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균열저항성

검색결과 384건 처리시간 0.035초

정전위법에 의한 Alloy 600 및 Alloy 690의 Caustic 분위기에서의 부식저항성 비교

  • 맹완영;강영환;남태운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475-480
    • /
    • 1996
  • Alloy 600 및 Alloy 690의 Caustic 분위기에서, 시편의 포텐셜을 재료의 anodic polarization curve의 active-passive transition 영역의 한 값으로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서 응력부식균열을 쉽게 유발시키는 정전위 시험방법을 사용하여, 두 합금의 부식저항성을 비교하였다. C-ring형태의 Alloy 600 및 690 시편에 응력을 부과하고 30$0^{\circ}C$의 10% NaOH용액에서 7일간 정전위 응력부식시험을 수행하였다. Alloy 600의 경우, 입계를 따르는 100$\mu$m정도 깊이의 균열이 발생하였으나 Alloy 690의 경우는 균열이 유발되지 않았다. Alloy 690의 경우 부식 시험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표면부식전류밀도는 주기적인 Passivation 경향을 보이나 Alloy 600의 경우는 점진적으로 표면부식전류밀도가 증가한다. Alloy 690의 강한 응력부식저항성은 이와 같은 주기적인 Passivation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금속의 피로 및 피로균열전파

  • 김상식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2.1-22.1
    • /
    • 2011
  •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수송기기를 포함한 각종 구조물의 경량화에 따라 피로파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과거에는 피로균열생성과 피로균열전파를 구분하지 않는 S-N (stress-cycles to failure) 피로 개념을 이용하여 구조재의 피로 거동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모든 구조물에는 균열이 존재한다는 가정에서 시작된 파괴역학(fracture mechanics)에 기초한 피로균열성장 개념을 이용하여 피로에 대한 저항성이 큰 구조재를 개발하고 있으며, 구조물의 피로수명을 예측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미세조직, 인장특성, 용접이나 부식 환경 등이 금속의 피로 및 피로균열성장(fatigue crack propagation)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하고자 한다.

  • PDF

실리카충전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컴파운드의 균열성장 및 마모특성: 공정오일 종류의 영향 (Crack Growth and Wear Properties of Silica-reinforced Styrene-butadiene Rubber Compounds: Effect of Processing Oil Type)

  • 강성락;이종영;고재영;고영훈;강신영;나창운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4권4호
    • /
    • pp.401-407
    • /
    • 2009
  • 용액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컴파운드 가교체의 균열저항성 및 마모특성에 미치는 공정오일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방향족 고리화합물(PCA)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방향족 오일과 저 PCA 오일을 선택하였다.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 결과에 의하면 방향족 오일함유 컴파운드가 저 PCA 오일함유 컴파운드에 비해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방향족 오일함유 컴파운드가 균열저항성이 월등히 우수하였고, 특히 인열에너지가 낮은 범위에서 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마모저항특성은 마찰에너지가 낮은 범위에서는 방향족 오일함유 컴파운드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 반면, 높은 마찰에너지 범위에서는 저 PCA 오일 함유 컴파운드가 오히려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혼화제를 사용한 공동주택 바닥마감 모르타르의 균열저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ack Prevention of the Floor Surface Finishing Mortar adding Chemical Admixtures in Apartment Houses)

  • 이동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541-154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바닥미장 모르타르의 균열을 저감하기 위하여 균열 방지제, 고성능 감수제, 수지 등의 재료혼입에 따른 균열촉진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고성능 감수제와 수지를 혼입한 시편이 균열방지제를 사용한 시편보다 균열수와 압축강도에서 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가장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낸 시편이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균열을 나타냈으며, 가장 낮은 압축강도를 나타낸 시편에서 많은 균열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압축강도가 우수한 시편이 균열 저항성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압축강도와 균열저항성은 비례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모의부재 실험을 바탕으로 실제 아파트 현장에 적용된 배합 3의 장기 모니터링 결과, 장기 재령에서 균열발생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고온의 염기성 수용액에서 Ni기 합금의 응력부식파괴

  • 김홍표;황성식;국일현;김정수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84-89
    • /
    • 1998
  • Alloy 600 및 alloy 690과 Ni-8Cr-lOFe 합금 등의 응력부식(stress corrosion cracking, SCC) 거동을 고온의 염기성 분위기에서 C-ring 시편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Alloy 600과 alloy 690을 여러 조건에서 열처리하여 etching한 후 탄화물의 분포와 입계 주변의 Cr고갈 정도 등의 미세조직을 광학현미경과 주사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하였다. 이들 재료에 대한 SCC 시험을 315$^{\circ}C$의 40% NaOH 수용액에서 일정한 부하전위(부식전위 + 200㎷)를 가하면서 수행하였으며, 동일 조건에서의 분극거동도 측정하였다. Alloy 600 MA(mill anneal) 및 TT(thermal treatment)의 SCC 저항성은 alloy 690 TT와 Ni-8Cr-10Fe SA(solution anneal)보다 낮았다. Alloy 600 TT 재료는 alloy 600 MA 및 SA 재료에 비해 SCC 저항성이 더 컸다. 고용 탄소농도는 alloy 600의 SCC 저항성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대부분의 Alloy 600은 균열전파 입계균열을 보였으나, 일부에서는 입계 및 입내 혼합양상(mixed mode cracking)을 보였다. 염기성 분위기에서 Ni기 합금의 SCC 거동을 미세조직, 분극거동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 PDF

