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규암

Search Result 6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Geology and Polymetallic Mineralization in the Cusco Area, Peru (페루 꾸스코 지역 지질특성과 다금속 광화작용)

  • Ryoo, Chung-Ryul;Heo, Chul-Ho;Munoz, Michael Valencia;Cornejo, Raymond Rivera;Angeldonis, Alexander Santisteban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1
    • /
    • pp.41-50
    • /
    • 2012
  • 페루 남동부 지역에 위치한 꾸스코 동-금을 포함한 다중금속 광상 지역의 지질은 고생대 페름기-중생대 삼첩기 변성퇴적암인 미투(Mitu)층군과 이를 관입한 동시기 관입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사지역은 페름기-삼첩기 관입암과 관련된 U-W-Sn-Mo, Au-Cu-Pb-Zn, REE 광화작용과 관련된 금속광화 대로 알려져 있다. 특히 해당 관입암은 대자율 측정 결과 S-type, 티탄철석계열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꾸스코 지역은 깔까 북쪽과 시꾸아니 부근에 주요 광화대가 발달하고 있다. 조사대상 광상은 아줄 동, 올미오 동, 빅토리아 금, 빠딴자 동, 나우챠피-초차까나 동, 체카 금광상이다. 아줄 광상의 모암은 안산암질암이며 광석광물로는 반동석 및 황동석이 산출하며, 동은 7.81~15.3%의 범위를 가지고 평균 10.7%이다. 올미오 광상의 모암은 흑색편암이며 엽리를 따라 산화동이 충진되어 있고, 동은 0.61~2.60%의 범위를 가지고 평균 1.74%이다. 빅토리아 광상의 모암은 변성퇴적암이며, 석영맥 충진형 광상으로 금함량은 < 0.1 g/t, 은함량은 < 0.1~< 0.3 g/t이다. 빠딴자 광상에서는 이암 또는 실트암의 층리를 따라 충진하고 있는 산화동이 산출하며, 동은 3.74~9.21%의 범위를 보이며 평균 6.21%이다. 나우챠피-초차까나 광상은 적색사암의 층리를 교대충진하고 있는 산화동 광체이며, 동은 1.62~10.5%의 범위를 가지며 평균 6.39%이다. 체카 광상은 모암인 규암이 각력화작용을 받은 부분에서 금이 산출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있으나 분석결과 금이 탐지되지는 않았다.

Characteristics of W-Mo Mineralization in Dulaankhaikhan area, Mongolia (몽골 중부 둘란하이한 지역의 W-Mo 부존 특성)

  • Lee, Bum Han;Kim, In Joon;Heo, Chul-Ho
    • Mineral and Industry
    • /
    • v.26
    • /
    • pp.22-31
    • /
    • 2013
  • KIGAM and MRAM (Mineral Resources Authority of Mongolia) performed joint researches on geological survey of Dulaankhaikhan W-Mo occurrences areas in southeastern part of Khangai region. XRD results of tungsten containing quartz vein sample show that tungsten minerals are wolframite, hubnerite and ferberiteore. $WO_3$ grade of samples obtained in Silurian Khotont formation is 0.11-4.43% and that of samples obtained in Permian Delgerkhan complex is 137-3844 ppm. Average total $R_2O_3$ of samples obtained in survey area is 473 ppm which is 2.5 times larger than that of Earth's crust. The highest total $R_2O_3$ is 1326 ppm. Factor analysis results show that two areas of high tungsten contents have similar correlations with tungsten, and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se two areas have the similar origin of mineralization.

  • PDF

Characteristics of Fe-Mn Mineralization in Ugii Nuur and Tamir Gol, Mongolia (몽골 우기누르와 타미르골의 철-망간 부존 특성)

