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귀농인

Search Result 10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Effect of Returned Farming Infrastructure and Returned Farming Characteristics on the Satisfaction after Returning Farming (귀농 인프라와 귀농자의 특성이 귀농 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Ji-Hun;Kim, Myung-Soo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4 no.3
    • /
    • pp.139-148
    • /
    • 2020
  • Through this study, the policy proposals were intended to be presented to the head of the farming policy. Therefore,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rather than judging the returning farmer on his own, he should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to consult with his family and increase access to agriculture. Second, by opening up SNS and YouTube to returning farmers, they should instill confidence in rural areas by providing them with information about the joy of rural life and the success of farming so that they can easily access information about rural life through villages, youth associations and women's associations. Efforts should be made to create vibrant rural areas by providing infrastructure around farmland, providing various amenities for settling young people and forming a family farmers' association. Third, the head of the return farming policy should come up with customized support policies for the return farming (e.g., one-year farm support, free farm support, institutional sales guarantee, tourism in advanced countries, modernization of farmland facilities). Public relations strategies should also be strengthened so that such policies can lead to agriculture. Finally,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subsidized economic activities (e.g. Airbnb, donation of expertise and work-related personnel before returning home, rural experience, etc.).

Analysis of the Influence Factors on Satisfaction of Returning to Farming in Farm-returning and Rural-returning : With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actor (귀농 귀촌에서 귀농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가족 지지도를 조절효과 중심으로)

  • Lee, Ji Heum;Ha, Kyu So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2 no.5
    • /
    • pp.39-5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rural migration factors, degree of preparation for migration, lifestyle conditions and support policies reflected against the family satisfaction of the migration. In this study family factors were used as control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 for this study will consist of the factors of rural migration,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migration, living conditions of the farmers and the support policies, where as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satisfaction of migration with an adjusting factor of the family satisfaction which will be further analysed to identify its effects on the dependent variable.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residents and 237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where demographic attributes being the controlling variable,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adjusting variable of the family. As the economic factor increases, the level of satisfaction generated to be higher in rural migration. As for the degree of preparation, living condition and support policies resulted, great quantity of green nature, safety and agriculture startup support, respectively, indicated a positive effect to the satisfaction level of migration. From the results, adjustment effect of the family factors on the economic, nature,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of the migration have appear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policy support, regional stability, and economic gain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increase satisfaction and to reduce re-migration rate to city.

  • PDF

Life Satisfaction of Urban-to-Rural Migrants in South Korea - Income vs. Nature - (귀농·귀촌인의 소득만족도와 자연환경만족도 비교 분석)

  • Jung, Jin Hwa;Kim, Sae Bo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25 no.4
    • /
    • pp.65-76
    • /
    • 2019
  • 농촌인구의 급격한 감소와 고령화 속에서 농촌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방안으로 귀농·귀촌의 확대가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귀농·귀촌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도시민의 농촌 이주와 성공적인 정착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특히 귀농·귀촌의 주요 동기가 소득이나 농촌의 자연환경이라는 점에서, 생활만족도를 자연환경만족도와 소득만족도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에는 순서형 로짓모형과 일반화 로짓모형을 사용하였고, 분석자료는 2016년 「귀농귀촌실태조사」 원자료이다. 분석결과, 귀농·귀촌인의 자연환경만족도는 상당히 높으나 소득만족도는 보통 수준에 미치지 못하였다. 귀농·귀촌의 이유가 자연환경이거나, 귀농·귀촌 시 가족의 지지가 있었거나, 귀농·귀촌 이후 주변 이웃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거나, 지자체로부터 귀농·귀촌 지원을 받은 경우, 귀농·귀촌인의 소득만족도와 자연환경만족도가 모두 높았다. 이러한 공통적인 요인 이외에 귀농·귀촌인의 소득만족도와 자연환경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소득만족도는 현재 가구소득이나 귀농·귀촌 전·후 소득 변화와 같은 경제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나, 자연환경만족도는 귀농·귀촌 시 배우자의 동행 여부나 지역사회 참여와 같은 사회적 요인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Regional Analysis of the Migration Patterns of Returning Farmers (귀농인의 지역별 이동패턴 분석)

