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규칙성

검색결과 3,048건 처리시간 0.056초

초등수학의 규칙성 영역 단원에 제시된 발문의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Questions Presented in Chapters of Pattern Area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도주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4권4호
    • /
    • pp.189-20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규칙성 영역 단원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과 기능을 학년군별로 비교 분석하여 발문의 특성을 파악하고 규칙성 영역 지도에 효과적인 발문 활용에 있어서 교수·학습상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교과서의 규칙성 영역 단원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은 학년군별로 공통되게 추론 발문, 사실 발문, 열린 발문 순으로 출현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모든 학년군에서 추론 발문의 출현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규칙성 영역 단원에서는 규칙을 찾는 과정에서 추측, 발명, 해결 활동을 돕거나 수학적 추론을 돕는 기능으로 작용하는 발문이 상대적으로 많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발문의 유형과 작용 기능은 학년군별 학습 내용 및 학년군의 특성과 관련이 있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규칙성 영역 지도 시 발문 구안에 있어서 참고자료의 제공 및 나아가 규칙성 교수·학습을 발전적으로 유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개인화에서 사용자 프로파일 구축을 위한 효과적인 규칙확인 방법 (Efficient Rule Validation Methods for User Profiling in Personalization)

  • 손준원;배기성;석민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57-560
    • /
    • 2004
  • 추천 시스템에서부터 1:1 마케팅에 이르는 전자 상거래의 다양한 응용 영역에서, 개별 사용자로부터 개인화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프로파일들은 사용자들의 구매 행위와 같은 개인별 행동들을 설명해주며, 특히 다양한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기술들을 이용해 사용자의 거래 기록으로부터 학습된 규칙들을 발견해낼 수 있다. 발견된 규칙들 중에는 거짓이거나 연관 없거나 또는 하찮은 것들도 존재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문제 가운데 하나는 발견된 규칙들을 처리후-분석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이다. 예를 들어, 발견된 규칙을 사용자 프로파일에 적합한 것인지를 확인할 때 좋은 규칙과 나쁜 규칙을 어떻게 판명하는가 하는 문제이다. 이 논문에서는 규칙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객관적 척도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음의 연관성 규칙 생성을 위한 음의 기여 순수 신뢰도의 제안 (Negatively attributable and pure confidence for generation of negative association rules)

  • 박희창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5호
    • /
    • pp.939-948
    • /
    • 2012
  • 데이터 마이닝 기법들 중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연관성 규칙은 방대한 데이터베이스에서 항목간의 관계를 흥미도 측도에 의해 명확히 수치화함으로써 그들간의 관련성을 표시해주는 기법이다. 양의 연관성 규칙 마이닝이 임의의 한 항목이 발생하면 다른 항목도 발생한다는 규칙을 생성하기 위한 기법인 반면에, 음의 연관성 규칙은 어느 항목이 발생하면 다른 항목은 발생하지 않는다는 규칙을 찾아내는 기법이다. 음의 연관성 규칙은 양의 연관성 규칙의 활용과 마찬가지로 고객의 구매 경향 및 마케팅 정책을 제시할 수 있고 교차판매와 매장 진열 등과 같이 타겟 마케팅에 활용 가능하다. 양의 연관성 규칙에 음의 연관성 규칙을 추가하게 되면 어떤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그 제품만 마케팅 하는 것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그 제품이 아닌 어느 제품을 마케팅 하는것이 필요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음의 신뢰도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음의 기여 순수 신뢰도를 제안한 후, 이에 대해 흥미도 측도가 가져야 할 조건들을 조사하였으며, 예제 데이터를 활용하여 음의 기여 순수 신뢰도의 유용성을 고찰하였다.

