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궤도속도

Search Result 32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Preliminary Study on Automated Path Generation and Tracking Simulation for an Unmanned Combine Harvester (자율주행 콤바인을 위한 포장 자동 경로생성 및 추종 시뮬레이션 기초연구)

  • Jeon, Chan-Woo;Kim, Hak-Jin;Han, XiongZhe;Kim, J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20-20
    • /
    • 2017
  • 궤도형 차량의 이동구조는 에너지 소비 측면에서 단점이 있지만 접지압의 감소로 인한 평지 및 야지험지에서도 원활한 주행이 가능한 장점으로 인해 농업분야의 플랫폼에서 많이 사용된다. 곡식을 베는 일과 탈곡하는 일을 한 번에 하는 콤바인도 이러한 무한궤도형 이동구조를 사용한다. 또한 궤도형 차량의 방향전환 및 주행속도 변환은 좌 우 궤도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하여 동시에 제어하기 때문에 정교한 주행 성능을 위해서는 궤도형 차량의 기구학 모델을 고려한 경로 계획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직교형 포장에서 Round harvesting 기법 기반으로 궤도형 차량의 기구학 모델 및 포장정보를 고려한 자율주행 콤바인 경로계획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Labview 기반의 궤도형 차량 시뮬레이션을 구축하여 실제 포장정보를 이용해 생성 된 경로의 적용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자율주행 콤바인 경로 계획은 콤바인의 길이, 너비, 회전 시 좌 우 궤도의 속도 비, 직진 속도와 회전 속도 비, 회전 각도, 포장의 외부 경계선, 작업 겹침 량, 회경 횟수를 이용하여 좌현 새머리 선회를 포함한 내부 왕복작업 경로를 생성하며 외부 회경 횟수는 2~3회를 가정하였다. 자율주행 시뮬레이션은 차체와 궤도 자체의 미끄러짐과 작동기 지연시간을 단순화 한 궤도형 기구학 모델형태로 구성하였다. 추종 알고리즘은 선견 거리법을 사용하였으며, 측면 변이값과 방향 오차의 선형조합을 이용하여 조향변수를 정의하고 퍼지로직기반으로 좌 우 궤도 속도를 7 단계화하여 조향장치를 모델링하였다. 실험결과 개발 된 경로생성 알고리즘은 실제 취득 된 포장 외부 경계 GPS 위 경도를 이용해 자동으로 생성이 가능하며 간략화 된 콤바인 시뮬레이션에서 직진주행 RMS 위치 오차는 0.05 m, 선회구간에서 직진 구간 진입 시 RMS 위치 오차는 0.11 m, 직진 구간 RMSE 방향 오차는 3.2 deg로 콤바인 예취부 간격인 30 cm보다 작은 위치 오차를 보이며 생성된 경로 전체 추종이 가능함을 나타내었다.

  • PDF

Dynamic Response for Critical Velocity Effect Depending on Supporting Stiffness of High-Speed Railway Trackbed (고속철도 노반지지조건에 따른 임계속도효과의 동적응답)

  • Lee, Il-Wha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9 no.1
    • /
    • pp.5-12
    • /
    • 2013
  • The critical velocity effect on railway trackbed means the amplification of vibration energy when the train running-speed and group velocity of ground surface wave are superimposed. It is called a pseudo-resonance phenomenon of time domain. In the past, it was not issued because the train speed was low and the ground group velocity was higher. But since the high-speed train is introduced, critical velocity reported causing a track irregularity. So far, theoretical analysis has been performed because of the complexity of formation process. However it requires reasonable consideration which is similar to actual track and trackbed conditions. In the present paper, finite element analysis to verify the critical velocity effect is performed considering each track structure and trackbed supporting stiffness. As a result, the deformation amplification caused by the critical velocity effect is verified to analyze each supporting stiffness and track system.

