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토환경지표

Search Result 9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Urban Planning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and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in Korea (기후변화대응 도시계획과 전략환경평가)

  • Lee, Jong H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0 no.6
    • /
    • pp.937-952
    • /
    • 2011
  • 정부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세계적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2010년 1월)을 제정하여 저탄소 녹색성장을 추진하고 있다. 저탄소 녹색성장은 신재생에너지,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5+2 광역권개발정책, 저탄소 녹색도시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탄소 녹색도시계획 및 이에 대한 전략환경평가의 동향을 고찰하고, 저탄소 녹색도시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 관련 연구를 고찰한 후, 환경부의 사전환경성검토 업무매뉴얼의 도시계획의 환경성제고 방안과 국토해양부의 전략환경평가 업무처리규정, 도시계획수립지침,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도시계획수립지침(2009), 저탄소 녹색도시계획 표준모델(2010), 녹색도시개발계획 등을 포함하면서 개정된 도시개발업무지침(2011)이 도시계획에 제대로 반영되는지를 검토하고, 외국의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전략환경평가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후변화 대응 도시계획의 내용은 저감방안과 적응방안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 데, 저감방안은 경제적 및 기술적으로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 전략환경평가는 저감방안과 함께 적응방안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후변화 대응(저감과 적응)을 위해 전략환경평가의 목표와 지표를 설정한다. 셋째, 국토해양부의 상위계획(광역도시계획과 도시기본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와 환경부의 하위계획(도시관리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의 긴밀한 연계가 필수적이다. 넷째, 전략환경평가는 도시기본계획 수립 후에 이뤄지는 독립된 과정이라기보다는 도시기본계획 수립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장기적으로는 도시기본계획과 도시환경계획을 연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mpact of municipal sustainability policy efforts on citywide CO2 emissions - Case study of cities in the USA - (지방정부의 지속가능도시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도시 내 CO2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 - 미국 도시들을 사례로 -)

  • Park, Jin Han;Kim, Songyi
    •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 /
    • v.53 no.6
    • /
    • pp.87-9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municipal sustainability policy efforts on citywide $CO_2$ emissions. 25 cities in the U.S.A., which offer data on $CO_2$ emissions and are included in the top 50 largest cities in the U.S.A. according to its estimated population, were selected as study cities. This study utilizes the Sustainable Cities Seriously Index of Portney and selects data for the index at the city level. For analysis, this study employs correlation analysis, and OLS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each city has around 30 sustainability policies and emits $12.76tCO_2$ per year on average. In addition, when the number of sustainability policies increases by one, the amount of $CO_2$ per capita decreases by $0.7tCO_2$. This means that the more cities employ sustainability policies, the less $CO_2$ those cities emi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idea that active efforts on behalf of municipal governments toward the development of sustainability policies are needed to handle citywide $CO_2$ emissions.

Geological Significance of Liquefaction and Soft-sediment Deformation Structures (액상화와 연질퇴적변형구조의 지질학적 의미)

  • Ghim, Yong Sik;Ko, Kyoungtae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2 no.5
    • /
    • pp.471-484
    • /
    • 2019
  • Liquefaction occurs by a temporal loss of sediment strength as a consequence of increased pore water pressure during the re-arrangement of unconsolidated, granular sediments. Liquefaction is dependent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ediments and cause surface cracks, landslide, and the formation of soft-sediment deformation structures(SSDS). SSDS is formed by the combined action of the driving force and deformation mechanism(liquefaction, thixotropy, and fluidization) that is triggered by endogenic or exogenic triggers. So research on the SSDS can unravel syndepositional geological events. If detailed sedimentologic analysis together with surrounding geological context suggest SSDS formed by earthquakes, the SSDS provide a clue to unravel syndepositional tectonic activities and detailed paleoseismological information(> Mw 5) including earthquakes that leave no surface expression.

A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Capacity Estimation Model Using the National Environmental Assessment Indicators (국토환경성평가 지표를 이용한 환경용량 산정모델 개발)

  • Lee, Chong-Soo;Lee, Woo-Kyun;Jeon, Seong-Wo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5 no.6
    • /
    • pp.385-394
    • /
    • 2006
  • Land resources should be managed not only for human utilizations but also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Based on that, environmental capacity should be estimated in both environmental and developmental ways.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developing an estimation model for relative environmental capacity, considering both Development Tolerance Index(DTI), which shows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onservation value and is based on national environmental assessment indicators of the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and Development Attractiveness Index(DAI), which shows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geographical accessibility. The relative environmental capacity in this study can be helpful to coping with the conflict in planning and managing the use of land resources. The relative environmental capacity in this study, however, did not include either environmental or ecological sensitivity of land resources. This limitation should be solved through further research.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Water Resources Index based on characteristic of indicators (세부지표 특성을 고려한 수자원통합지수 개발)

