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국어 대사전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3초

대용량 전자사전 구축을 위한 국어 대사전의 통계 정보 (Statistical Information of Korean Dictionary to Construct an Enormous Electronic Dictionary)

  • 김철수;김양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60-68
    • /
    • 2007
  • 언어 정보 처리 응용 분야는 정보검색, 형태소분석, 철자검색, 음성인식, 문자 인식 등 다양하다. 이러한 정보처리 과정은 전자 사전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어대사전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 정보들을 살펴보고, 전자사전 구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대상 정보는 고어 및 불완전음절을 포함하는 단어를 제외한 표제어들에 대하여, 대사전의 표제어수, 전자사전의 엔트리수, 사용된 전체음절수, 서로 다른 음절수, 엔트리들의 평균 길이, 품사별 분포, 전자사전을 트라이로 구축할 때 사용되는 노드 수 등 이다. 전자사전의 전체 엔트리 수는 361,980개, 사용된 음절수는 1,289,659개로 엔트리들의 평균 길이는 3.56이었으며 서로 다른 음절수는 2,463개였다. 이러한 통계 정보들은 전자사전 구축 및 한국어 정보처리에 도움이 될 것이다.

空氣와 사람 (Air Resources; Basic Necessity for Human Being)

  • 이두호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0
    • /
    • 1987
  • 먼저 辭典式 풀이를 빌려 空氣와 大氣의 뜻을 살펴보면 韓$\cdot$$\cdot$$\cdot$中 兼用 漢字大典(敎育出版社)에 의하면 "空氣"란 '地球의 表面을 둘러싼 無色 透明한 氣體, 大氣'라고 풀이하고, "大氣"란 '1. 天地의 氣運 2.공기' 라고 풀이하고 있으며, 또 동아 신콘사이스 國語辭典에 의하면 "空氣"란 '地球의 表面 下層을 둘러싸고 있는 빛깔이나 냄새가 없고 투명한 기체'라고 풀이하고 "大氣"란 '地球를 둘러싸고 있는 공기를 전체로 일컫는 말'이라고 풀이하고 있으며, 또한 李熙昇編 국어 대사전에 의하면 "空氣"란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무색, 투명, 무취의 기체'라고 풀이하고 "大氣"란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氣體의 層'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辭典式 풀이를 綜合해 보면 "空氣"란 "地球를 둘러싸고 있는 無色 透明의 氣體"라고 定義되고 "大氣"란 "空氣全體" 卽 "地球를 둘러싸고 있는 氣體의 層"이라고 定義된다.

  • PDF

국어대사전의 표제어에 나타나는 한자 정보 (Hanja Information in the Entries of Korean Unabridged Dictionary)

  • 김철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438-446
    • /
    • 2010
  • 한글과 한자가 혼합되어 나타나는 분야의 언어정보처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한글 및 한자 정보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전자 사전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국어대사전의 표제어에 나타나는 한자 통계 정보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대상 정보는 KSC-5601 코드에 기초하여 엔트리에 한자가 포함된 엔트리 수, 엔트리에 나타나는 한자의 음과 훈의 출현빈도 수, 품사별 한자 출현빈도수, 엔트리당 평균 출현 한자 수 등이다. 440,594개의 표제어 중 303,951개에서 한 글자 이상의 한자가 나타나 68.99%의 표제어에서 한자가 출현 하였다. 440,594개의 표제어에서 858,595글자의 한자를 포함하고 있어 표제어 당 평균 1.95개의 한자가 출현하였다. 표제어의 평균 음절길이 3.56이고 1.95개의 한자가 출현하므로 표제어를 구성하는 글자 중 54.78%가 한자임을 알 수 있다. 4,888개의 한자 코드 중 한번 이상 출현한 한자는 4,660개이며, 228개의 한자는 한 번도 출현하지 않았다. 4,000번 이상 출현하는 한자는 5개였다. 엔트리에 출현하는 858,595개의 한자에 대응하는 한글 음은 471개였다.

한과류의 관능적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Cookies, Hankwa)

  • 이철호;맹영선;안현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71-79
    • /
    • 1987
  • 한과류의 관능적 품질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약과, 세반강정, 산자, 송화다식, 들깨엿강정에 대한 품질표현용어를 77명의 설문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 결과 90여종의 표현용어를 수집하였다. 이들 용어중 58종의 표현용어는 국어대사전에 수록되어 있었으며 한과의 종류별 주요품질요소를 표현빈도수에 근거하여 결정하였다. 한과류를 실온에서 10일간 상대습도 $0{\sim}68%$ 범위에서 저장하였을 때 주요품질요소의 변화를 관능검사로 평가하였다. 저장상대습도의 변화에 따른 한과류 종류별 주요 관능적 품질요소의 변화 양상을 정량적 묘사 분석법으로 도해함으로서 일목요연하게 표시할 수 있었다.

  • PDF

실생활에서 주로 사용하는 색과 미각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colors and tastes used mostly)

  • 최형순;김유진;이경원
    • 감성과학
    • /
    • 제12권4호
    • /
    • pp.471-480
    • /
    • 2009
  • 색에 의한 맛의 연상과 관련된 선행 연구에 의하면 사람은 제한된 특정 색만을 맛과 연관지어 생각한다고 한다. 그리고 그 연관성은 음식물의 색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의 종류와 정도에 의해 결정된다고 한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특정 맛을 연상시키는 특정 색이 있을 것이라 가정하고, 색과 맛의 연상에 관한 특성을 파악하기로 하였다. 보다 객관적이고 일반적인 연구를 위해 "우리말 색 이름 사전"과 "표준 국어 대사전"을 활용하여 일반인들이 흔히 접하고 사용하는 24개의 색과 24개의 미각 형용사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색과 맛에 민감하면서도 그 어휘를 모두 구사할 수 있는 2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각각의 24개의 색 샘플을 보여준 후, 각각의 24가지의 미각형용사가 얼마나 느껴지는지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그렇게 수집된 정보는 다차원 척도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색과 미각의 5가지 분명한 관계가 발견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미각을 연상시키는 색은 한정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또 한정된 색들도 한정된 미각만을 연상시킨다는 것뿐만 아니라 그것은 성별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도출해낼 수 있다. 본 연구는 특정 색과 특정 미각의 연관성뿐 아니라 다른 특정 색들과의 관계도 나타내므로 효과적인 식품 패키지 디자인, 광고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