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소적 특성

Search Result 359,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Finite Element Analysis of RC Structures considering Bond Characteristics (부착특성을 고려한 RC구조물의 유한요소 해석)

  • 한상호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9 no.5
    • /
    • pp.157-164
    • /
    • 1997
  •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와 철근간의 경계면을 나타내는 유한요소법에는 균열의 부근에서 발생하는 부착열화 현상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것은 균열 부근에서 과도한 부착을 초래하고 , 국소 변형과 균열의 진전에도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근에서 일어나는 부착거동의 변화를 고려한 비선형 부착응력-미끄럼 모델을 제안하였다. 철근과 콘크리트간의 경계면에는 링크요소를 이용하였고, 링크의 특성은 철근을 가로지르는 균열의 상태에 따라 변하도록 조정하였다. 균열의 형성상태를 정량화하고, 부착거동을 두 포락선 1) 균열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위치에서의 부착상태를 모델링한 외연포락선, 2)횡균열면에 있어서의 부착상태를 모델링한 내연포락선의 사이에 변이시키기 위하여 비국소적 손상도 개념을 도입하였다. 이 방법의 유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편재하중을 받는 T형 교각의 실험 및 해석결과를 제시하였다. 제안된 모델의 결과를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본 모델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Failure analysis about deterioration of Source voltage in Power MOSFET (Power MOSFET에서 Source voltage 저하에 관한 Failure analysis)

  • 정재성;김종문;이재혁;하종신;박상득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b
    • /
    • pp.1109-1112
    • /
    • 2003
  • 본 연구는 switching mode 의 Power NMOSFET failure mode 에 관하여 분석하고 원인을 규명하였다. 분석된 power NMOSFET은 30V급이며, vender A의 상용화 제품이다. 발생한 failure mode는 power switch 회로에서 특정 ID 를 detect 하지 못하는 mode 였다. 측정결과 source voltage 가 저하되었으며, power NMOSFET DC 동작특성 분석 결과 Vgs 변화에 따라 Id 가 저하되었다. Fail 된 power MOSFET 특성값 reference는 동일 LOT의 양품을 선정하였다. De-cap후 Inversion 과 Accumulation mode 별로 Photoemission spectrum analyzer(PSA)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결과 accumulation mode 에서 intensity가 감소하였으며, forward diode mode에서 국소적으로 변화하는 영역이 검출되었다. SEM 분석결과 gate metal 과 source metal 의 micro-contact 이 이루어져 있었다. 이 경우 gate metal 과 source metal 사이 close loop 를 형성하여 gate charge량을 변화시켜 power NMOSFET의 출력을 저하하는 failure mode가 발생됨을 분석할 수 있었다.

  • PDF

경남 상북면 양산단층 서부지역에 대한 습윤지수 특성 연구

  • 한지영;김성욱;강문기;김상현;김인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447-453
    • /
    • 2003
  • 연구지역은 경남 양산시 상북면 삼삼리 일원으로 양산단층과 인접하며 급한 경사의 자연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치지형자료를 이용하여 고도값을 갖는 자료층을 추출한 후 10m$\times$10m 크기의 격자별로 DEM으로 변환하고, 이로부터 단위 격자의 경사도, 경사방향도, 음영도를 작성하고 흐름분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설정된 격자별로 상부사면의 기여면적과 습윤지수를 산정하였다. 높은 습윤지수를 보이는 지역은 북서-남동 방향의 선형구조로 나타나며, 국소지역의 전단단열 특성과 일치한다. 한편 연구지역에서 전기비저항 탐사를 실시하여 높은 습윤지수를 나타내는 지역과 저비저항 이상대의 분포를 비교한 결과 습윤지수가 높은 지역은 모두 낮은 전기비저항 이상대로 관찰된다. 즉 습윤지수는 암석의 화학적 풍화를 수반하는 파쇄대의 분포와 일치하며 이를 토대로 국소지역에서 파쇄대의 예측과 암석의 안정성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 PDF

연소실 냉각을 위한 충돌제트/유출냉각기법에서의 열전달특성

  • 이동호;조형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9.04a
    • /
    • pp.7-7
    • /
    • 1999
  • 충돌/유출냉각은 연소실 벽면 등과 같이 열부하가 많이 걸리는 영역에서 고온의 연소가스로부터 표면을 보호하는 막냉각과 더불어 내부에 다공성 판을 설치하여 충돌제트에 의해 내부표면을 냉각시켜 가스터빈엔진의 고온요소의 냉각성능을 극대화시키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이와 같은 냉각방법을 적용하면 벽면을 충돌제트에 의한 냉각과 함께 냉각유채를 막냉각에 활용함으로써 냉각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소적인 값들을 획득하기 용이한 물질전달실험방법의 하나인 나프탈렌 승화법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분사되는 충돌제트에 의한 유출판 내면에서의 열/물질전달특성을 분사판(injection plate)과 유출판(effusion plate) 사이의 높이, 분사제트의 속도, 분사홀간의 배열을 변화시켜가며 유출판만이 있는 경우와 비교, 분석하였다. 분사홀과 유출홀의 관 사이의 간격은 0.33d에서 10d까지 변화시켜가며 그 효과를 관찰하였으며, 홀배열 효과를 보기 위하여 2가지 홀배열(staggered array, shifted array)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또한 분사제트의 속도효과를 고찰하기 위하여 분사제트의 Rc$_{d}$=5,000-12,000까지 변화시켜가며 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