  • Choi, Si-Jung;Lee, Dong-Ryul;Moon, Jang-Won;Kang, Seong-Kyu;Yang, So-Hy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56-456
    • /
    • 2011
  • 국내에서는 1999년부터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AMIS) 구축 및 운영을 통해 물관리정보화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기초정보분석 중심에서 수자원 계획 수립과 정책 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확대하여 대국민 수자원 정보 제공과 홍보를 활성화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수자원 현황을 평가하기 위해 상수도보급율, 하천개수율 등을 이용하여 수자원의 단편적인 분야만을 평가하여 왔으며 이들 개별지표들만으로 국내 수자원 상황에 대해 국민들이 체감하는데 한계가 있어 이들 사업의 성과를 지수화하여 수자원 정책과 사업의 효과를 국민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수자원 각 분야별 수자원계획수립 업무지원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수자원 현황 평가를 위해 분야별 평가지수를 개발하고 수자원 통합지수를 선정하여 중권역별로 산정한 바 있다(건설교통부, 2007; 국토해양부, 2008, 2009). 보다 합리적인 수자원 평가를 위해서는 분야별(물이용, 치수, 하천환경) 평가 지수의 공간적 범위 확대 및 세부지표를 추가 고려함으로써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의 분야별 변화 패턴을 파악해야 한다. 이를 통해 수자원 관련 정책 및 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고 구축된 기초자료 및 분석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 개발된 분야별 평가지수 산정 결과와 분야별 현황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지수의 현장 적용성을 검토함으로써 기 개발된 지표의 취약점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보다 합리적이고 타당한 분야별 평가를 위해 세부지표를 추가로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분야별 세부지표를 PSR 구성체계에 맞추어 구성하였다. 또한 분야별 현황 및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분야별 평가지수를 개발하였으며 물이용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수를 '물이용안전성지수', 치수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수를 '홍수안전성지수', 하천환경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수를 '하천환경건강성지수'라 명명하였다. 또한 분야별 평가지수를 통합하여 수자원 현황을 평가하고 관리할 수 있는 수자원 통합지수인 '물만족지수'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분야별 평가지수를 구성하는 각 세부지표의 특성을 파악하여 지표 산정 범위를 점, 선, 면으로 확대하여 제시하였으며 세분화된 공간단위별로 기초자료를 조사, 수집하여 시계열 DB를 구축하였다. 개발된 분야별 평가지수 및 물만족지수를 연도별 표준유역별로 구축된 DB를 이용하여 산정하고 비교 분석하였으며 상대적인 분야별 안전성 및 건강성을 평가하여 지수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지표 관련 기초자료 및 분석을 통해 생성된 정보자료는 수자원정책 수립과정에서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정책결정을 지원할 수 있고, 일반인과 관련 전문가들에게 수자원 관련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A study for Desertification Monitoring and Assessment based on satellite imagery in Tunisia (위성영상기반 튀니지 사막화 모니터링 및 평가에 관한 연구)

  • KIM, Ji-Won;SONG, Chol-Ho;PARK, Eun-Been;LEE, Jong-Yeol;CHOI, Sol-E;LEE, Eun-Jung;LEE, Woo-K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1 no.4
    • /
    • pp.91-107
    • /
    • 2018
  • It is required to monitor and assess the desertification in Tunisia, where the Sahara Desert, which is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unisia, is recently expanding northward. In this study, by using remote sensed data, land cover changes were examined, and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Topsoil Grain Size Index (TGSI) and Albedo are used to monitor and assess desertification in Tunisia. Decision Tree was constructed, and the frequencies and trends of each assessment indicator, desertification degree and land cover were identified. In addition,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assessment indicators and precipitation. As a result, desertification is generally intensifying northward, especially in areas with high levels of desertification. Also,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Albedo, NDVI and TGSI were all highly correlated with precipitation. It indicates that changes in precipitation have also been shown to affect Tunisian desertific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improved the usability of various methodologies considering the assessment indicators based on satellite imagery, Decision Tree, which is a method of evaluating them complexly, and trends of land cover change.

Green Belt Abolition and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The Case Study of Chongju City (개발제한구역의 해제와 전략환경평가: 청주시를 사례로)

