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군복(軍服)

Search Result 7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Quantitative Approach to the studies in Historic Costume using the Documentary Evidence (문헌조사를 통한 복식사 연구에서의 양적 분석)

  • 임춘순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0 no.1
    • /
    • pp.76-86
    • /
    • 1996
  • 복식사 연구의 한 방법으로서, 문헌을 통하여 다량의 정보 수집이 가능할 경우, 사회과학의 분야에서 사용되어 온 내용분석법을 도입하여 정보의 수량화를 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용분석법을 이용하여 1856년부터 1870년에 이르기까지 미국 여성의 평상복(daydress)중 재킷과 치마의 유행 경향을 당시의 대포적인 패션 잡지인 Godey's Ladies Book과 Perterson's Magazine의 패션 삽화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1856∼1870년은 미국의 남북전쟁 발발 5년 전부터 남북전쟁 직후 5년까지 의 15년간의 기간을 이르며, 해당 15년은 전쟁 전, 전쟁 중, 그리고 전쟁 후의 5년간씩의 3 시기로 나뉘어졌다. 연구의 목적은 여성 평상복의 디자인이 위의 기간 동안 남북전쟁의 한 영향으로서 군복 '라일의 경향을 띄게 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다. 군복 스타일의 경향은 몸에 꼭 맞는 실루엣(fitted silhouette), 에플렛(epaulet), 스텐딩 칼라(standing collar), 더블 여밈 (double-breastedness) 다수의 단추의 사용 및 장식(buttons)으로 정의되었다. 여성스러운 스타일의 경향은 풍성한 실루엣 (full silhouette), 플라운스가 된 치마(flounced skirt), 그리고 러플/fp이 스/리본 (ruffles/lace/ribbons)의 사용 여부로 정의되었다. 연구의 초점은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문헌 정보의 수집 방법을 수립하는 데 있었으며, 수집된 자로는 각 변수의 빈도 분포포에 의해 조사되었다. Fitted silhouette, epaulet, 그리고 standing collar는 제 3시기에 가장 많이 나타났고 제 1시기에 가장 적게 나타났다. 여성스러운 스타일에 있어서 full sihouette과 trounced skirt는 제 1시기에 가 장 많이 보였고 전쟁 당시와 전후에 점차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Buttons나 double breastedness 등은 제 2시기에 가장 많이 보이고 제 3시기에는 오히려 가장 낮은 빈도수를 보였다. 반면에 ruffles/lace/ribbons는 fitted silhouette 등의 군복 스타일의 변수와 더불어 제 3시기에 가장 많이 보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반적인 유행의 경향에 있어서, 군복 스타일의 변수와 여성스러운 경향의 변수를 각각 종합하여 분석해 보면, 제 2시기를 중심으로 전자의 유행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후자의 유행은 감소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당시 미국 패션은 유럽 왕실의 유행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은 것을 감안할 때 본 연구의 결괴는 서양 복식의 역사의 선상에서 조심스럽게 해석되어야 할 것 이다.

  • PDF

A Study on the Military Uniforms of the Korean Volunteer Corps and the 1st Branch of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조선의용대와 한국광복군 제1지대 군복 연구)

  • Jeong Min Kim;Chang Hyuk K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47 no.4
    • /
    • pp.684-695
    • /
    • 2023
  • The Korean Volunteer Corps (KVC) and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KIA) were Korea's main armed forces that led the independence movement against Japan. KVC members were partly merged into the KIA as the army's first branch in 1942. This study examines two different styles of KVC military uniforms: one that complies with the Uniforms Act of the Army of the Chinese Nationalist government and one that uses the same style without a field cap and a belt. The KIA's first branch had three different uniforms: one similar to that of the KVC, one belonging to the KIA and following the Army Uniform Protocol, and one influenced by the U.S. Army. The KVC and the KIA's first branches had insignias representing their identity. The former wore a distinctive insignia with the corps' name, whereas the latter had a cap badge with Korean national symbols under the Army Insignia Protocol. KVC members who may have initially worn their previous uniform in the early days of joining the KIA later adopted the KIA style. This study is expected to offer basic resources to reproduce KVC and KIA military uniforms and verify the authenticity of related artifacts.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미지 연구 - 1990년대 여성복을 중심으로 -

