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지적 지표

Search Result 11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Method for determining flood risk in construction site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techniques (인공 신경망 기법을 활용한 건설 현장 침수 위험 판정 방법)

  • Im Jang Hyuk;Cho Hye R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44-344
    • /
    • 2023
  •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극한 강우로 전 세계적으로 국지적 홍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극한 강우 발생시 다양한 건설 현장의 상황에 따라 침수 취약성이 나타나 인적 물적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시공에 따른 현장 지형 변화에 대해 실시간으로 침수 예측이 불가하여 위험 판단이 어려운 실정이며, 극한 강우 발생에 대비하기 위해 강우 정보 획득 및 분석을 효율화하여 강우예측 정확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건설 현장의 침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침수 위험을 판정하고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침수 위험 판정 방법은 건설 현장에서 실시간 지형변화 정보 확보와 침수 위험 판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침수심 분석에 인공 신경망 기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침수판정 알고리즘은 지형, 강우 분석 모듈과 침수판정 모듈로 구성하였다. 지형 분석 모듈은 건설 현장이 시공진행에 따른 지형 데이터의 변화를 고려하기 위해 실시간 영상 정보의 객체 탐지를 구분하는 인공 신경망 기법을 적용해 지형 분석 모듈을 구축하였다. 강우 분석 모듈은 다양한 강우 정보를 취합할 수 있는 서버를 구축하여 강우 임베딩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도록 고안하여 정확도를 높였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강우-유출해석에 의한 침수심 값과 실측값, 침수 지표를 활용하여 인공 신경망 기법으로 침수 위험을 판정하도록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건설 현장에서 지형 상태의 지속적인 변화와 강우데이터의 정확도 향상에 대응할 수 있는 침수 위험 판정이 가능하고 인적 물적 피해 최소화를 기대할 수 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은 건설 현장에서 분석 시스템과 실측 모니터링에 의해 검증되어야 할 것이며, 건설 현장 외에도 스마트 도시 및 지하 공간에서 확대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Groundwater Flow Modeling in the KURT site for a Case Study about a Hypothetical Geological Disposal Facility of Radioactive Wastes (방사성폐기물 지하처분장에 대한 가상의 사례 연구를 위한 KURT 부지의 지하수 유동 모의)

  • Ko, Nak-Youl;Park, Kyung Woo;Kim, Kyung Su;Choi, Jong Won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10 no.3
    • /
    • pp.143-149
    • /
    • 2012
  • Groundwater flow simulations were performed to obtain data of groundwater flow used in a safety assessment for a hypothetical geological disposal facility assumed to be located in the KURT (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 site. A regional scale modeling of the groundwater flow system was carried out to make boundary conditions for a local scale modeling. And, fracture zones identified at the study site were involved in the local scale groundwater flow model. From the results of the local scale modeling, a hydraulic head distribution was indicated and it was used in a particle tracking simulation for searching pathway of groundwater from the location of the hypothetical disposal facility to the surface where the groundwater reached. The flow distance and discharge rate of the groundwater in the KURT site were calculated. It was thought that the modeling methods used in this study was available to prepare the data of groundwater flow in a safety assessment for a geological disposal facility of radioactive wastes.

Development of Estimation Equations for Solid Deposition in Sewer Systems due to Rainfall (강우로 인한 관거 내 고형물 퇴적량 산정식 개발)

  • Lee, Jae-Soo;Lee, Se-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9
    • /
    • pp.885-894
    • /
    • 2008
  • The deposition of solids in combined sewer systems results in a loss of flow capacity that may restrict flow and cause a local flooding and enhanced solids depositio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nd proper pipe management, estimations of solid loads on land surface in a drainage basin and solid deposition in sewer system due to rainfall are needed but these tasks are very difficult and very expensive. In this study, procedures for estimating solid loads on surface in a drainage basin were applied and analyzed in Gunja drainage basin in Korea. Also,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stimation equation for solid deposition in sewer system due to rainfall based on the solid deposition estimated using MOUSE model. As results, the comparison between estimated and measured solid deposition is difficult due to the absent of measured data, but the estimated values using developed equations show applicability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MOUSE model and the application of the other basin. The developed estimation equations can be used usefully for the management of combined sewer system.