여명궤도의 반복지상궤적 유지를 위한 궤도최적화 S/W 개발

  • Yun, Jae-Cheol;Jeong, Ok-Cheol;Lee, Byeong-Seon;Hwang, Yu-Ra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9.10a
    • /
    • pp.26.3-27
    • /
    • 2009
  • 한 기의 영상레이더 위성을 이용하여 동일한 촬영지역에 대해 적절한 기선벡터(Baseline)을 유지하는 두 장(scene)의 영상을 획득하여 그 지역의 정밀 표고차를 추출하는 레이더 간섭계(Interferometry)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복지상궤적을 유지하도록 위성의 궤도를 주기적으로 조정해 주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반복지상궤적 유지 정밀도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최적의 기준궤도를 생성하고 이를 유지하기 위한 속도증분 및 궤도 조정 일정을 산출할 수 있는 궤도최적화 S/W 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최적 궤도 설계 문제는 다음과 같다. "시작시간 $T_0$에서 초기 접촉궤도 상태벡터 (ECEF 위치 및 속도벡터) $x_0$이고, 지상궤적반복주기 p 이후의 시간 $T_0+p$에서도 초기 접촉궤도 상태벡터와 동일한$x_0$가 되도록 궤도를 유지하려고 할 때, 여명 궤도(dawn-dusk and sun-synchronous orbit)에서 운영되는 위성의 연료소모(또는 속도증분)를 최소화시키는 가상의 궤도조정(maneuver) 횟수, 시기, 크기를 찾아라." 이 연구에서는 궤도최적화 문제를 풀기 위하여 GRACE 중력모델(GGM02C)이 적용된 수치적 방법의 위성궤도예측 알고리즘을 시스템 설계에 적용하였고, 매개변수 최적화 방법 중 구속조건이 있는 비선형 최적화 기법의 하나인 연속 2차 계획법(sequential quadratic programming)을 사용하여 해를 구하였다. 개발된 궤도최적화 S/W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고도 550km의 여명궤도를 돌며 지상궤적반복주기가 28일인 영상레이더 위성에 대해 적용하였다. 해석 결과를 통해, 비록 시스템의 비선형이 큼에도 불구하고 최소의 속도증분으로 정밀한 반복지상궤적이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Influence of Maximum Velocity on Track Tension Change to Military Ammunition Vehicle (탄약운반장갑차 궤도장력 변화에 따른 최대속도 영향성 연구)

  • Noh, Sang Wan;Kim, Sung Hoon;Park, Young M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6
    • /
    • pp.383-388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power components of the ammunition vehicle on the maximum speed. The maximum speeds of the engine and transmission changes were 3% and 1.7%, respectively. In the case of strong tension based on the track tension, the decrease was 4.6%. A 1.5% increase was obtained when the tension was weak. An examination of the maximum speed by dividing the track tension into six sections revealed the maximum speed to be highest when it was maintained below the middle. Experiments were performed by varying the orbital tension on both sides of the equipment. The maximum speed of the machine was affected by a large part of the tension. The maximum speed test was conducted by adjusting the tension at the driving test site.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the tension was strong, the speed was 16.7% higher than the standard requirement. The speed was 28.3% at low tension. The influence of the maximum speed on the track tension was confirmed; the effect was greater than replacing the large parts.

페르세우스 은하든의 속도 불균질성에 관한 고찰

  • 송두종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1992.10a
    • /
    • pp.9-9
    • /
    • 1992
  • 페르세우스(Abell 426)은하단 성분은하들의 관측된 적색편이 조사 목록을 바탕으로 속도분산 값의 위치각에 따른 변화를 살펴 봄으로서 속도분포의 불균질성을 조사하였다. 속도분포의 불균질성을 위치에 따른 은하들의 접선궤도와 중심방향 궤도 지배 정도로서 살펴 보았다. 중심을 기준으로 한 환에 포함된 은하들의 속도분산은 광학과 X-선 관측을 통하여 알아 낸, 은하단이 길쭉한 방향으로 정의한, 위치각 지역에서 중심방향 궤도성분이 지배적이고 접선 방향 궤도는 이와 수직한 지역에서 지배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속도 분포의 방향성과 광학 및 X-선 관측을 토\ulcorner謗\ulcorner알아 낸 은하단의 위치각 사이 사관관계가 가지는 중요성을 최근의 X-선 관측을 통하여 알아낸 은하단 중심부에서 보이고 있는 저온 물질의 몰입을 중심으로 논하였다.

  • PDF

OPTIMAL DEELECTION OF EARTH-CROSSING OBJECT USING A THREE-DIMENSIONAL SINGLE IMPULSE (3차원에서의 순간적인 속도변화에 의한 ECO의 최적궤도변경)

  • Mihn, Byeong-Hee;Park, Sang-Young;Roh, Kyoung-Min;Choi, Kyu-Hong;Moon, Hong-Kyu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22 no.3
    • /
    • pp.249-262
    • /
    • 2005
  • Optimization problems are formulated to calculate optimal impulses for deflecting Earth-Crossing Objects using a Nonlinear Programming. This formulation allows us to analyze the velocity changes in normal direction to the celestial body's orbital plane, which is neglected in many previous studies. The constrained optimization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is based on a patched conic method including the Earth's gravitational effects, and yields impulsive ${\Delta}V$ to deflect the target's orbit. The optimal solution is dependent on relative positions and velocities between the Earth and the Earth-crossing objects, and can be represented by optimal magnitude and angle of ${\Delta}V $ as a functions of a impulse time. The perpendicular component of ${\Delta}V $ to the orbit plane can sometimes play un-negligible role as the impulse time approaches the impact time. The optimal ${\Delta}V $ is increased when the original orbit of Earth-crossing object is more similar to the Earth's orbit, and is also exponentially increased as the impulse time reaches to the impact time. The analyses performed in present paper can be used to the deflection missions in the future.