신경망 규칙 추출에서 규칙 결합의 bottom-up 접근 방법 (Bottom-up Approach of Rule Rewriting in Neural Network Rule Extraction)

  • 이은헌;김현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16-919
    • /
    • 2018
  • 심층신경망 모델은 우수한 성능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델이 어떤 판단 과정을 통해 결론을 내렸는지 파악하기 어렵다. 그에 따라 판단에 대한 근거가 중요한 분야에서는 심층신경망 모델을 적용한 실제 사례를 찾기 어렵다. 인공신경망 모델을 해석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부 구조를 이용하여 규칙을 추출하는 decompositional 접근법이 제안되었으나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은닉층이 1개인 다층 퍼셉트론 모델에서 규칙을 생성하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오늘날 사용하는 심층신경망 모델은 일반적으로 여러 은닉층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접근법을 그대로 적용할 경우 규칙 불확실성에 따라 잘못된 규칙을 추출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은 decompositional 접근법에 존재하는 규칙 불확실성 문제를 완화하고 깊이가 깊은 심층신경망 모델에 규칙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접근법은 실제 활성화 값을 통해 지식을 추출하며, 이를 통해 규칙 불확실성 문제를 완화할 수 있었다.

항목 알에프엠 점수를 고려한 가중 연관성 규칙 (Weighted association rules considering item RFM scores)

  • 박희창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6호
    • /
    • pp.1147-1154
    • /
    • 2010
  • 데이터 마이닝의 중요 목표 중의 하나는 여러 변수들 간의 관계를 발견하고 결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요한 기법인 연관성 규칙은 각 항목들 간의 관련성을 찾아내는 데 활용되며, 지지도, 신뢰도, 향상도 등의 연관성 측도를 기반으로 두 항목간의 관계를 수치화함으로써 의미 있는 규칙을 찾아 낸다. 본 논문에서는 수익성이 가장 높은 고객을 찾기 위해 고객 정보를 이용하는 기법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어온 방법인 알에프엠 기법을 항목에 적용하여 항목의 알에프엠 점수를 항목의 중요도로 고려하여 가중 연관성 규칙의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모의실험에서는 일반적인 연관성 규칙과 알에프엠 점수를 가중치로 한 가중 연관성 규칙의 유용성을 비교하였다.

관심 항목의 발생 가능한 규칙의 수를 고려한 연관성 평가기준 (Association rule thresholds considering the number of possible rules of interest items)

  • 박희창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4호
    • /
    • pp.717-725
    • /
    • 2012
  • 데이터 마이닝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쉽게 드러나지 않는 의미 있는 정보를 생성하는 기법이다. 이 중에서 연관성 규칙은 일반적으로 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자료를 이용하여 지지도, 신뢰도, 향상도 등을 수치화함으로써 항목들 간의 관련성을 나타낸다. 기존의 연관성 규칙은 발생 빈도의 크기를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정보 손실에 의한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발생 가능한 규칙의 수를 고려한 연관성 평가 기준들을 제안하고 예제를 통하여 기존 연구와 비교한 후, 본 논문에서 제안한 연관성 평가 기준의 유용성을 살펴보았다. 실제 데이터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기존의 연관성 규칙 평가 기준은 관심항목 수와 트랜잭션의 수를 2배로 하여도 지지도와 신뢰도, 향상도의 값이 동일한 반면에 본 논문에서 제안한 평가 기준은 발생 가능한 규칙의 수를 고려하기 때문에 각각의 평가 기준의 값들이 트랜잭션의 수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평가 기준이 기존의 연관성 규칙 평가 기준에 비해 좀 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신뢰도의 범위가 기존 연관성 평가 기준에 비해 크므로 좀 더 비교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향상도의 비교를 용이하게 한다고 할 수 있다.

상호점검규칙에 의한 UML 다이어그램의 일관성 개선 (Improvement of Consistency for UML Diagrams with Cross Checking Rules)

  • 하일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291-1299
    • /
    • 2012
  • UML은 풍부한 문법이 제공되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지만, 사용자가 작성한 다이어그램의 일관성을 보장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UML다이어그램 사이의 일관성을 개선할 수 있는 상호점검규칙을 제안하며, 특히 UML 동적 다이어그램과 정적다이어그램의 일관성에 중점을 둔다. UML 다이어그램의 구성요소와 상호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상호점검규칙에 반영하기 위하여 메타모델을 이용하고, 규칙의 정확한 표현을 위하여 UML 표준 제약언어인 OCL을 사용한다. 상호점검규칙은 UML 명세의 well- formedness -rule과 비교하여 일관성에 중점을 두어 유도하였으며, 정적 다이어그램과 동적 다이어그램의 메타모델을 유도하고 다이어그램 사이의 관계성분석 과정을 거친다. 마지막으로 사례 다이어그램에 제안된 점검규칙을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검증한다.

