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제 위험물 운송규정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Hot Issue - IMDG Code 37차 개정판 주요 개정 내용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65
    • /
    • pp.98-109
    • /
    • 2015
  • 국제해상위험물규칙(IMDG Code : International Maritime Dangerous Goods Code)은 1956년 유엔 경제사회이사회(UN ECOSOC)의 위험물운송 전문가 위원회에서 제정한 "위험물 운송에 관한 유엔권고"(일명, 오렌지 북)를 기본골격으로 국제해사기구가 1965년 제정한 포장 위험물의 해상운송 시 적용하는 국제규칙이다. IMDG Code에는 위험물을 그 특성에 따라 제1급(화약류)부터 제9급(기타 위험물)까지로 분류하고, 이들 위험물의 표시 및 표찰, 포장방법 및 포장용기 기준, 선적서류, 선박 적재방법 및 위험물 상호 간의 격리 등 포장 위험물의 해상운송에 관한 기본원칙이 규정되어 있다. 또한 IMDG Code에는 위험물의 화재 또는 누출 시 비상대응절차, 인명사고 시 의료응급처치 지침, 화물고박지침 및 선박에서 살충제의 안전사용 방법 등에 관한 규정도 수록되어 있다. 본 고에서는 2년마다 개정되고 있는 IMDG Code 37차 개정판의 주요 개정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Hot Issue - IMDG Code 37차 개정판 주요 개정 내용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66
    • /
    • pp.106-119
    • /
    • 2015
  • 국제해상위험물규칙(IMDG Code : International Maritime Dangerous Goods Code)은 1956년 유엔 경제사회이사회(UN ECOSOC)의 위험물운송 전문가 위원회에서 제정한 "위험물 운송에 관한 유엔권고"(일명, 오렌지 북)를 기본골격으로 국제해사기구가 1965년 제정한 포장 위험물의 해상운송 시 적용하는 국제규칙이다. IMDG Code에는 위험물을 그 특성에 따라 제1급(화약류)부터 제9급(기타 위험물)까지로 분류하고, 이들 위험물의 표시 및 표찰, 포장방법 및 포장용기 기준, 선적서류, 선박 적재방법 및 위험물 상호 간의 격리 등 포장 위험물의 해상운송에 관한 기본원칙이 규정되어 있다. 또한 IMDG Code에는 위험물의 화재 또는 누출 시 비상대응절차, 인명사고 시 의료응급처치지침, 화물고박지침 및 선박에서 살충제의 안전사용 방법 등에 관한 규정도 수록되어 있다. 본 고에서는 2년마다 개정되고 있는 IMDG Code 37차 개정판의 주요 개정내용을 지난 달에 이어 살펴보도록 한다.

  • PDF

Safe Management for Hazardous Cargo in relation to explosions in port of Tianjin (천진항 사고에 따른 안전한 위험물 관리방안)

  • An, Jung-Min;Lee, H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208-210
    • /
    • 2015
  • After the huge explosive accident in port of Tianjin, it is being strengthened on the dangerous goods regulations. This also has been make an extra impact which must meet international standards and even different parts became possible import customs regulations exporting from Korea. Since 2004, internationally in compliance with the enforced the transport of dangerous goods regulations (IMDG Code), but becomes substantial damage to the domestic industry that exports of dangerous goods is a lot of difficulties in the logistics of efficiency due to possible follows only the clearance to the needs of the Chinese Government. In Korea and secure hazardous materials management needs have emerged, but piecemeal ad hoc policy is connected economically costly and unnecessary regulations weighted long-term safe at the same time enables continu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only domestic chemical industry to find effective hazardous materials management plan it is.