  • Jung, Jin Hwa;Roh, Jae-Sun;Jang, Woncheol;Kim, Sae Bom;Yoon, Kee Youl;Kim, Juns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20 no.4
    • /
    • pp.221-232
    • /
    • 2014
  • 초고령화된 한국 농촌에서 다양한 교육 및 직업 배경을 가진 중장년층 귀농인구의 유입은 고령화 문제에 대한 대안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농가 고령화에 대한 귀농인구의 잠재적인 기여도 측면에서 귀농인구의 지역별 유입 유출 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로그선형모형과 총합레퍼런스코딩을 사용하였고, 분석자료는 통계청의 2013년 귀농 통계이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귀농인의 절반 정도가 수도권에서 비수도권 지역으로 이주한 인구이고, 이들을 제외하면 귀농인의 대부분은 원 거주지가 있던 도 내에서 이동하고 있다. 귀농인의 귀농 전 대비 귀농 후 지역 내 오즈비(odds ratio)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으며, 귀농인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서도 지역별 유입 유출패턴이 다르다. 이는 귀농인 유입의 긍정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자체별 차이를 반영한 특화된 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Typology of Urban-Rural Migration and Its Implications (도시민의 귀촌행태 유형화와 시사점)

  • Lee, Min Soo;Park, Duk Byeong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9 no.4
    • /
    • pp.1137-1170
    • /
    • 2012
  •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typology of urban-rural migration and its implications. Factors analysis showed that the motivation of migration were economic, idyllic, family, escape of urban life, and farm succession. The most important variable was economic motivation. Cluster analysis also showed that enterprise seeker, small new business seeker, idyllic seeker, and farm successor,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policy makers to understand urban-rural migration whil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 Qualitative Inquiry on the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by Immigrant Farm Households (귀농인의 사회·경제 활동과 함의)

  • Kim, Jeong-Seop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21 no.3
    • /
    • pp.53-89
    • /
    • 2014
  • Immigrant farmers work in various social and economic fields of activity, settling in their rural community. In this study, I inquired into the way of acting of immigrant farmers, based on the texts which were made in the precedent studies. The texts were transcriptions that were made by interviews with immigrant farmers. I classified immigrant farmers' activities into 8 groups that were related to; farming, nonfarm business, off-farm business, volunteering, participating in community organization, lifelong learning, leisure and social interaction in everyday life. And, I tried to captur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ose activities. The implications from this analysis are as followings: 1) most of immigrant farmers have small family farm so that they need nonfarm or off-farm jobs, 2) pluri-acivities of immigrant farm households can contribute to their community's economic viability, 3) their economic activities should be observed carefully in the perspective of self-help approach in community development as well as farm households' livelihood strategy, 4) immigrant farmers have many difficulties to participate in community, nevertheless community participation will improve the social capital, 5) gender-sensitive policy should be developed.

귀농·귀촌자의 소셜미디어 활용 성공사례 연구

  • Seo, Ga-Yeong;Park, Sang-Hyeok;Na, Byeong-M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37-4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귀농 귀촌인들이 성공적인 정착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소셜미디어' 활용 사례를 연구하였다. 연구를 위해 귀농 귀촌 현상을 살펴보고 소셜미디어의 중요성을 알아보았다. 귀농 귀촌인 대상을 선정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필립코틀러의 마켓4.0의 5가지 마켓경로(인지, 호감, 질문, 행동, 옹호)와의 연관성을 사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로 첫째, 귀농 귀촌인이 직접 재배하는 친환경 농산물을 성공적으로 판매할 수 있었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둘째, 계절마다 농산물을 재배하고 수확하는 과정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농산물에 대한 만족도를 높였다. 셋째, 현장체험 및 농산물의 사용 후기, 가격 등을 다양한 채널에서 검색을 가능하게 했으며 각 채널마다 고객과의 소통을 원활하게 했다. 넷째, 소셜미디어 운영에 있어 지속적으로 새로운 콘텐츠를 노출하여 연속적인 구매활동을 유도했다. 다섯째, 구매 후기를 활용하여 재구매를 유도했다.