연관 규칙 분석 알고리즘을 활용한 영작문 형태.통사 오류 자동 발견 (Automatic Error Detection of Morpho-syntactic Errors of English Writing Using Association Rule Analysis Algorithm)

  • 김동성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0년도 제22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일련의 연구에서 수집된 영작문 오류 유형의 정제된 자료를 토대로 연관 규칙을 생성하고, 학습을 통해서 효용성이 검증된 연관 규칙을 활용해서 영작문 데이터의 형태 통사 오류를 자동으로 탐지한다. 영작문 데이터에서 형태 통사 오류를 찾아내는 작업은 많은 시간과 자원이 소요되는 작업이므로 자동화가 필수적이다. 기존의 연구들이 통계적 모델을 활용한 어휘적 오류에 치중하거나 언어 이론적 틀에 근거한 통사 처리에 집중하는 반면에, 본 연구는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서 정제된 데이터에서 연관 규칙을 생성하고 이를 검증한 후 형태 통사 오류를 감지한다. 이전 연구들에서는 이론적 틀에 맞추어진 규칙 생성이나 언어 모델 생성을 위한 대량의 코퍼스 데이터와 같은 다량의 지식 베이스 생성이 필수적인데, 본 연구는 적은 양의 정제된 데이터를 활용한다. 영작문 오류 유형의 형태 통사 연관 규칙을 생성하기 위해서 Apriori 알고리즘을 활용하였다. 알고리즘을 통해서 생성된 연관 규칙 중 잘못된 규칙이 생성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관성 검정, 코사인 유사도와 같은 규칙 효용성의 통계적 검증을 활용해서 타당한 규칙만을 학습하였다. 이를 통해서 축적된 연관 규칙들을 영작문 오류를 자동으로 탐지하는 실험에 활용하였다.

  • PDF

IPv6 네트워크 계층의 보안성 평가를 위한 평가규칙 표기 언어 및 평가 수행기의 설계 (A Design of SERDL(Security Evaluation Rule Description Language) and Rule Execution Engine for Evaluating Security of IPv6 Network)

  • 권혁찬;김상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1C권4호
    • /
    • pp.471-484
    • /
    • 2004
  • 현재 차세대 인터넷 IPv6 네트워크의 보안을 위한 IPsec(IP Security)의 구현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성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 IPv6 네트워크 계층의 보안성을 평가하기 위한 자동화된 도구나 평가 방법론 등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IPv6 기반 IPsec이 적용된 보안 시스템의 보안성을 평가하기 위해, 보안성 평가 항목을 정의할 수 있는 평가규칙표기언어를 설계하고 평가규칙표기언어를 이용하여 정의된 평가규칙을 해석하고 실행하기 위한 평가규칙 처리 도구를 제안한다. 평가규칙 처리도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 평가규칙 모듈 부, DBMS부로 구성되며 평가 대상 시스템에 탑재된 에이전트와의 협력을 통해 평가를 수행하는 구조를 갖는다.

발생빈도를 고려한 연관성분석 연구 (A study of association rule by considering the frequency)

  • 임제순;이경준;조영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6호
    • /
    • pp.1061-1069
    • /
    • 2010
  • 데이터마이닝 분야에서 연관성분석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법으로 데이터 내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항목들의 연관성을 수치화시켜 나타내는 방법이다. 기본적으로 연관성규칙은 지지도, 신뢰도, 향상도를 계산하여 연관성의 유무를 판단한다. 기존에 제시된 관련 논문에서는 관심변수의 발생유무만을 바탕으로 연관성규칙을 이용하였고, 빈번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한 문제점과 순위결정함수를 통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실제 데이터에서는 발생이 빈번하지 않은 데이터 뿐 아니라, 발생이 많이 일어나는 데이터도 존재한다. 따라서 발생빈도를 고려한 연관성규칙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는 각 케이스 내의 발생빈도를 고려한 새로운 연관성 측정 도구를 제시하였다. 또한 실제 예제를 통하여 기존의 연관성규칙과 새로운 연관성규칙의 결과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새로 제시한 연관성규칙이 기존의 연관성규칙보다 더 세밀하게 구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