  • PDF

컨테이너 통합검색정보 표준화 연구

  • 서종희;이준호;박순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227-229
    • /
    • 2023
  • 해상을 통해 반출입되는 항만 컨테이너는 선박과 항만에서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국제해상위험물규칙의 규정을 준수하였는지 검사하고 컨테이너의 안전성을 점검한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컨테이너 및 위험화물의 검색은 대부분 사람에 의한 수동 운용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향후 자율운항선박의 도래에 따른 자동화 항만을 위해서는 자동화된 검색 기술과 더불어 대상 컨테이너의 무인 자동화 검색이 가능하도록 운영이 될 필요가 있으며, 보다 진보적이고 효과적인 컨테이너 검색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컨테이너 검색정보 표준을 개발하여 컨테이너 보안검색의 효율성 및 검색 활동에 대한 업무 비효율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 PDF

Responsibility allocation by awareness of parties on dangerous goods in maritime transport (국제해상운송에서 위험화물 인지에 따른 당사자의 책임 분배에 관한 연구)

  • Lee, Yang-Kee;Choi, Ji-Ho;Shin, Hak-Sung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6 no.4
    • /
    • pp.125-150
    • /
    • 2014
  • The number of dangerous goods are increasing in maritime transport. As a result, a number of nation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re establishing or amending the rules of dangerous goods. There is necessarily the transport of dangerous goods like fuel and the importance of the definition and scope of the goods is increased. In addition, the responsibility between the parties is different with the notification of the goods and its awareness of transporters. In particular, responsible clauses of the transport rule show antithetical concepts between the scope of immunity and the responsibility of a shipper concerned with wether transporters aware. This research performs two works. First, this research analyzes the definitions and scope of dangerous goods through prior research. Second, this research suggests the necessary of united interpretation of the article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n judical decisions concerned with awareness of transporters to dangerous goods. Dangerous goods have a distinctive feature and that is why responsibility and immunity between parties should be differently interpreted with general rules. Parties have duty concerned with faults on general goods and the scope of duty between parties can be specifically made. However, if there is no specific articles concerned with responsibility between parties to dangerous goods, they could confuse the responsibility on duties concerned with risk.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solutions and necessary of the united criteria for the articles to dangerous goods through analyzing precedent cases.

  • PDF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해상운반시스템

  • Jeong, Seong-Hwan;Lee, Yun-Dong;Baek, Hun;Kim, Seong-Hwan;Choe, Se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215-216
    • /
    • 2007
  • 원전에서 발생하는 중 저준위방사성폐기물(이하, "방폐물"이라 함)을 처분시설로 운반하는 것은 원전과 처분시설이 임해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육상운반보다는 선박을 이용하는 해상운반이 효율적이다. 해상운반은 무엇보다 다량운반이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운반회수가 줄고, 인구밀집지역을 지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방폐물의 운반에 대한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적어 안전성 확보에 유리하다. 방폐물의 해상운반은 운반 도중 방사성물질의 위험으로부터 인간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안전운반규정, 국제해사기구(IMO)의 국제해상위험물규칙, 국내 원자력법 등 국내외의 엄격한 기술기준에 따라 안전성이 철저하게 보장되어야만 한다. 한국수력원자력(주)(이하, "한수원"이라 함)는 원전(월성원전 제외)에서 처분시설까지 방폐물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반하기 위하여 전용운송선박, 운반용기, 전용운반차량 및 원전 물량장 등으로 이루어지는 해상운반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할 것이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Ship Collision Legislation in Korea and China (한국과 중국의 선박충돌법제의 비교법적 연구)

  • Jiancuo, Q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8 no.4
    • /
    • pp.577-586
    • /
    • 2022
  • The increasing trade volume between Korea and China has rapidly expanded the maritime transport between the two countries. However, safety, particularly considering the ship collisions in the Yellow Sea and East Sea waters, has not been fully ensured. These collision accidents in that region endanger traffic safety and the marine environment, moreover, it has the potential to cause legal complexity because Korea and China haver domestic legislation, that are considerably different in some aspects.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domestic legislation in China provide detailed laws with respect to ship collisions, however, the theory of ship collision infringement still needs to be improved, enriched, and developed. Because these laws are not very clear on the resolution of disputes resulting from ship collisions, we focused on the final judgments by the Supreme Court of China (SPC), and the judicial judgments set by the Maritime Court of China.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omestic legislation applicable to disputes related to ship collisions in China, and comparatively investigate the legal provisions of Korea and China on the issue of ship collisions, particularly on the aspect of damage compensation, fault ration, and liability apportionment.