Characteristics of pH, Electric Conductivity and Water Temperature of Groundwater in Yongnup, Daeam-san (대암산 용늪 지하수의 pH, 전기전도도, 수온 분포 특성)

  • 박종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8 no.1
    • /
    • pp.1-15
    • /
    • 2003
  • The basic data of groundwater quality such as water temperature, pH and electric conductivity were collected for 6 months from July to December 2000 in Yongnup.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values of groundwater quality at the unsaturated points were beyond the distribution range when compared with those at fully saturated points. Temperature of groundwater in Yongnup increased with the rising of watertable. The values of pH were usually measured between 5.0 and 6.0, but sometimes those of lower than 4.0 were indicated. The value measured at unvegetated ground was higher than that at covered area. Also, the electric conductivity increased with the rising of watertable. The values of water quality between groundwater and surface water were quit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varied with seasonal change. The measured values of pH and electric conductivity had a proportional relationship.

Application of Flood Inundation Analysis Model for Analysis of Sinchon Area (신촌지역 침수해석을 위한 범람해석모형의 적용)

  • Tak, Yong Hun;Jeong, Dong Wook;Kim, Young Do;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12-412
    • /
    • 2015
  • 최근 기후변화 및 이상기후의 발생으로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강우가 발생하는 국지적인 기습강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급격히 발전하는 도시지역은 토지이용에 따라 불투수지역이 대부분이며, 유출량이 증가하고 도달시간이 줄어들어 내수침수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도시유역의 배수능력은 우수관거 말단부와 연결된 외수에 영향을 받기 쉽고, 복잡하고 긴 형태를 가진 도시유역의 관망분포에 따라 통수능 부족 및 외수에 의한 내수배제의 불량으로 인한 침수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도시유역에서 우수의 유출현상은 대부분 표면 흐름이나 우수관거를 통하여 흐르게 된다. 불투수층이 대부분인 도시유역의 강우에 의한 내수배제는 우수관거에 의존도가 높으며, 도시유역의 침수현상은 인간의 생활 및 사회기반시설 등에 직접적으로 피해를 입혀 막대한 재산피해와 인명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경우 큰 하천주변으로 많은 도시들이 위치하고 있어 내수배제 불량에 의한 침수피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대비하기 위해 강우-유출 해석을 통하여 침수위험지역을 예측하고 홍수 저감을 위한 계획 수립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도시유역의 침수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관거의 통수능과 월류수 및 지표수의 흐름을 고려한 2차원 해석이 함께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침수가 발생하였던 신촌지역에 대하여 침수해석을 위해 범람해석 모형을 적용하였다. 현재 도시유출모의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SWMM 모형을 이용하여 우수관거의 관망해석을 실시하고 관거의 용량을 초과하여 범람한 유량은 범람해석 모형인 FLUMEN 모형을 이용하여 침수 분석을 통해 노면수의 흐름을 분석하여 도시유역의 침수모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