수소유기균열 저항성 평가방법 (Evaluation Method for the Resistance to Hydrogen Induced Cracking)

  • 김희진;박영록;유희수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22권2호
    • /
    • pp.8-12
    • /
    • 2004
  • 지하로부터 채굴되는 천연가스의 황화수소(H$_2$S)가스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면 이를 사우어가스(sour gas)분위기라고 하는데, 이러한 부식성 분위기에 강재가 노출되면 강재 내부에 수소유기균열(hydrogen induced cracking)이 발생할 위험성이 높아진다.(중략)

3성분계 시멘트를 활용한 실 대형 지하구조물의 매스 콘크리트 수화 발열 특성 및 균열 저항성 평가 (Evaluation of Hydration Heat Properties of Mass Concrete and Crack Resistance Performance in Practical Large Underground Structures Using Ternary Blended Cement)

  • 최연왕;오성록;이재남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82-9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실 대형 지하구조물의 매스 콘크리트의 수화 발열 특성 및 균열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 구조물 내부의 온도이력 및 열 특성을 고려한 해석을 실시하였다. 해석 결과는 실측값과 비교를 통하여 해석의 신뢰성을 검증하였으며, 균열에 대한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실 구조물의 온도 측정 결과, 슬래브의 단열 온도 상승 계수 K 및 ${\alpha}$$35.1^{\circ}C$와 0.72이었으며, 벽체는 $29.3^{\circ}C$와 0.67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단열온도상승계수 및 현장조건을 적용한 수화열 해석 결과 실측값과 상관계수(r)는 각각 0.95 및 0.98로 나타났다. 슬래브 및 벽체의 균열 저항성을 평가한 결과 슬래브 및 벽체의 최소 균열지수는 각각 1.22 및 1.20으로 나타나 현장 관리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합성섬유 및 바이오 폴리머를 혼입한 3D 프린팅 모르타르의 재료특성 (Material Properties of 3D Printed Mortars Produced with Synthetic Fibers and Biopolymers)

  • 김효정;이병재;김윤용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78-85
    • /
    • 2023
  • 3D 프링팅 출력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축 균열을 저감하기 위해 합성섬유를 보강하고, 선인장의 줄기(cactus stem, CS)를 활용한 바이오 폴리머 혼화제를 혼입하여 제조한 3D 프린팅용 모르타르의 재료특성을 평가하였다. 셀룰로우즈계 혼화제 (methylcellulose, MC)의 대체재로 CS 10% 일부 치환할 경우, 타설방법과 상관없이 9.84~23.92% 압축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설방법과 상관없이 Plain 대비 수축변화, 동결융해, 균열 저항성이 개선됨을 나타냈다. 이는 CS를 일부 치환함으로써 다당류 폴리머 구조가 증가되어 내구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섬유 배합의 경우, 섬유의 종류 및 혼입량이 압축강도와 동결융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섬유 혼입에 의해 수축변화와 균열 저항성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인 결과, 3D 프린팅 모르타르 배합시 MC 대신 CS 10% 일부 치환하고 섬유를 보강할 경우 섬유 종류 및 혼입량과 상관없이 내구성, 균열 저항성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암석의 파괴인성계수와 균열감응도의 해석 (Notch Sensitivity Analysis for the Rock Fracture Toughness)

  • 백환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7권2호
    • /
    • pp.143-149
    • /
    • 1997
  • 암석의 파괴인성계수(fracture toughness)는 균열의 성장에 대한 암석의 저항을 나타낸다. 실험실에서 측정한 파괴인성계수는 일반적인 암석의 불균질성이나 이방성 외에도 시험편의 형상이나 하중조건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제한된 수의 시험편을 사용하여 측정된 파괴인성계수는 자료의 분산이 심하므로 실제 적용에 있어서 문제가 된다. 균열감응도란 파괴인성계수의 측정에 사용되는 시험편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는 지수로서, 시험편의 파괴가 균열의 성장에 의한 것인지, 혹은 인장강도에 의한 것인지를 판별하는 기준이 된다. 이러한 균열감응도를 파악하여 암석의 파괴인성계수 측정에 유효한 시험편의 크기나 초기균열 길이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실험실에서 측정된 차괴인성계수의 유효성 여부를 판별하는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암석의 파괴인성계수의 측정에 흔히 사용되는 몇 가지 형태의 시험편들에 대하여 균열감응도를 계산하고 이에 따른 초기균열 길이의 범위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