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of Fe-Mn Mineralization in Ugii Nuur and Tamir Gol, Mongolia

몽골 우기누르와 타미르골의 철-망간 부존 특성

  • Lee, Bum Han (Mineral Resources Research Department, Mineral Resources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Park, Gye Soon (Mineral Resources Research Department, Mineral Resources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Kim, In Joon (Mineral Resources Research Department, Mineral Resources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Lee, Gilljae (Mineral Resources Research Department, Mineral Resources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Heo, Chul-Ho (Mineral Resources Research Department, Mineral Resources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Koh, Sang-Mo (Mineral Resources Research Department, Mineral Resources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이범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광물자원연구실) ;
  • 박계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광물자원연구실) ;
  • 김인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광물자원연구실) ;
  • 이길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광물자원연구실) ;
  • 허철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광물자원연구실) ;
  • 고상모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광물자원연구실)
  • Received : 2012.11.22
  • Accepted : 2012.12.20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몽골 우기누르 지역 철-망간 광상과 타미르골 지역 철 광상의 광체는 먼곤체지 층 내에 렌즈상으로 협재되는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광상은 캠브리아 기에서 실루리아기에 이르는 화산 기원의 퇴적형 광상인 타미르골-요루골 광상구에 해당된다. 우기누르 지역의 철-망간 광체와 타미르골 지역의 철광체는 주로 규암과 편암을 모암으로 하여 먼곤체지 층 내에 렌즈상으로 협재되어 있다. 우기누르지역의 편암이 주로 세리사이트 편암인 데 비해 타미르골 지역은 주로 백운모 편암이 나타나는 차이를 갖는다. 또한 우기누르 지역의 광석은 망간이10에서 12% 함유되나 타미르골 지역의 광석은 망간이 1% 이하로 함량이 낮은 특성을 갖는다. 우기누르 철 망간 광상의 철 광물은 주로 자철석, 적철석이 우세하게 나타나고 기타 철 산화물과 황철석이 미량으로 수반되어 나타나며, 망간 광물은 주로스페사틴, 버네사이트가 우세하게 나타나고 기타망간 산화물이 수반되어 나타난다. 타미르골 지역의 철 광석은 자철석이 우세하게 나타나고 적철석이 수반되며 황철석, 철 산화물, 탄산질 철 등이 미량으로 수반되어 나타난다. 우기누르 철-망간 광상에 대한 육상 자력탐사 결과 높은 자기 이상값을보이는 영역이 지표에서 확인된 광체의 방향과 같은 약 $N30^{\circ}W$ 방향으로 나타나며 지표에서 확인된 광체 이외에 지표에 드러나지 않은 부분에서도 연장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Kim, S.-Y., Hwang, D.-H., Ryoo, C.-R. and Park, J.-K. (2004) Mineral exploration on Au-Au / non-ferrous mineral belts of Central Mongolia,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R-04(C)-11, 373p.
  2. Dejidmaa, G., Bujinlkham, B., Eviihuu, A. Enkhtuya, B., Ganbaatar, T., Moenkh-Erdene, N. and Oyuntuya, N. (2001) Distribution Map of Deposits, and Occurrences in Mongolia (at the Scale 1:1,000,000), Mineral Resources Authority of Mongolia, Ulaanbaatar, 280p.
  3. Gutzner, J. and Beukes, N. J. (2002) Iron and manganese ore deposits: Mineralogy, geochemistry and Economic geology. Encyclopedia of Life Support Systems, UNESCO, Section 5.15.6.2, 7p.
  4. Rodionov, S., Obolenskiy, A., Distanov, E., Badarch, G., Dejidmaa, G., Hwang, D.H., Khanchuk, A., Ogasawara, M., Nokleberg, W., Parfenov, L., Prokopiev, A., Seminskiy, Z., Alexander, P.. Smelov, A., Yan, H., Birul'kin, G., Davydov, Y. Fridovskiy, V., Gamyanin, G., Gerel, O., Kostin, A., Letunov, S., Li, X., Nikitin, V., Sudo, S., Sotnikov, V., Spiridonov, A., Stepanov, V., Sun, F., Sun, J., Sun, W., Supletsov, V., Timofeev, V., Tyan, O., Vetluzhskikh, V., Wakita, K., Yakovlev, Y. and Zorina, L. (2003) Preliminary Metallogenic Belt and Mineral Deposit Maps for Northeast Asia, Open-File Report 03-204, USGS, 104p.

Cited by

  1. Resource Estimation of Ugii Nuur Fe-Mn Occurrence Area, Mongolia vol.28, pp.1, 2015, https://doi.org/10.9727/jmsk.2015.28.1.1
  2. Characteristics of the Copper Mineralization in Tsogttsetsii Area, Mongolia vol.29, pp.1, 2016, https://doi.org/10.9727/jmsk.2016.29.1.23
  3.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3D Geological Modeling and Magnetic Data of Fe-Mn Ore in Ugii Nuur, Mongolia vol.48, pp.4, 2015, https://doi.org/10.9719/EEG.2015.48.4.313
  4. Distribution of Fe-Mn Ore in Ugii Nuur, Mongolia Using Magnetic Data vol.35, pp.6, 2014, https://doi.org/10.5467/JKESS.2014.35.6.422
  5. 몽골 촉트체치 지역 동 산출지 예비조사결과 vol.50, pp.4, 2012, https://doi.org/10.9719/eeg.2017.50.4.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