A Statistical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f Child and Adolescent Patients with Tooth Impaction (소아·청소년 환자의 매복치 특성과 치료에 관한 연구)

  • Jo, Wansun;Lee, Nanyoung;Lee, Sangho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41 no.4
    • /
    • pp.306-313
    • /
    • 2014
  • Impacted teeth are teeth with a delayed eruption time or that are expected to erupt incompletely. Those teeth can cause a series of potential problems such as root displacement and resorption, periodontal problems in adjacent teeth, referred pain and the formation of cysts and odontogenic tum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f child and adolescent patients younger than 15 years of age that were diagnosed with an impacted tooth who visited the Chosun University Dental Hospital. The impacted tooth, its etiology, treatment and traction period were surveyed through electric medical records, radiographs in 335 patients. We excluded the impacted third molar, supernumerary and deciduous teeth from this study. The most frequently impacted teeth are upper canine, followed by the upper incisor. The most common etiologies of impaction were an abnormal eruption pathway and localized pathologic lesions. The treatment of an impacted tooth was mostly orthodontic traction. The traction period was relatively short in cases with distinct obstacles, with an impacted upper incisor and if patients were younger. An orthodontic traction is considered to be more unfavorable if the patient gets older. Therefore, an early diagnosis and a precise treatment plan through a regular check-ups are mandatory.

Comparison of multiscale multiple change-points estimators (SMUCE와 FDR segmentation 방법에 의한 다중변화점 추정법 비교)

  • Kim, Jaehee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2 no.4
    • /
    • pp.561-572
    • /
    • 2019
  • We study false discovery rate segmentation (FDRSeg) and simultaneous multiscale change-point estimator (SMUCE) methods for multiscale multiple change-point estimation, and compare empirical behavior via simulation. FSRSeg is based on the control of a false discovery rate while SMUCE used for the multiscale local likelihood ratio tests. FDRSeg seems to work best if the number of change-points is large; however, FDRSeg and SMUCE methods can both provide similar estimation results when there are only a small number of change-points. As a real data application, multiple change-points estimation is done with the well-log data.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Ti alloy for Removable Partial Denture (국소의치용 티타늄 합금의 부식 특성)

  • Kim, Jeong-Jae;Kim, Won-G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4
    • /
    • pp.237-242
    • /
    • 2014
  • In this study, surface characteristics and corrosion behaviors have been investigated in addition to Zr elements on the low elastic modulus Ti-30Ta alloy. Low elastic modulus Ti-30Ta-xZr(x : 3, 7 and 15 wt %) alloys were prepared by arc melting and then heat treated at $1000^{\circ}C$ for 24 hrs in an argon atmosphere. Microstructures of the alloys were examined by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FE-SEM) and X-ray diffractometer(XRD). Electrochemic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a conventional three-electrode configuration with a sample working electrode, a high density carbon counter electrode and a saturated calomel reference electrode. According to the result of polarization behavior in the Ti-30Ta-xZr alloys, the current density of homogenized Ti-30Ta-15Zr in the passive region was lower than the other alloys.