성지곡수원지 부근 산공풍의 기단변질과정에 관한 수치실험

  • Kim, Ik-Yeong;Lee, Bu-Yong;Hwang, Su-Jin;Kim, Hae-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49-156
    • /
    • 2007
  • 부산의 대표적 큰 계곡인 성지곡수원지는 남쪽으로 부산의 최대 도심인 서면을 향해 열려 있고, 그 이외의 삼면은 높은 산지로 둘러싸여 있다. 그래서 성지곡-서면-남항 일대는 낮에는 해풍이 곡풍(남풍)의 형태로 불고, 야간에는 산풍이 육풍(북풍)의 형태로 불고 있다. 이렇게 형성된 국지풍 순환의 규모와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계곡 입구와 도심인 서면 부근에 자동기상관측장치를 설치하여 특별 관측을 수행하였다. 관측결과 주간에는 서면 부근의 기온이 성지곡 입구보다 낮았고, 야간에는 이와 반대로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대체로 $3^{\circ}C$ 내외였다. 이것은 주로 지표면 가열의 의한 기단변질의 결과로 판단된다. 관측 일에 확인된 도로표면온도는 낮에 약 65도까지 상승하였으며 야간에도 30도 정도의 고온이 유지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현장관측으로 확인된 기단변질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2차원 대류모델을 이용한 수치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치실험의 결과 낮에는 지표로부터 약 $150W/m^2$이상의 현열이 보급됨이 확인되었다. 야간에도 $10W/m^2$ 내외의 현열이 대기 중으로 보급되어 성지곡 수원지에서 발원된 냉기류를 가열시키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An Analysis and Numerical Simulation on Southwestern Prevailing Wind Phenomenon around Pohang in Winter (포항지역의 겨울철 남서계열 탁월풍 현상에 관한 분석 및 수치모의)

  • Lee, Hwa-Woon;Kim, Hyun-Goo;Jung, Woo-Sik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4 no.6
    • /
    • pp.533-548
    • /
    • 2003
  • The prevailing wind phenomenon around Pohang in winter was investigated by using surface and vertical observatory datas and a numerical simulation was carried out to analyse this phenomenon using RAMS. Direction of the prevailing wind was westerly at upper atmosphere. However, near the surface, southwestern wind prevailed in winter. Using the RAMS to simulate a winter wind system numerically, it was found out that this phenomenon was strongly affected by the geographical features such as directions of coastline and low level valley, and distributions of land and sea. To investigate the accuracy of the model results, wind speed, temperature and wind direction of typical continuous southwestern wind occurring days were compared with observation data.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irculation system was very hard because of horizontally sparse observation data. But from the result above, a numerical simulation using the RAMS, which satisfies the spatial high resolution, will provide more accurate results.

Dual-Drainage Urban Inundation Analysis Model (Dual-Drainage 도시침수해석)

  • Han, Kun-Yeun;Lee, Chang-Hee;Kim, Ji-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237-241
    • /
    • 2006
  • 최근에 들어 도시지역에서는 국지성 집중호우에 의한 홍수피해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우수설비 시스템이 비교적 갖추어진 개발 지역에서도 기존의 우수설비시스템의 용량이 초과되어 큰 침수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홍수규모가 배수시스템의 용량을 초과할 경우 건물, 공공기반시설 등 재산 및 인명 등에 있어 많은 피해를 야기하고 있으며, 도로의 침수는 운송 시스템의 기능에 문제를 일으키게 되어 도시의 산업과 기능을 마비시킨다. 이러한 도시지역 홍수에 대비하여 도시지역의 복잡한 지형 형상과 인위적 배수시스템을 함께 고려하여 해석할 수 있는 침수해석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MOUSE와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 계열 모형들(EPA SWMM, MIKE SWMM, XP SWMM, PC SWMM)(Huber and Dickinson, 1988)은 도시유출해석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모형들은 과부하된 유입구에서의 범람되는 홍수유량곡선만을 제공하며 지표면 범람 지역, 수심, 및 침수기간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도시배수체계모형과 도시침수모형에 대해 상호연계를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도시범람 모형이 도시지역에서 홍수로 인한 침수해석을 모의하는데 필요하다. 배수시스템 해석 모형의 계산결과를 이용하여 침수해석을 수행하는 연계모형의 경우 침수초기 월류지점으로부터의 침수진행과정을 잘 모의할 수 있다. 그러나, 지형의 기복이 있는 유역에서 배수시스템을 통한 지표침수유량의 배수과정을 고려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월류발생이 끝난 후 일부지점이 계속 침수된 채 있게 된다. 이러한 연계모형의 한계로 인하여 두 모형의 통합모형이 필요하다. 즉, 강우 혹은 월류유량으로 발생한 지표유량 중 일부분이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는 유입구 지점을 통과할 때 배수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고, 유입된 유량은 배수시스템 내의 흐름에 반영되도록 배수시스템과 침수해석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표면과 배수시스템에 대한 수리학적 관계를 정립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시스템 해석 모형과 도시침수해석 모형을 통합하고, 두 모형간의 유량의 전송과정을 수리학적 관계를 고려한 dual-drainage 도시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지역 배수시스템 해석 모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SWMM모형을 이용하여 지표면으로의 월류량을 산정하고 유입된 지표유량에 대해서 배수시스템에서의 흐름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침수해석을 위해서는 2차원 침수해석을 위한 DEM기반 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였고, 건물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결과 지표류 유출 해석의 물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도시지역의 복잡한 배수시스템 해석모형과 지표범람 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로 인해 더욱 정교한 도시지역에서의 홍수 범람 해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모형의 개발로 침수상황의 시간별 진행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도시홍수에 대한 침수위험 지점 파악 및 주민대피지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patial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Assemblages in Wetlands of Jeju Island, Korea (제주도 일대 습지에 서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 분포 특성)