  • Lee, Bum Han;Park, Gye Soon;Kim, In Joon;Lee, Gilljae;Heo, Chul-Ho;Koh, Sang-Mo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4
    • /
    • pp.313-322
    • /
    • 2012
  • 몽골 우기누르 지역 철-망간 광상과 타미르골 지역 철 광상의 광체는 먼곤체지 층 내에 렌즈상으로 협재되는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광상은 캠브리아 기에서 실루리아기에 이르는 화산 기원의 퇴적형 광상인 타미르골-요루골 광상구에 해당된다. 우기누르 지역의 철-망간 광체와 타미르골 지역의 철광체는 주로 규암과 편암을 모암으로 하여 먼곤체지 층 내에 렌즈상으로 협재되어 있다. 우기누르지역의 편암이 주로 세리사이트 편암인 데 비해 타미르골 지역은 주로 백운모 편암이 나타나는 차이를 갖는다. 또한 우기누르 지역의 광석은 망간이10에서 12% 함유되나 타미르골 지역의 광석은 망간이 1% 이하로 함량이 낮은 특성을 갖는다. 우기누르 철 망간 광상의 철 광물은 주로 자철석, 적철석이 우세하게 나타나고 기타 철 산화물과 황철석이 미량으로 수반되어 나타나며, 망간 광물은 주로스페사틴, 버네사이트가 우세하게 나타나고 기타망간 산화물이 수반되어 나타난다. 타미르골 지역의 철 광석은 자철석이 우세하게 나타나고 적철석이 수반되며 황철석, 철 산화물, 탄산질 철 등이 미량으로 수반되어 나타난다. 우기누르 철-망간 광상에 대한 육상 자력탐사 결과 높은 자기 이상값을보이는 영역이 지표에서 확인된 광체의 방향과 같은 약 $N30^{\circ}W$ 방향으로 나타나며 지표에서 확인된 광체 이외에 지표에 드러나지 않은 부분에서도 연장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A Method Study on Discharge Computation of Backwater effect station by Handle of Gate of a Geumgang estuary dyke (금강하구둑 갑문조작에 의한 배수영향 지점에서의 유량산정 방법 연구)

  • Lee, Chung-Dae;Han, Hak-Young;Lim, Tae-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307-1311
    • /
    • 2010
  •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홍수량 자료뿐만 아니라 저 평수량의 자료도 매우 중요하며, 이는 최근의 가뭄 발생으로 인하여 용수공급 및 하천수질관리 문제에서 저수위 유량자료의 파악이 중요한 관심 대상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저수위에 대해 유량측정을 실시하여 유량자료를 확보해야 하며, 이와 더불어 연속적인 유량자료를 얻기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자연하천에서 수위-유량관계는 수위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유량변화가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고 변동을 하기 때문에 단일함수 관계로 설명이 가능하다. 하지만 갑문 조작에 영향을 받는 구간에서는 수위와 유량만의 단일함수 관계가 아닌 갑문의 개 폐에 따라 수위와 유량이 변동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일반하천에 비해 수위-유량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본 연구는 금강 하구둑의 갑문조작에 의하여 배수영향을 받는 규암 수위관측소에 대하여 수위-하강고-유량관계를 이용한 유량환산방법, 수면경사를 매개변수로 추가한 다중 회귀식 개발, 자동유량측정 장치를 이용한 유속지수법, 기존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이용한 유량환산, ADCP(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를 이용한 유량측정성과에 대하여 비교 분석을 통하여 갑문조작에 의한 배수영향을 받는 지점의 안정적인 유량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각 유량환산 방법에 따라 실측 유량과 환산유량 비교의 결과 수위-하강고 유량관계의 경우 평균 26.60%, 기존 수위-유량관계곡선의 경우 130.29%, 유속지수법의 경우 36.48%, 다중회귀식의 경우 24.65%의 상대오차가 발생하였다.

  • PDF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 for Hydrometeorologic Parameters Considering Climate Changes in Geum River Basin (기후변화를 고려한 금강유역 수문기상인자의 특성 분석)