  • 이화정;채금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1.04a
    • /
    • pp.41-41
    • /
    • 2001
  • 본 연구는 1990년대 밀리터리 패션에서 성적 이미 지의 표현양상을 살펴보고 각각의 미적 특성과 형성 요인을 분석하여 현대 여성의 다양한 미적 가치와 미의식을 이해하고자 한다. 1, 2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자연스럽게 등장한 밀 리터리 패션은 20세기 초반에 여성의 사회참여와 지 위 향상으로 인해 실용성과 기능성을 추구하였고 중 반에 들어서면서 히피와 젊은 세대들에 의해 반전운 동의 일환으로 입혀져 안티패션의 의미를 내포하게 되었으며 후반에는 포스트모더 니즘으로 인해 다양성 을 추구하는 복고풍의 패션 트랜드로서 각종 컬혜션 에서 부각되었다. 그 결과 밀리터리 패션은 기존의 남성적 이미지뿐만 아니라 여성적 이미지도 표현하 게 되었다. 이러한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 미지는 권위적 이미지와 공격적 이미지의 남성적 이 미지와 보수적 이미지와 과시적 이미지, 관능적 이미 지의 여성적 이미지로 표현되어 나타났다. 남성적 이미지는 자유주의 페미니즘과 관련하여 남성 중심적 사고 방식에 도전하고자 하는 여성들의 자아의식이 한층 강하게 작용한 일종의 반 패션 현 상으로 권위적 이미지와 공격적 이미지로 특정지을 수 있다. 첫째, 권위적 이미지는 주로 고전적 군복과 제복의 이미지를 차용해 군복이 가지는 권위와 위엄을 표출 하였으며 남성 우월주의에 기초한 영웅주의를 가시 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떳떳하게 자신의 위치를 세 우고자 하는 여성들의 욕구를 대변하였으며 영웅주 의와 가부장제도가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공격적 이미지는 권위적 이미지에 대한 저 항과 기존의 성 정체성에 대한 저항으로써 전위적인 형태와 해체적인 표현으로 본래의 위엄있는 군복의 이미지를 무너뜨려 남성다웅의 표면적인 메시지를 약화시키고자 하였으며 반체제 정신, 성 정체성에 대 한 저항, 해체주의가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여성적 이미지는 급진주의 페미니즘과 관련하여 여성 본래의 성을 부각시키고 여성이 주체가 된 여 성중심적 사고로 여성의 감성적 심리를 패션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보수적 이미지, 과시적 이미지, 관능적 이미지로 특징 지을 수 있다. 첫째, 보수적 이미지는 남성적 영역이라고 믿어왔 던 군복에 여성성을 강조하여 가늘고 유연한 실루엣 과 곡선적인 라인, 색채. 심플한 디테일만으로 밀리 터리 패션을 표현하여 남성중심의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여성도 사회의 중심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 였으며 남성 권위의 추락이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 였다. 둘째, 과시적 이미지는 전통적 군복이 과거의 상 류층 엘리트들만의 아이템이었듯이 현대의 여성들은 신분과 매력의 과시를 표현하고자 금속 단추나 벨트 등 기타장식을 부각시킨 밀리터리 패션을 착용하였 으며 엘리트층에 대한 동경이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관능적 이미지는 신체의 간접적인 노출과 직접적인 노출을 통해 여성의 신체에 의한 에로틱한 관능미를 부여하고자 하였으며 나르시시즘과 보이고 자 하는 욕구, 성적 유희가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므로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는 패션을 통해 자아를 표현하고 미적으로 자기완성의 방편을 삼으려고 한 현대 여성들의 가치 관과 미의식을 이해하며 이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패 션 트랜드와 디자인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Military Uniform Related Attitude and Professional Identity (여군의 군복에 대한 인식과 전문직 자기이미지에 관한 연구)

  • Heo, Eun-Young;Jin, Ki-Nam;Koh, Ae-Ran;Kim, Jin-J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5 no.11
    • /
    • pp.1377-1385
    • /
    • 2011
  • This study examines if the uniform-related perceptions influence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on 346 female nursing officers at military hospitals.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 basic characteristics, perception of clothing benefit, perception of nursing uniform, and perception of the officer uniform. For the data analysis, we used paired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a paired t-test, we found the difference in function and satisfaction between nursing uniforms and officer uniforms. The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uniform-related percepti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dicting professional identity. The nursing uniform explained the major portion of vari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subsequently, the improvement of uniforms can enhance professional identity.

