와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제안된 모델은 측정치에 대해 평균 1.0072, 표준편차 9.98%의 예측 성능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