  • Yung Chul Jun;Seung Phil Cheon;Mi Suk Kang;Jae Heung Park;Chang Su Lee;Soon Jik Kwo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7 no.1
    • /
    • pp.1-16
    • /
    • 2024
  • Most wetlands worldwide have suffered from extensive human exploitation. Unfortunately they have been less explored compared to river and lake ecosystems despite their ecological importance and economic values. This is the same case in Korea. This study was aimed to estimate the assemblage attributes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for fifty wetlands distributed throughout subtropical Jeju Island in 2021. A total of 133 taxa were identified during survey periods belonging to 53 families, 19 orders, 5 classes and 3 phyla. Taxa richness ranged from 4 to 31 taxa per wetland with an average of 17.5 taxa. Taxa richness and abundance of predatory insect groups such as Odonata, Hemiptera and Coleoptera respectively accounted for 67.7% and 68.2% of the total. Among them Coleoptera were the most diverse and abundant. Taxa richness and abundance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each wetland type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al Wetland Classification System. There were three endangered species (Clithon retropictum, Lethocerus deyrolli and Cybister (Cybister) chinensis) and several restrictively distributed species only in Jeju Island.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similarity in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position largely classified 50 wetlands into two major clusters: small wetlands located in lowland areas and medium-sized wetlands in middle mountainous regions. All cluster groups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tland area, long axis, percentage of fine particles and macrophyte composition ratio. Indicator Species Analysis selected 19 important indicators with the highest indicator value of Ceriagrion melanurum at 63%, followed by Noterus japonicus (59%) and Polypylis hemisphaerula (58%). Our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on the biodiversity and habitat environments for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wetland ecosystems, consequently helping to establish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plans for small wetlands relatively vulnerable to human disturbance.

Environmental Studies on Masan Bay 2. Annual Cycle of Phytoplankton (마산항의 환경학적 연구 2. 식물플랑크톤의 년변화)

  • Yoo, Kwang Il;Lee, Jong Wha
    • 한국해양학회지
    • /
    • v.11 no.1
    • /
    • pp.34-38
    • /
    • 1976
  • Monthly observation of phytoplankton were made from September, 1974 to June 1975 at three stations in the Masan Bay. Sixty three species of phytoplankton (diatoms), representing 25 genera were taken in this study. Of these Skeletonema costatum, Eucampis zoodiacus, Ditylum brightwellii, Chaetoceros debilis, Coscinosira polychorda, and Leptocylindrus danicus were the dominant species in this area. By the ecological division the neritic species occupied 85.71% of total diatom diversity and i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emayment. Diversity index(H) were the lowest in January and May in surface, while the highest in October. Phytoplankton standing crop varied extensively by months; ranging from 3,780 to 7,642,798 cells/l. total phytoplankton standing crop showed three major peaks in September, December and May. After bloom diatom standing crop were decreased gradually and showed minimum in November and Februa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