제조물책임법(製造物責任法) 도입(導入)의 경제적(經濟的) 효과(效果)와 입법방향(立法方向)

  • Sin, Gwang-Sik;Gu, Bon-Cheo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8 no.3_4
    • /
    • pp.3-61
    • /
    • 1996
  • 소비자 보호 및 효율적 자원배분, 기업의 안전증진 유인제공, 제도의 국제적 조화를 위하여 제조물책임법(製造物責任法) 제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제조물로 인한 사고는 민법(民法)에 의하여 보상받고 있으나 그 입증책임이 과중하고, 현재 우리나라 생산물배상책임보험(生産物賠償責任保險)이 전체 손해보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1%에 불과(미국 10%)하여 그 비용이 아직 미미하므로 제조물책임법제(製造物責任法制) 도입의 안전증진효과가 경제적 손실보다 클 것으로 예상된다. 법제정시의 기본방향은 소비자에게 단순히 보상을 제공하는 법제가 아닌, 기업의 책임과 제품결함이 밀접히 연관되어 배상(賠償) 및 사고억제(事故抑制)의 유인과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어야 한다. 추정규정의 도입은 소비자(消費者) 피해구제(被害救濟)를 용이하게 하지만, 디자인 및 경고결함(警告缺陷)과 결합되면 제조자가 제품사고의 모든 가능성에 대해 완벽한 정보를 가지지 않는 한 제조자의 책임이 되어 제조물책임(製造物責任)의 불확실성(不確實性)을 높이고, 결과적으로 기업에게 절대책임(絶對責任)을 부과하게 되어 제품개발과 혁신을 위축시키는 등의 부정적(否定的) 영향을 초래할 위험이 크다. 따라서 결함의 추정은 인정하지 않아야 하며, 제품개발 및 혁신을 도모하기 위해 개발위험항변(開發危險抗辯)은 인정되어야 한다. 손해배상액(損害賠償額) 상한(上限)을 두지 않는 것이 경제적으로 효율적이고 연대책임을 인정하여 유통업자의 안전제고유인(安全提高誘因)도 강화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중소기업을 포함한 모든 기업에게 입법후 1년 정도의 준비기간(準備期間)을 주는 것이 바람직할 듯하며, 배상책임보험(賠償責任保險)은 의무화하지 않는 것이 경제적으로 효율적이다. 기계, 전자, 운송용기기, 건설, 화학, 식 의약품, 가스제품, 완구, 운동용구 등이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법제이용(法制利用)의 편의가 개선되기 전에는 소송의 증가는 미미하리라 예상된다.

  • PDF

Right of disposition of cargo and Air waybill (송하인의 운송물 처분청구권과 항공화물운송장)

  • Nam, Hyun-Sook;Choi, June-Sun
    •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 /
    • v.30 no.2
    • /
    • pp.177-199
    • /
    • 2015
  • Commerce enriches human life enriched and within commerce, transportation of cargo is arguably the most important in business transactions. Traditionally, marine transport has been major commercial transaction, but carriage cargo by air is on the increase. While the fare for freight in comparison with that of ocean is higher, air freight has many benefits that justify the higher shipping fee; lower insurance premium, packing charges, inventory control, cost management and especially speed. Therefore, air freight transport is accumulating gradually. An air waybill(AWB) is needed in the air transport flow. It is a nonnegotiable security, so the holder cannot transfer of a right to a third party. Some scholars suggest that a negotiable AWB is needed. However, it seems nearly impossible to do so; an e-AWB use shows a gain in numbers, even if it has not met expectations. Going forward, it would appear reasonable to conduct a follow-up study on the utility and legal problem for e-AWB. After sending goods, the consignor has the right of disposition of cargo in some cases, and more research is necessary, because it is related to change of ownership and a trade settlement. According to WATS (World Airlines Transport Statistics), the Korean Air took third place in international freight in 2014, and fifth in total, domestic and international to great acclaim.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supporting the business showing. It is hope that more studies on e-AWB, stoppage in transit, and a risk of outstanding amount, etc. connect to develop Korean air freight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