  • PDF

An Analysis of Ordinances for Rural Immigrant (지방 자치단체의 귀농지원 조례 분석 및 발전방안)

  • Choi, Yoon-Ji;Han, Song-Hee;Hwang, Jeong-Im;Kim,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104-104
    • /
    • 2009
  • IMF로 인한 경제위기 시기에 도시에서 농촌으로 귀농 가구가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으나 이후 경제가 활성화 되면서 감소하였다. 연도별 귀농가구의 동향은 1998년 6,409가구를 정점으로 1999년에 4,118가구로 감소하였다가 2001년경에는 매년 1000가구 미만의 수준으로 하락하였으나 2008년 말 기준으로 2,218가구에 이르는 비교적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지방자치단체 특히 인구 과소화 시군에서는 도시민 유치를 위하여 경쟁적으로 귀농자 지원조례를 제정하여 정착하는 귀농인들을 지원하고 있다. 급기야 2009년 4월에는 중앙정부 차원에서 '귀농귀촌 종합대책'이 발표되었다.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주하는 원인으로는 농업을 직업으로 선택한 결과에 따른 것도 있지만 건강한 생활 및 웰빙 전원생활 영위를 위한 이주 등 그 원인이 다양화 되어 가고 있다. 이주하는 개인의 다양한 동기와 함께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책 또한 하나의 유인요인이 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귀농귀촌 인구가 증가세를 보이기 시작한 2000년대 중반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귀농귀촌인 지원대책이 시작된 시기임을 볼 때 그 연계성을 짐작할 수는 있으나 검증된 바는 없다. 그렇지만 귀농인의 입장에서는 선배 귀농인이 많이 거주하거나 지원정책이 잘 되어 있는 곳을 선택하게 될 가능성은 높은 것도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귀농인 지원을 위하여 각 지방자치단체가 제정한 지방조례의 내용과 차이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2009년 6월 기준으로 전국 34개 시군에서 지방조례를 제정하였고 이중 13개 시군에서는 시행규칙도 완비하였다. 조례의 주된 내용은 귀농귀촌인에 대한 빈집수리비용, 의료 학자금, 영농정착금, 농지구입자금 등을 지원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물론 그 지원 규모에 있어서는 다소의 차이가 있지만 귀농귀촌인에 대한 자금의 직접적 지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귀농자들이 지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정주할 수 있으려면 직접적 자금지원을 벗어나 지역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지원해 주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Network analysis of urban-to-rural migration (네트워크 모형을 이용한 귀농인구 이동 분석)

  • Lee, Hyunsoo;Roh, Jaesun;Jung, Jin Hwa;Jang, Woncheol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9 no.3
    • /
    • pp.487-503
    • /
    • 2016
  • Urban-to-rural migration for farming has recently emerged as a new way to vitalize rural economies in a fast-aging rural Korea.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2013 data of returning farmers with statistical network methods. We identify urban to rural migration hubs with centrality measures and find migration trends based on regional clusters with similar features via statistical network models. We also fit a latent distance model to investigate the role of distance in migration.

Smart Farm Metabus game for Settlement Process of Returning Farmers (귀농인들의 정착 과정을 위한 스마트팜 메타버스 게임)

  • Ko-Eun, Lee;Yoon-seop, Kim;Yeong-Seong, Moon;Hyo-Taek, Lim;Sung-Jun, Park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3 no.1
    • /
    • pp.93-100
    • /
    • 2023
  • In this pa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lt the process of returning to farming through games and settle down in a stable manner to ensure that there are no more prospective young farmers who wish to return to farming but cannot proceed with their dreams due to various barriers of reality. The game was designed to develop in the order of fields, greenhouses, automation systems, and smart farms, and to grow the crops they want at the early level, and added a community system to highlight that rural areas are community life, not individualistic life. Support benefits or information provided by local governments or governments were inserted into the community system so that prospective farmers could naturally access th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