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군 교육

Search Result 2,19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nalysis on the Responses and Recognitions of the Gifted Students in Solving Reflection Cluster Problems (반성군 문항 해결과정에 나타난 초등 수학 영재 아동들의 반응과 인식 분석)

  • Cho, Young-Mi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5 no.2
    • /
    • pp.147-158
    • /
    • 2012
  • In this paper we introduced the reflection cluster problems. They are not well known in Korea education field. We used two reflection cluster problems and analysed the responses of the gifted students. Finally, we asked how they felt about reflection cluster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help to make new assessment items and develop new programs for the gifted education.

The Spatio-temporal Changes in the Sphere Influence of the Secondary Education in Geochang-Gun, Gyeongnam (거창군 중등교육세력권의 시.공간적 변화)

  • Lee, Jeon;Park, Woo-Sang;Lee, Jo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2 no.6
    • /
    • pp.656-670
    • /
    • 2006
  • In Gcochang-Gun, the population decrease, due to a rural exodus phenomenon, has led to the absolute decline in the numbers of both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students. However, the high schools in Geochang-Gun show an unusual characteristic that the students from other areas outside Geochang-Gun cover about 25% of the total students studying in Geochang-Gun. This is quite contrary to the contention that one of the major factors hindering the development of rural areas is generally the inferior condition of education. In this context,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spatio-temporal changes in the sphere of influence of the secondary educ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Geochang-Gun, Gyeongnam. Most importantly Geochang High School and Geochang Daesung High School account for over 98% of the students coming from other areas outside Geochang-Gun's cross-border counties. This means that the sphere of influence of the Geochang's secondary education is dependent largely upon the two private academic high schools.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unseling Education for Counseling Capabilities Rising of Military Officers (군 간부의 상담능력향상을 위한 상담교육 개선방안)

  • Koo, Seung-Shin;Yoon, Ho-S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7
    • /
    • pp.730-739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improvements in current issues faced in counseling training within the military and also show limits in counseling capabilities of military officers who are in charge of leading and counseling their troops. In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made on this topic, we looked at issues rising from military troops who are mainly in their post-adolescents having difficulties in adopting themselves to military life style. We also studied current status of counseling within the military and the counseling difficulties faced by military officers who are closely related to their troops.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100 military officers were surveyed for the frequency of the counseling sessions, and to supplement the surve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3 military officers and analyzed qualitatively. As a result of the survey and the in-depth interviews 76.5% of the military officers never had counseling training prior to joining the military and only 32.9% received counseling training after joining the military. 61% of the survey participants expressed difficulties in counseling their troops. Most of them expressed difficulties in lack of training and issues on theory based training. For the improvements following have been identified; "understanding the troops", "Identifying the problems", "Execution of the training" and "Techniques for Military Training".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erms of identifying improvement areas in counseling training in the military through researching into current limits in military counseling and military officers counseling capabilities when the social issue of new troops having difficulties in adopting to military life style are on the rise.

An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Influential Factors between Metabolic Syndrome Group and Attention Group (대사증후군과 주의군 간의 영향요인 차이 분석)

  • Lee, Hyun-Ju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 /
    • v.23 no.2
    • /
    • pp.25-38
    • /
    • 2022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사증후군 주의군 대비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소를 식별하여 예방을 위한 중재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한국의료패널 2015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당뇨만 앓고 있는 사람을 주의군으로 당뇨, 고혈압, 이상지질혈증을 모두 앓고 있는 사람을 대사증후군으로 구분하여 추출한 다음 가중치를 부여하여 총 1,559,88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의군 대비 개인적 특성, 건강생활습관 특성, 삶의 질 특성, 의료이용 특성에 대한 대사증후군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개인적 특성에서는 40대미만 연령대에 비해 연령에 비례하여 대사증후군 위험이 증가하다 70대에 40대미만과 유사한 수준으로 떨어졌다. 남성보다는 여성, 고졸이하보다는 대졸이상, 중소지역에 비해 서울시 거주자, 장애가 없는 군보다는 있는 군, 의료급여가입자보다는 건강보험 가입자, 경제활동을 안하는 군보다는 경제활동 군의 대사증후군 위험이 높았다. 건강생활 습관 특성에서는 비흡연자보다는 흡연자, 술을 안마시는 군보다는 주 2-3회 이상 음주자, 운동을 하는 군보다 안하는 군, BMI가 정상인 군보다는 30 이상인 군에서 대사증후군 위험이 높았다. 삶의 질 특성에서는 일상 활동에 지장이 없는 군보다 있는 군, 통증이나 불편이 없는 군보다 있는 군, 주관적 건강상태가 보통이상보다는 나쁜 군, 섭식문제가 없는 군보다 있었던 군에서 대사증후군 위험이 높았다. 의료이용 특성에서는 미충족 의료이용 경험이 없는 군보다 있었던 군, 약제비가 부담이 안되는 군보다 부담이 되는 군에서 대사증후군 위험이 높았다. 결론: 당뇨를 앓고 있는 그룹 중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대사증후군 위험 요소가 많은 이들에 대해 우선적으로 대사증후군 예방 보건교육을 집중하는 방안을 제언한다.