Analysis on Triaxial Velocity induced by Wheel Off-loading of Geostationary Satellite (정지궤도위성의 휠모멘텀 제어에 의해 발생되는 3축 궤도병진 속도에 관한 분석)

  • Park, Young-Woong;Park, Keun-Joo;Kim, Dae-Kwan;Yang, Koon-Ho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7 no.2
    • /
    • pp.88-94
    • /
    • 2008
  • In this study, triaxial velocity is analyzed for COMS(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nfiguration, which is generated when thrusters are used to dump wheel momentum. Since COMS is designed to periodically change the thruster set in order to uniformly decrease the performance of thrusters, triaxial velocity would be different during the change of thruster set. So, the triaxial velocity generated due to the change of thruster set is optimized.

  • PDF

OPTIMAL ORBIT TRANSFER UNDER EARTH ZONAL POTENTIAL (지구 비대칭 중력장 내에서 에너지 최적화 궤도전이)

  • 문인상;박종욱;서영수;최규홍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7 no.1
    • /
    • pp.37-45
    • /
    • 1990
  •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effect of zonal harmonics to transfer orbit. Since parking orbit is located at low altitude, the zonal harmonics affects transfer orbit relatively high sense. So under the zonal harmonics, eccentricity and semi-major-axis which were related orbit altitude at the first hand,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zonal harmonics increases the altitude of apogee of transfer orbit. So if the zonal harmonics is considered in orbit transfer the fuel can be saved a little.

  • PDF

정지궤도 위성 탑재 궤도전파기 예비 설계 및 해석

  • Im, Jo-Ryeong;Park, Yeong-Ung;Choe, Hong-Tae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61.2-161.2
    • /
    • 2012
  • 위성의 지향 정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정밀한 자세명령을 생성해 주어야 하는데, 정밀 자세 명령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기준좌표계를 잘 결정해야 한다. 저궤도 위성의 기준좌표계는 GPS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성의 위치와 속도 및 시각 정보로부터 기준 시각의 좌표계를 생성하게 된다. 정지궤도 위성의 경우에는 GPS 위성을 사용하기 어려우므로 계속 지상에서 궤도 정보를 올려주거나 탑재 컴퓨터에 궤도전파기나 궤도 결정 알고리즘을 탑재하여 위성의 궤도 정보를 계산하게 된다. 본 연구는 정지궤도 위성의 궤도정보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이를 만족하는 궤도전파기/궤도 생성 알고리즘의 개념 설계를 목적으로 한다. 먼저 저궤도위성에서 사용한 방법으로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궤도 정보를 바탕으로 내부 탑재 궤도전파기를 사용하여 실제 궤도 정보가 이용되는 시간까지 궤도 정보를 전파하여 기준좌표계를 생성하는 방법을 검토하였다. 그 다음 기존의 정지궤도 위성에서 사용한 탑재 궤도 전파기/궤도 결정 알고리즘을 검토하고 새로 개발하는 정지궤도 위성의 특성을 고려하여 궤도 정밀도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이를 만족하는 탑재 궤도 전파기를 설계하였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요구조건 만족과 설계 결과를 검증하였다.

  • PDF

Dynamic Behavior of Direct Fixation Track on Yeongjong Grand Bridge (영종대교 강직결 궤도구조의 동적거동에 관한 연구)

  • Choi, Jung-Youl;Lee, Kyu-Yong;Chung, Jee-Seung;Ahn, Dae-Hee;Kim, Soo-Hy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3
    • /
    • pp.443-448
    • /
    • 2020
  • In this study, field measurement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rain types (AREX, AREX Express, KTX, KTX-Sancheon) and train speeds on the dynamic behavior of the direct fixation track structure on Yeongjong grand bridge by bridge type (truss bridge, suspension bridge). Based on field measurement results, the track impact factor and train running stability (coefficient of derailment, Rate of wheel load reduction, lateral displacement of rail head) are compared with domestic and foreign standards and regulations to influence the dynamic behavior of direct fixation track. As a result, the differences in the dynamic behavior of the direct fixation tracks by the type of bridges of Yeongjong bridge are not significant, but it was analyzed that these were more directly affected by the magnitude of the train loa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reinforcement plan of the direct fixation track structure on Yeongjong grand bridge in consideration of the increase of the track impact factor and dynamic track fo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