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굽힘운동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8초

머리-목굽힘 운동 시 앞쪽머리자세와 목굽힘근 근두께 간의 상관성 연구 (The Correlation Between Forward Head Position and Neck Flexor Thickness During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 이지민;유준수;임지은;이현아;문성기;장현정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7
    • /
    • 2014
  • Background: As the increase of forward head position, we studied the change of thickness of deep cervical flexor (DCF) compared of with sternocleidomastoid (SCM). we measured and analysed the change of thickness of the neck flexor for forward head position and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CCFE). Methods: Using a cross-sectional design, we conducted the study selecting 35 healthy adults (12 males, 23 females). We measured the craniovertebral angle (CVA), instructed them to perform the CCFE, and measured the DCF and SCM using ultrasonography during the contraction and relaxation period. Results: Intra-reliability of SCM is .96, longus capitis is .92 and longus coli is .97. we compar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forward head position, Correlation of DCF is .841, and DCF/SCM is .754 b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t the comparison of CCFE and Resting muscle thickness, SCM and DCF is .00, DCF/SCM is .68. Conclusion: There i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 amount of DCF and DCF/SCM as the increase of CVA.

DFT법에 의한 진동 운동 진동수 계산을 통한 다고리 방향족 탄화수소의 라디칼 분해 경로 동정 (Identification of a Radical Decomposition Pathway(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by the Vibrational Frequency Calculations with DFT Method)

  • 이병대;하광아;이민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62권5호
    • /
    • pp.344-351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기체 상태 페난트렌, 페난트렌올, 페난트레닐 라디칼, 하이드록실 페난트렌 라디칼에 대한 IR 스펙트럼을 BLYP/6-311++G(d,p)법을 사용하여 얻었다. 이 스펙트럼들을 비교함으로써 ${\cdot}OH$에 의한 페난트렌의 분해 반응 경로를 동정하는데 IR 스펙트럼 측정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볼 수 있었다. IR 스펙트럼에서 H 원자 제거 과정은 CH의 out-of-plane 굽힘 진동 영역인 $650{\sim}850cm^{-1}$, ${\cdot}OH$ 첨가 과정은 CH 신축 및 굽힘 진동 영역에서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5종의 페난트렌-n-올 (n = 1, 2, 3, 4, 9) 모두에 대하여 얻어진 IR 스펙트럼 역시 여기에 주어졌다.

발등 굽힘 제한이 있는 사람에게 장딴지근 신장운동과 발바닥 자가근막이완이 발등 굽힘 각도와 장딴지근 긴장도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mediate Effect of Performing Gastrocnemius Stretching with and without Myofascial Release of the Sole on Ankle Dorsiflexion Angles and Gastrocnemius Muscle Tone in Subjects with Limited Ankle Dorsiflexion)

  • 이지현;조정원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9-116
    • /
    • 2022
  •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 of performing gastrocnemius stretching with and without the self-myofascial release of the sole on the active and passive ankle dorsiflexion angles and muscle tone of the gastrocnemius muscle in subjects with short gastrocnemius muscle. METHOD: A total of 23 subjects with short gastrocnemius muscl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Group A performed gastrocnemius muscle self-stretching exercises only, while group B performed self-myofascial release of the sole using a massage ball after the gastrocnemius muscle self-stretching exercises. For both groups, the active and passive ankle dorsiflexion angles were measured using a goniometer, and the tone of the gastrocnemius muscle was assessed using the MyotonPRO®. RESULTS: Within-group comparison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in both groups A and B had significantly increased active and passive ankle dorsiflexion angles and decreased gastrocnemius muscle tone (p < .05) after performing their respective exercise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aid criteria were observed between groups A and B (p>.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both methods were effective in increasing active and passive dorsiflexion angles and decreasing muscle tone. Thus, it is recommended to tailor gastrocnemius stretching exercises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If the patient does not experience discomfort in the plantar fasciae, it is recommended to perform the gastrocnemius stretching exercise only without myofascial release and use a massage ball afterward.

체간근력 강화 운동이 뇌성마비 아동의 앉은 자세 균형 수행력과 근 긴장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unk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on Balance Performance of Sitting Posture and Muscle Tone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최영철;이중호;김진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098-4106
    • /
    • 2012
  • 본 연구는 경직성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체간 근력 강화 운동이 앉은 자세 균형 수행력과 근 긴장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대운동 분류 시스템 제 IV단계의 경직성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 16명을 무작위로 배분하여 주 3회 6주 동안 실시하였고, 실험군은 체간 근력 강화 운동을 대조군은 기본 물리치료만 실시하였다. 체간 근력 강화 운동은 복부근과 배부근 강화를 위한 2가지 운동으로 구성하였다. 대상자들의 균형 수행력 측정은 BPM(Balance Performance Monitor)를 사용하였고 근 긴장도 측정은 MMAS(Modified Modified Ashworth Scale)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앉은 자세 균형수행력 변화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요거리, 동요속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앉은 자세 균형 수행력 변화 비교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동요속도, 동요거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또한 근긴장도 측정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무릎관절 굽힘근, 엉덩관절 모음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따라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균형 수행력 향상이 나타났지만 실험군에서 조금 더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근 긴장도의 변화는 두 군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경직성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에게 체간 근력 강화 운동은 근 긴장도의 변화 없이 앉은 자세 균형 수행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유방절제술 후 환자를 위한 맞춤형 상지 운동프로그램 효과 (Effectiveness of Individualized Upper Extremity Exercise Program for Patients after Mastectomy)