청소년 우울증 인식개선 프로그램의 효과

  • Jo, Seon-Jin;Im, Hyeon-U;Choe, Ran;Bang, Myeong-Hui;Jeon, Tae-Yeon;Lee, W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95-95
    • /
    • 2009
  • 목적 :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우울증 인식개선 프로그램이 우울증 관련 지식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지 평가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 서울시태 2개 고등학교 12개 학급을 선정하여 무작위로 중재군과 대조군에 각 6개 학급씩을 할당하였다. 중재군에는 학급단위로 1회 50분간 3회의 교육을 주 1회 실시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의 효과평가를 위해 중재군은 사전, 프로그램 수행 직후, 중재 2개월 후 추적조사를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사전 및 추적조사를 실시하였다. 우울증에 대한 지식 및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 교육프로그램 수행 직후 중재군에서 우울증에 대한 지식총점이 유의하게 높아졌고, 우울증을 경험하는 친구에 대한 반응 및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p<.05). 추적조사에서는 우울증에 대한 지식총점의 경우에서만 두 군 간에 차이가 유지되었다(p<.05). 결론 : 우리나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기반의 우울증 인식개선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지식과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보다 지속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반복적인 교육이 요구된다.

  • PDF

Effect of Education of Diabetes Mellitus Patients on Health Behaviors Practice (당뇨병환자 교육이 건강행위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Lee, Seong-Ra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1068-1071
    • /
    • 2010
  • 본 연구는 당뇨병환자의 교육이 건강행위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에 소재한 한 종합병원 내과 외래를 방문한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 51명, 대조군 51명인 총 102명이다. 교육 2회 실시 후 2010년 1월 5일부터 2월 5일까지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당뇨병지식은 실험군에서 교육전 평균은 7.46점에서 교육후 10.12점으로 효과적으로 나타났다(P<0.01). 둘째, 당뇨병관리는 실험군에서 교육전 평균점수는 23.41점에서 교육후 26.17점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1). 셋째, 상관관계 결과 당뇨병지식과 건강실천의지(r=0.26, P=0.03), 건강실천의지와 당뇨병관리(r=0.67, P=0.00)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당뇨병 예방을 포함한 다양한 당뇨병 지식 내용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집중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Requirements for Health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일부지역 중학생의 보건교육 요구도에 관한 조사연구)

  • Kim, Young-Bok;Wie, Cha-Hyung;Kwak, Jung-Ok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
    • v.12 no.1
    • /
    • pp.128-150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보건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살피기 위해 먼저 현재 자신이 알고 있는 보건지식에 대한 만족도와 보건교육에 대한 필요도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이와 관련하여 보건지식에 대한 만족도와 보건교육에 대한 필요도가 보건교육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한 조사대상으로 경기도 소재 M, S 중학교의 1,2학년 전체 학생 688명을 선정하였고, 1994년 12월 1일부터 15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보건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분포는 남학생이 59.3%, 여학생이 40.7%였고,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건강하다고 응답한 학생이 78.9%, 건강하지 않다고 응답한 학생이 21.1%였다. 또한 현재 알고 있는 보건지식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한 학생은 68.2%였고, 31.8%의 학생이 만족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보건교육에 대한 필요도에 대해서는 92.7%의 학생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2. 보건교육에 대한 요구도에서는 첫째, 보건교과설정에 대해 45.6%가 찬성하였고, 둘째, 보건교육 실시시기에 대해서는 82.8%가 유치원 및 국민학교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셋째, 보건교육의 적정시간에 대해 82.4%가 1주일 또는 1달에 1-2시간이라고 하였으며, 넷째, 보건교육 담당교사에 대해서는 63.2%가 보건교육 전문가가 담당하여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보건교육 내용에 대한 선호도 순위는 구급처치, 안전교육, 영양, 환경, 음주와 흡연 및 약물남용, 구강보건, 개인위생, 식품위생, 전염병관리, 성교육, 건강과 운동, 정신건강, 비전염성질환 관리, 공중보건, 의료기관의 기능 순이었다. 3. 현재 알고 있는 보건지식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성(p<0.01). 형제순위(p<0.05), 아버지의 학력(p<0.01), 어머니의 학력(p<0.01), 학업성적(p<0.05)이었으며, 보건교육 필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성(p<0.05), 어머니의 학력(p<0.05), 학업성적(p<0.01)이었다. 4. 현재 알고 있는 보건지식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보건교육에 대한 요구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보건지식에 대해 만족하고 있지 못한 비만족군의 경우 보건교과의 설정에 대해 만족군보다 더 적극적으로 찬성하였고(p<0.05), 보건교육의 실시 시기에 대해서는 유치원 시기부터가 적정하다고 응답하였다(p>0.01). 보건교육의 내용선정에 있어서도 만족군과 비만족군간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만족군의 경우는 안전교육, 건강과 운동, 공중보건, 비만족군의 경우는 성교육을 요구하였다(p<0.05). 5. 보건교육에 대한 필요도에 따라 보건교육에 대한 요구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보건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필요군의 경우 보건교과의 설정에 대해 적극적으로 찬성하였다(p<0.01). 또한 필요군은 보건교육의 실시 시기에 대해 유치원 시기부터가 적정하다고 응답한 반면, 보건교육이 필요하지 않다고 한 비필요군의 경우는 중학교 이후부터 적정하다고 응답하였다(p<0,01). 보건교육의 내용선정에 있어서도 음주와 흡연 및 약물남용, 식품위생, 건강과 운동, 비전염성질환 예방을 제외한 내용에서 필요군과 비필요군간의 차이가 나타났다(p<0.05).