  • Lee, Jong-H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2 no.3
    • /
    • pp.121-135
    • /
    • 2003
  • 1999년 7월 청주권을 비롯한 7개 지방중소도시권은 친환경적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한 후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하도록 하고, 수도권을 비롯한 7개 대도시권은 보전가치가 낮은 지역을 위주로 부분적으로 해제하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표고, 경사도, 농업적성도, 식물상, 임업적성도, 수질 등 6개 항목에 대한 환경평가를 통해 개발제한구역에 용도지역이 지정되었다. 청주시의 경우 환경평가와 주민의견 반영 후 도시계획재정비에 따라 용도지역이 지정되었으나, 평지나 산림생산성이 떨어지는 곳은 낮은 환경등급을 받아 개발이 가능한 용도지역이 지정됨으로써 벨트형 녹지 유지가 어려워져, 시가지 팽창, 대전과 연담화, 도시 허파기능 상실 등의 가능성이 커지게 되었다. 따라서 청주권 개발제한구역의 시가화 영향을 토지피복, 지목, 용도지역 등의 변화를 통해 살펴보고, 6개 항목에 대한 환경평가 과정상 문제점을 고찰한 후, 개발제한구역의 해제 영향을 도시성장측면과 환경용량평가를 통해 규명하고, 전략환경평가의 적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전략환경평가의 시행을 위해서는 먼저 오염총량관리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개발밀도관리구역, 수도권정비계획법에 의한 인구집중시설에 대한 개발총량규제 등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미 시행중인 개발사업 및 개발계획중인 사업에 대한 누적영향평가와 함께 해당 지역에 대한 환경용량평가가 이뤄져야 하고, 아울러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에 대한 사전환경성검토업무편람의 내용을 토대로 하여 환경평가항목에 대한 스코우핑, 환경평가 지표 개발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A Study on Development of CPTED Evaluation Indicators and Assessment of Types in Neighboring Park - Focused on Neighborhood Parks in Busan - (근린공원 CPTED 적용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및 유형별 평가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 Sohn, Jee Hyun;Kim, Jong Gu;Kim, Yu J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5 no.1
    • /
    • pp.237-254
    • /
    • 2015
  • Neighborhood Parks are important facilities for urban residents, which provide recreation and vitality to users. But it can degenerate into crime-ridden area in the absence of control system. Recently,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is confirmed to be effective for safety enhancemen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promulgates enforcement regulation about urban parks and greens. In the enforcement regulation, consideration of CPTED in park design is mandatory. However, there is no systematic guideline for the application and continuous maintenance control. So we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of neighborhood park about CPTED, and verify the weighted value of the evaluation indicator through survey targeting related field experts. Then, we evaluate safety of neighborhood parks in Busan using developed evaluation indicators, by three types of CPTED application level. On the physical design elements Busan Citizen Park which applied CPTED method from the design phase received the remarkably hightest score, whereas, on the social elements score was investigated differently in accordance with characteristics of each park.

A Study on Water Cycle Recovery Rate Analysis according to Rainwater Management Goals (빗물관리목표에 따른 물순환 회복률 분석 연구)

  • Jongseok Baek;Jaemoon Kim;Sanguk Cho;Dongheon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67-367
    • /
    • 2023
  • 2022년 중부권은 집중호우에 의해 큰 피해를 입었다. 2022년 서울의 강수량은 1775.3mm로 30년(1993~2022년) 연평균 강수량(1429.6mm)을 상회하였고, 6월~9월에 1412.4mm로 약 80%의 강수량이 집중되었다. 또한, RCP(Representative concentrate pathways)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르면 2100년까지 강수량과 강우지속시간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도시화는 지속적으로 불투수면적을 넓히고 있어, 도시지역의 홍수피해는 점차 가중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 불투수면적의 투수화를 통해 강수량을 지표하로 침투시켜 지표유출을 저감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대상지는 부산광역시 신도시 개발지역으로 30년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무강우 지속시간, 독립 강우사상의 구분, 강우사상의 지속시간 및 분포 등을 분석하여 빗물관리목표를 설정하였다. 해당 빗물관리목표를 만족시킬 수 있는 규모의 저영향개발 시설을 적용하였고, 도시지역의 개발 전, 개발 후, 저영향개발 기술 적용 후의 단계로 구분하여 모의분석을 수행하였다. 개발 전의 물순환 회복률을 100.0%로 기준을 설정하고, 모의분석 결과 개발 이후 38.1%로 물순환 회복률이 급감하였으나, 저영향개발 기술 적용을 통해 약 92.0%로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후 연별, 월별 물수지 분석을 통해 물순환 회복률과 지표유출 저감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저영향개발의 적용으로 도시화와 집중호우로 인한 도시지역의 수해를 일부 저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고, 대상지역 개발 전의 물수지 상태 회귀를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Flood Damage Index regarding Regional Flood Damage Characteristics (지역별 홍수피해특성을 고려한 홍수피해지표 개발)

  • Park, Taesun;Yeo, Chang Geon;Choi, Minha;Lee, Seung Oh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4B
    • /
    • pp.361-366
    • /
    • 2010
  • It would be helpful to evaluate the potential flood damage and compare quantitatively with each other when establishing the regional flood countermeasure and determining the execution of the restoration works and emergency action plans. The Flood Damage Index (FDI) in Korea, possible to estimate localized potential risks caused by flood damages, therefore, was proposed in this study. It was considered with the scale of regional flood damages includ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quantitative grounds. First, the four significant causes were categorized as natural, social, politic, and facilitative ones. And the eleven selected factors representing four causes were determined. Finally, the FDI was obtained by the weighting linear summation of the corrected 11 factors multiplied by the weighting values based on the professional questionnaires. Employing the FDI, the potential risk analysis about flood damages for 229 cities and counties in Korea was conducted. These results would be utilized as the essential basis for more rational and practical countermeasures and plans against flood da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