군복무 경험 특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Jeong, Su-Seong;Kim, Do-Hye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233-237
    • /
    • 2018
  • 제대군인들은 전직준비, 사회가 요구하는 전문성, 사회적응력 부족과 그리고 오랜 군생활로 인한 유연성 부족 등으로 제대 후 새로운 일자리를 구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격고 있다. 매년 7천여 명 정도의 제대군인들이 사회로 복귀하는데, 국가를 위해 헌신한 이들에 대한 예우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우수한 인력의 활용을 위해서 국가적 수준의 제대군인 취업 및 창업지원 노력은 절실하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제대군인이 창업의사결정을 하는데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검토함으로써, 이들이 제대 후 창업의사결정에서 어떤 난관을 극복하여야 하는지, 그리고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어떤 지점에 초점을 맞추어야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일반적으로 창업의도에 미치는 요소로 알려져 있는 개인적 특성, 인적 자본, 재정 자원과 같은 선행요인들을 볼 뿐 아니라, 제대군인이 가지고 있는 군복무 경험과 특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결과가 제대군인들의 창업정책과 창업교육에 반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Brain function specialty based on the Maladaptive Soldier by Brain waves analysis (뇌파분석을 통한 군복무 부적응 병사의 뇌기능 특징 연구)

  • Ryu, Myeong-Oh;Yi, Seon-Gyu;Bak, Ki-Ja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4
    • /
    • pp.1916-1922
    • /
    • 2014
  • This study focuses on observing the brain function characteristics of maladaptive soldiers, through EEG analysis. The number of subjects was 1,119 including 59 maladaptive soldiers, 60 normal soldiers and 1,000 civil youths. The EEG measurements were performed from Sep. 2013 to Jan. 2014.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soldier group's BRQ, ATQ, EQ, ASQ and BQ valu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ivil youth's, on the contrary to SRQ, ACQ, CQ which were higher in civil youth group. Second, compared to normal soldiers, the values of EQ and BQ were meaningfully low in maladaptive soldiers group, as well as the average values of each 8 quotient. In conclusion, military service can be assu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in function of all soldiers due to regular life cycle, usual physical activities and balanced nutrition, but less effect on maladaptive soldiers who are exempted from those strict life.

A Study on Modern Military Uniform Design (현대 군복 디자인에 대한 연구 -전쟁양상과 군복 디자인의 관계를 중심으로-)

  • Kwon, Sang-Hee;Ha, Ji-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6 no.9 s.109
    • /
    • pp.143-15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nges in military uniform design according to the type of war in history and to suggest factors to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military uniforms. Military uniform in this study has been limited to uniforms of land active soldiers and not only includes battle dress but also bombproof helmets, combat boots and webbing systems. Western military uniform was investigated starting from World War I focusing on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Germany and the Soviet Union, and Korean military uniform was analyzed starting from the Korean Day of Independence. Historical research, case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included in the study. World War I was a trench war. Khaki colors began to be used in battle dress, and steel helmets and gas masks were invented. World War II was a full-stale war. Many kinds of uniform were designed with various environments and roles of soldiers in mind, and camouflage was adopted in military uniform. Modern wars were wars of technique. Strong protectors were invented and diverse camouflages were adopted as rifles became increasingly accurate and biochemical weapons started to be used. Korea referred largely to the uniforms of the United States because it lacked both information on war and the financial power to invest in development of military uniforms. Finally, this study presents 5 factors to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military uniforms: protection, camouflage, mobile and utility convenience, compatibility and symbolism. Wars of the future are predicted to be information wars utilizing realtim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computers. Therefore new military uniforms with computers, communication devices and strong protective capacities need to be developed.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designing military uniforms of the futur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sychiatric Patients with Military Issues Using MMPI-2-RF (군복무 적합성 평가를 위해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한 환자군의 MMPI-2-RF 프로파일)

  • Sung, Gyhye;Park, Ji-Hyun;Kim, Keun-Hyang;Lee, Sang-Hyuk;Park, Eun-Hee;Choi, Ji Young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25 no.1
    • /
    • pp.33-45
    • /
    • 2017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visited psychiatric clinic for medical certificate for military service using MMPI-2-RF. We compared target group with general psychiatric patients with same age range. Methods : A total of 165 male patients for medical certificate and 154 general psychiatric patients were collected from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of three university hospital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age and educational level between two groups. We used independent t-test, ANCOVA, ${\chi}^2$ test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Results : Medical certificate group scored higher on the validity scales, the Higher-Order(H-O) scales, the Restructured Clinical(RC) Scales, the Specific Problems(SP) Scales, and the Personality Psychopathology Five (PSY-5) Scales. Especially, EID, RC7, HLP, SFD, SAV, SHY, DSF, and INTR-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n all three statistical tests. Conclusions :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psychiatric patients who received psychological evaluation for military service have significantly higher emotional distress, helplessness, lower self-confidence, and lower qua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difference of validity scales between two groups could be related with psychological burden of compulsory military service in the study sample which causes elevation on scales of infrequent responses. MMPI-2-RF would be helpful instrument to assess thes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