  • 임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313-32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절제술 후 환자를 위한 맞춤형 상지 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설계는 유사실험설계이며, 연구대상은 D지역의 2개 대학병원에서 유방절제술을 받은 3년 이내의 환자로 실험군 17명, 대조군 1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하는 실험군에게는 2015년 6월부터 7월동안 총 주 3회의 운동프로그램을 7주간 실시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았다. 본 연구 프로그램의 사전, 사후 어깨관절 유연성은 줄자를 이용한 등 뒤 손잡기와 관절 각도계를 이용한 어깨가동범위를 측정하였으며, 악력은 악력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였고, 사전 동질성 검증은 카이제곱 검정과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U-test를 이용하였으며, 가설 검증은 Mann-Whitney U-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맞춤형 상지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등 뒤로 두 손 마주잡기(p=.001), 굽힘(p<.001), 벌림(p=.032), 바깥돌림(p=.024), 안쪽돌림(p=.041) 등에서 모두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 유연성과 관절가동범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악력(p<.001)도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개별 유방암 환자의 특성과 신체적 상태를 고려하여 과부하의 원리와 점증적 원리로 구성된 유방절제술 후 환자를 위한 맞춤형 상지 운동프로그램은 수술 후 환자들의 어깨관절 유연성과 악력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며 수술 후 많은 환자들이 호소하는 어깨관절 기능 및 악력 저하를 예방하고 신체기능을 향상시켜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도와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T기반 3차원 모델을 이용한 고관절 운동범위 예측 (Hip Range of Motion Estimation using CT-derived 3D Models)

  • 이연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15-12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CT영상기반 3차원 고관절모델을 이용한 컴퓨터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고관절의 운동범위(Range of Motion)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 측정방법에 대한 기술적인 사항을 제시하고, 그 기술이 재현성 있게 실현할 수 있도록 대퇴골두 중심점의 결절, 대퇴골 외전(Abduction)/내전(adduction)회전축, 굽힙(flexion)/신전(extension) 회전축을 정의하고 측정하는 명확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외전각은 해부학적인 시상면(Sagittal plane)상의 Anterior-Posterior축에 대해 아래쪽(Inferior)면으로부터 Lateral 쪽으로의 회전각으로 정의된다. 최대외전각은 대퇴골두가 엉덩이뼈(Pelvis)의 절구(Acetabulum)의 테두리와 겹치지 않고 Anterior-Posterior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최대 외전각으로 결정된다. 굴곡각은 해부학적인 관상면(Coronal plane)상의 Medial-Lateral축에 대해 아래쪽(Inferior)면으로부터 회전각으로 정의된다. 최대굴곡각은 대퇴골이 Medial-Lateral축을 중심으로 엉덩이뼈(Pelvis)의 절구(Acetabulum)의 테두리와 겹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는 최대 굴곡각으로 결정된다. 정상고관절에 비해 인공고관절술을 받은 해당 환자의 경우, 외전에서는 60도 정도, 굽힘에서는 4도 정도 운동범위가 줄어들 수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 본 연구에서 행한 시뮬레이션을 해보고 외전의 경우 운동범위의 감소가 예측되므로, 대퇴골두를 조금 큰 것을 고르거나 대퇴골목부의 길이 (femoral neck offset)를 길게 시술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뒤십자인대 및 뒤가쪽 복합체 동반 수술 후 재활운동에 따른 기능회복 차이 (Differences in Functional Recovery according to Exercise Rehabilitation after Posterior Cruciate Ligament with or without Posterolateral Complex Reconstruction)