  • Ahn, So-Ra;Park, Jin-Hyeog;Chae, Hyo-Seok;Hwang, Eui-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555-1559
    • /
    • 2010
  • 본 연구는 미래 물 관리를 위한 기후변화 대응방안 도출 연구의 사전연구로서 금강유역의 과거 기상 수문요소의 특성변화 분석을 수행하였다. 기상자료로 금강유역 기상관측소 8개소의 37개년(1973~2009)의 기온, 강수량, 상대습도 자료를 수집하였다. 하천수위자료는 수위자료와 수위-유량관계곡선의 신뢰성 문제, 이후 수행될 장기유출분석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공주, 규암 수위관측소의 36개년(1973~2008)의 자료를 이용하였고, 지하수위자료는 강우관측소와 근접하게 위치해 있으면서 과거 자료를 최대한 많이 보유하고 있는 6개 관측소의 10개년(1999~2008)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평균, 표준편차, 왜곡도, 변동계수를 산출하여 연 계절별로 수문기상인자의 경년변화를 파악한 결과 기상인자 중 강수량의 변동성이 가장 크게 나타나 경년별 변화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고 하천수위보다는 지하수위가 경년별 변동이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문학적 지속성 분석을 위해 Run 검정, Turning Point 검정, Anderson Exact검정을 이용하여 시계열자료에 주기성이 있는지 분석한 결과 기온과 강수는 무작위성, 상대습도, 하천수위는 지속성을 가지는 인자로 분석되었고 지하수위는 관측소별, 기간별로 무작위성과 지속성이 혼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향성 분석을 위해 단순 선형 회귀분석과 Mann-Kendall 검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기온은 연 계절 모두 증가경향이 나타났고, 강수량은 여름에만 증가경향이 나타났으며, 상대습도는 뚜렷한 감소경향을 보였다. 또한 하천수위는 감소경향이 나타났으며 지하수위는 유의수준 범위에서 경향성은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수자원의 영향을 평가하고 미래 물 관리 적응기술 개발 및 계획 수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inera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ome Rocks as Aggregates and Their Suitabulity for Concrete (골재용 암석의 광물학적 및 역학적 특성과 콘크리트용으로서의 적합성 연구)

  • 진호일;민경원;연규석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0 no.4
    • /
    • pp.183-193
    • /
    • 1998
  • This study was designed, firstly, to determine the minera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me rock aggregates, secondly, to offer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ose and mechanical properties, and thirdly, to evaluate their suitability for concrete aggregates. Mineralogical, chemical, phys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d rock aggregates indicate that granite from BJ quarry and banded gneisses from KB. HI and SK quarry, and quartzite from the Hongcheon riverside are not proper to cement concrete aggregates because of quartz's potential possibility of alkali-silica reaction, and limestone in SY quarry is proper to asphalt concrete aggregates owing to dolomite causing alkali-carbonate reaction. Augen gneiss and diorite from KB and SA quarry, respectively, are to be not suitable for concrete aggregates because of biotite contents, but augen gneiss in HI quarry and gneisses in Hongcheon riverside are proper to concrete aggregates because of mineralog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An Analysis on the Changes of flow Duration Characteristics due to Dam Construction (댐 건설에 따른 하류 유황의 변화 분석)

  • Kim, Tae-Gyun;Yoon, Yong-Nam;Ahn, Hae-H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6
    • /
    • pp.807-816
    • /
    • 2002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s of flow duration characteristics of a large river basin due to construction of a dam. The changes of water surface are quantified from remote sensing film taken before and after dam construction. Gongiu gauging station was selected to analyze the changes of flow duration, and annual exceedance series of Gongju and Kyuam gauging station were selected to estimate the changes of flood quantile before and after dam construction. From the analysing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construction of dam contributes to make new duration stable and to decrease flood flow.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dam is useful for water supply and flood prevention.

Geology and Soils of Chojeong-Miwon Area (초정-미원지역의 지질과 토양에 관한 연구)