금속나노와이어를 이용하여 제작한 박막의 특성 향상을 위한 나노용접에 관한 연구

  • O, Ji-Su;Yeom, Geu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118-118
    • /
    • 2018
  • Indium tim Oxide (ITO) 의 idium 공급 제한과 그 고유한 특성상 유연기판에 적용에는 한계가 있어 대체 물질 개발이 활발히 이뤄지는 가운데, 금속나노와이어는 그 중에서도 각광받는 물질 중 하나이다. 금속나노와이어 네트워크는 높은 전기 전도성, 투명성과 같은 많은 이점을 가지며 유연기판에 다양한 방법으로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금속나노와이어는 자체의 고유한 표면 거칠기 및 접착 문제 등으로 인해 그 한계를 가지며, 또한 polynivnylpyrolidone (PVP)의 코팅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나노와이어 간의 높은 접촉저항 및 junction 문제는 해결과제로 남아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금속나노와이어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유도전류에 의해 와전류를 발생시켜 나노와이어 junction 부분에서 짧은 시간동안 국소적으로 용접시킬 수 있는 induction coil system을 구축하였다. 금속나노와이어 전극 기판의 투명도를 유지하며 기판과 나노와이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electric field를 통해 nano-welding 하는 효과를 기대하였다. 그 결과, 실험에 사용한 은나노와이어와 구리나노와이어는 초기 투과도를 유지하면서 면저항을 각각 약 68 %, 50%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표면 이미지 측정을 하여 표면 거칠기도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으며, welding됨에 따라 내구성 향상에도 영향을 미쳤음을 bending test 와 adhesion test를 통해 그 특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와전류를 이용한 나노용접 방법은 건식방법이며 열이 직접적으로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 종류의 금속 나노와이어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하며, 짧은 시간과 저렴한 비용으로 넓은 영역에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져 다방면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Spatiotemporal Agricultural Drought Damage and Its Relationship with Hydro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Drought Events for Recent 40 Years (최근 40년간 가뭄사상의 수문기상학적 특성 및 시공간적 변화와 농업가뭄피해)

  • Woo, Seung-Beom;Nam, Won-Ho;Kim, Tae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92-392
    • /
    • 2020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의 규모 및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1994-1995년, 2000-2001년 전국적으로 발생했던 가뭄 상황과 달리 2010년 이후의 가뭄은 지역별로 편중되어 내리는 강수때문에 국소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2011년부터 2018년까지 연속적으로 국지적인 가뭄이 발생하였고, 2017년에는 경기, 충남,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극심한 가뭄이 발생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강수부족으로 기상, 수문학적 가뭄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농업용 수리시설물에 의한 농업용수 공급이 가능하고, 양수장, 관정 등 농업용수 공급의 형태가 다양하기 때문에 실제로 농업현장에서 체감하는 농업가뭄피해는 시공간적으로 상이하다. 따라서, 강수 부족으로 인한 가뭄사상의 발생에 따른 수문기상학적 특성 및 시공간적인 분포 특성과 농업가뭄피해의 발생 현황,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율 변화 및 농업용수 이용과의 관계는 향후 농업가뭄의 지역별 가뭄대책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가뭄에 대하여 정량적인 가뭄피해를 분석하기 위하여 지역별 가뭄발생면적 및 쌀 생산량과 가뭄사상의 수문기상학적 특성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최근 40년간 강수량, 표준강수지수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SPI), 표준강수증발산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SPEI) 등의 가뭄지표인자와 쌀 생산량, 농업용 저수지 저수율 자료 등 관련 인자들을 수집하여, 농업가뭄발생 및 피해면적과의 정량적인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Comparison of Terra MODIS NDVI and Drone NDVI for Agricultural Drought Monitoring (농업가뭄모니터링을 위한 Terra MODIS NDVI와 드론 NDVI의 비교)

  • Jung, In-Kyun;Kang, Su-Man;Nam, Won-Ho;Jung, Kwa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96-396
    • /
    • 2018
  • 우리나라의 가뭄은 통계적으로 5~6년 주기로 발생해 왔으나 최근에는 가뭄의 발생 빈도가 점점 증가하고 주기 또한 짧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가뭄의 패턴 또한 지속적이고 국지적으로 강하게 나타내는 경향이 있어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2017년도에는 모내기가 시작되어야 할 시기에 극심한 물 부족으로 이앙시기가 지연되고 밭작물이 마르는 피해를 겪었다. 국가가뭄정보센터의 2017년 가뭄예경보 자료에 따르면, 1~7월에는 안성, 서산, 홍성 지역을 중심으로, 7~9월에는 남해안지역을 중심으로, 10월~12월에는 울주, 경주, 밀양 지역을 중심으로 가뭄이 나타났음을 확인 할 수 있다. 가뭄 파악을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인공위성영상을 활용한 원격탐사 기법이 있으며, 국내에서는 관측주기가 짧고 관측폭이 넓은 Terra MODIS 영상을 활용하는 연구 사례를 다수 찾아볼 수 있다. 최근에는 드론에 NIR, 열화상, 초분광 카메라 등을 탑재하여 탐지범위가 국소적이지만 가뭄에 따른 작물의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드론을 이용한 가뭄지역의 영상특성을 분석하는 기초자료를 구축하기 위하여 2017년 극심한 가뭄이 발생하였던 안성지역을 대상으로 Terra MODIS NDVI를 이용한 식생상태지수(VCI), 정규식생지수(SVI)를 분석하여 가뭄으로 추정되는 드론촬영 대상지역을 파악하였으며, 선정된 지역을 대상으로 R-G-NIR 카메라를 탑재한 드론 촬영을 실시하였다. 드론영상의 전처리를 통하여 고해상도 NDVI영상을 작성하고 지상의 작물 및 토지이용 상태에 따른 NDVI 분포특성과 Terra MODIS NDVI와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