  • PDF

The Effects of a Hospice Palliative Education Program on Perception of Hospice, Attitude to Death, and Meaning of Life in Adults (호스피스 완화 교육 프로그램이 일반 성인의 호스피스 인식,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 Choi, Gum-Hee;Kwon, Suhye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21 no.1
    • /
    • pp.14-22
    • /
    • 2018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hospice palliative education program for adults on their perception of hospice, attitude towards death, and meaning of life. Methods: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Among 43 participants, 22 were assigned to the non-equivalent experimental group and 21 to the control group. The hospice palliative education program comprised 10 three-hour sessions, each given once a week.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chi}^2-test$ using SPSS version 20.0.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observed in their perception of hospice (t=6.63, P<0.001), attitude towards death (t=2.36, P=0.023), and meaning of life (t=5.06, P<0.001).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is education program could positively affect the perception of hospice, attitude toward death, and meaning of life in adults. More studies are warranted to explore the effects of this education program for various age groups so that it may help more people get positive understanding of hospice palliative care. The results suggest this program could help improve the negative perception of hospice, negative attitude towards death and meaning of life that are generally held by the public.

A Comparative Analysis of International Mathematics Curricula Focusing on 'Grade Band' and 'Mathematical Process' (학년군'과 '수학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 외국 수학과 교육과정의 최근 경향 비교.분석)

  • Park, Kyung-Mee
    • School Mathematics
    • /
    • v.12 no.4
    • /
    • pp.667-686
    • /
    • 2010
  • The mathematics curriculum revision is currently underway based on the general curriculum revised in 2009. Two of the controversial issues in mathematics curriculum revision are 'grade band' and 'mathematical process'.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those two aspects in mathematics curriculum,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international mathematics curricula focusing on grade band and mathematical process. As a result, grade band is judged to be not necessary, but mathematical process has a potential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 for betterment of mathematics textbook and lesson.

  • PDF

The Effects of PBL(Problem-Based Learning) on Academic Resilience, Learning Flow, and Academic Motivation of Nursing Students (문제중심학습이 간호대학생의 학업 탄력성, 학습 몰입, 학업 동기에 미치는 효과)

  • Kang, Myungsuk;Park, Yoon-Jin;Choi, Seonyoung;Lee, Su-J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6
    • /
    • pp.291-298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Academic Resilience, Learning Flow, and Academic Motivation in nursing students. Methods: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121 sophomore nursing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They were divided into the Problem-Based Learning group (n=61) and Lecture-Based Learning group (n=60). The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Results: In the PBL group,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Academic Resilience after intervention (pretest $3.88{\pm}.36$, posttest $4.00{\pm}.38$, p<.001).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Lecture-Based Learning (LBL) group (pretest $3.86{\pm}.43$, posttest $3.93{\pm}.17$). In terms of Learning Flow,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BL group (pretest $3.31{\pm}.41$, posttest $3.51{\pm}.42$).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 was identified in the LBL group (pretest $3.45{\pm}.42$, posttest $3.48{\pm}.47$. Academic motivation was improved in the LBL group (pretest $3.32{\pm}.30$, posttest $3.46{\pm}.32$, p=.002) as well as in the PBL group (pretest $3.26{\pm}.23$, posttest $3.47{\pm}.21$, p<.001). Both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oblem-Based Learning could be more effective for nursing students in improving their academic achievement. Further studies need to be investig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