  • 나기창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9 no.1
    • /
    • pp.13-28
    • /
    • 2000
  • Chojeong area is mainly composed of the Ogcheon Group which consists of regionally metamorphosed, age-unknown sedimentary rocks. In the northwestern parts, the Group is intruded by the Jurassic Daebo granite and Cretaceous felsic and mafic dykes. The lowermost, Midongsan Formation which consists of milky white impure quartzite, crops out along the anticline axes with N40E trend. Ungyori quartzite Formation is intercalated with quartzite and slate. Miwon Formation is most widely exposed in the area and consists mainly of phyllitic sandy rocks with a thin crystalline limestone bed. Hwajeonri Formation is divided into two parts, pelitic lower and calcareous upper parts, composed with phyllite and slate. Changri and Hwanggangri Formations are typical members of Ogcheon Group, the former bearing coally graphite seams consists mainly of black slate and phyllite with intercalated greenish grey phyllite, the latter is pebble bearing phyllite formation of which matrix and pebbles are variable in compositions and size. Biotite granite, porphyritic granite and two mica granite belong to Jurassic so-called Dabo granite. They intruded the Ogcheon Group forming vast contact metarnophic zone. Quartz porphyry, mafic dyke and felsite intruded along the marginal zone of porphyritic granite batholith and fracture of NS trend. Main structural lineaments in Ogcheon Group shows N25-45E, NS and N30-45W trends. The N25-45E trends are mainly from general ductile deformation during regional metamorphism, showing isoclinal folding, Fl foliations and lithological erosional characters. Some of these trends are due to normal faults. The NS and N30-45W trends represent brittle deformation including faults and joints. In the area of granitic batholith, NS to N30- 45 trends are from the direction of dykes. In the soils of the area, average contents of heavy metal elements such as Cd, Cr, Cu, Pb, and Zn are 0.2, 50.6, 35.5, 27.9, and 93.4 ppm respectively, which are not higher than the average values of natural soils, under the tolerable level. Enrichment Index does not show any heavy metal pollution in the area. Average depths of weathering(5m vs. 2m), porosities(43.94 vs. 51.80), densities(l.29 vs. 1.15), and permeabilities(2.52 vs. 8.07) are comparable in granite areas and in the phyllite areas of Ogcheon Group.

  • PDF

General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ashinchilen Nb-Ta and Sant Cu Occurrences in Southeastern Part of Khangai Area, Mongolia (몽골 항가이 남동부 지역 다신칠렌 탄탈륨-니오븀 및 산트 동 산출지의 지구화학적 특성 개요)

  • Kim, In Joon;Lee, Bum Han;Heo, Chul-Ho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6 no.5
    • /
    • pp.455-468
    • /
    • 2013
  • We performed reconnaissance survey on Dashinchilen Nb-Ta REE area and Sant Cu area which are located in southeastern part of Khangai rare metals mineralized belt. In Dashinchilen area, Nb and Ta have been found in pegmatitic granite that is largely distributed in the survey area and muscovite in pegmatite which is an intrusion in paleozoic sedimentary rocks which are mostly composed of sandstone. While grades of Nb and Ta are not high, an outcrop that has high Th and U contents (542 ppm of Th and 56.9 ppm of U) has been found. Average and maximum REE contents in the survey area is three times and seven times, respectively, larger than average REE contents in the crust of the Earth. In Sant area, copper oxides such as malachite has been found in quartzite in paleozoic sedimentary rocks. A sedimentary rock formation that has high grade of Mn (12.4-34.6 %) has been found in the survey area. This sedimentary rock formation is the same formation with that of Ugii Nuur Fe-Mn mineralization which is located about 200 km northwest of the survey area. Average and maximum REE contents in the survey area is two and half times and seven times, respectively, larger than average REE contents in the crust of the Earth.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for the data of the geochemical analysis, Nb and Ta in Dashinchilen area are highly correlated with muscovite and Cu in Sant area is highly correlated with Mo, Sn, and Bi. Furthermore, the factor analysis results show that Fe in Sant area was deposited with rare earth elements.

Study of the Lower Duration Curve Characteristic by Reservoir and Weir Couple-operating System in Geum River Basin (금강수계 댐과 보의 운영에 의한 하류 유황특성 연구)

  • Ahn, Jung-Min;Cha, Kee-Uk;Ryoo, Kyong-Sik;Lyu, Si-W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4
    • /
    • pp.285-293
    • /
    • 2011
  • This study presents effects of downstream control point by coupled operation of dams and multi function weirs in the Geum River. Geum river basin that study area did authoritativeness high quality data to acquisition possibility. We applied the flow duration curve, flow regime coefficient, impounded flow index analysis to investigate the quantitative changes in natural flow regimes. In sphere that water supply is possible, this study applied believability that satisfy 95% at estimation year. Impounded flow index was calculated 0.292 by dam coupled operation and 0.297 by dam-weir coupled oper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torage amount is increased by 29.7% as being added. Duration flow of downstream control point was improved because became coupled operation by regulation of dam and weir in the geum r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