  • 김현목;하성희;공두환;김창국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27-335
    • /
    • 2022
  • 본 연구는 뒤십자인대 단독 재건술과 뒤가쪽 복합체 동반 수술 후 재활운동에 따른 기능회복의 차이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뒤십자인대 단독 재건술을 받은 환자 16명과 뒤가쪽 복합체 동반 수술을 받은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24주간 재활운동에 따른 무릎관절 인대 이완, 주관적 설문지, 등속성 근 기능의 변화를 수술 전, 수술 후 12주, 24주에 걸쳐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뒤십자인대 단독 재건술군과 뒤가쪽 복합체 동반 수술군의 무릎관절 인대 이완 차이(p = 0.048), IKDC 주관적 점수(p < 0.001), Lysholm 무릎 점수(p < 0.001), Tegner 활동 점수(p = 0.027), 등속성 폄 근력(p = 0.040)은 기간에 따른 통계적 차이가 나타났으나 집단 및 상호작용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p > 0.05). 등속성 굽힘 근력 결손률은 기간, 집단, 상호작용 효과 모두 차이가 없었다(p > 0.05). 본 연구 결과, 뒤십자인대 단독 재건술과 뒤가쪽 복합체 동반 수술 후 24주간의 재활운동은 기능회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열린사슬운동 및 닫힌사슬운동에서 위팔굽힘 각도에 따른 앞톱니근의 근활성도 비교 (A Comparison of the Serratus Anterior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he Shoulder Flexion Angles in a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and an Open Kinetic Chain Exercise)

  • 문성종;김택훈;노정석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69-378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ascertain how the activity of the serratus anterior muscle, the upper trapezius muscle and the pectoral major muscle was affected while the upper arm was being flexed at 70, 90 and 110 degrees respectively in a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wall push up plus) and an open kinetic chain exercise (static hug). METHODS: Sixteen healthy young men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Surface electromyography (EMG)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dominant-side muscles during a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and an open kinetic chain exercise. The activity of each muscle was measured quantitatively, and by the use of the two-way repeated ANOVA, the data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exercises and shoulder flexion angles.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the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did not interact with the open kinetic chain exercise (p>.05). In both the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and the open kinetic chain exercise, the activity of the serratus anterior muscle became different significantly according to angles (p<.05). Its activity increased in order of 70, 90 and 110 degrees (p<.05). In both exercises and all angles, muscle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erratus anterior muscle than in the upper trapezius muscle and the pectoral major muscle (p<.05). CONCLUSION: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need to selectively control the exercise stress of the serratus anterior muscle in the case of the patients with the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characterized by the winged scapula, insufficient scapular protraction and upward rotation.

다목적2호기 태양전지판의 전개시스템 개발: PART 1. 동적 모델링 (Development of Multi-Purpose Satellite 2 with Deployable Solar Arrays: Part 1. Dynamic Modeling)

  • 곽문규;허석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1권9호
    • /
    • pp.38-45
    • /
    • 2003
  • 본 논문은 Strain Energy Hinge(SEH)를 갖는 다목적 2호기의 태양전지판 전개에 대한 동적 모델링과 관련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SEH는 단순한 비틀림 스프링으로 치환되었으며 인공위성과 태양전지판은 강체로 가정하고 운동방정식을 유도하였다. 또한 모델링에 지상 실험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관찰된 지지줄의 영향을 고려하였다. 무중력 상태에서의 전개와 지상 전개 결과를 비교한 결과 태양전지판의 전개는 유사하나 인공위성의 운동은 지지줄의 영향으로 인해 전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지상 전개 실험 장치를 이용해 무중력 상태의 태양전지판 전개를 어느 정도 정확하게 묘사할 수 있다. 또한 지지줄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현재 실험실의 지지줄의 길이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실험 결과와의 비교는 다음 논문에서 다룬다.

목뼈 가동 운동과 머리목 굽힘 운동이 만성 목통증 환자의 동적균형과 보행변인에 미치는 영향: 무작위 임상시험 (Effects of Cervical Mobilization and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on the Dynamic Balance and Gait Variability in Chronic Neck Pain Patient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최태석;유병호;이상빈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1-38
    • /
    • 202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a more efficient intervention method through a study of the gait variables and dynamic balance of chronic neck pain patients. METHODS: Forty subjects aged between 40 and 60 years were allocated randomly 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performed PA (Posteroanterior Mobilization), and the second group conducted CCF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The gait variability measured the speed, cadence, and dynamic balance in the forward, leftward, rightward, and rearward directions. An independent t-test, Wilcoxon signed-rank test, and paired t-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In the dynamic balance measurements, the variability of PA (p < .000) and CCF (p < .000) in the rightward direction, PA (p < .004) in leftward direction and forward direction increased significantly (p < .013). In an analysis of the gait variability, the cadenc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PA group (p < .022) and not significantly in the CCF group (p < .056).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increase in the speed variable, in the PA group (p < .437). In the CCF group, the cadence increased significantly (p < .022). The differences in the PA and CCF group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 The PA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forward (p < .013), leftward (p < .004), and rightward directions (p < .000). Speed was significant in the CCF group, and cadence was significant in the PA group. The dynamic Balance was effective in the rightward direction in both group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