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방정보통신망

Search Result 43,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Study on utilizing Virtual Private Network in National Defens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s (국방정보통신망 VPN 활용에 관한 연구)

  • 전영남;남길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468-472
    • /
    • 2002
  • 미래전에 능동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제 전장 요소를 연결하여 지휘결심관련 정보를 신속하고 신뢰성 있게 유동시킬 수 있는 기반체계 구축과 구축된 체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네트워크 보안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국방정보통신망 기반체계인 DISN(Defense Information Systems Network) 구조와 보안체계를 살펴본 후, 확장성, 보안성, 생존성이 향상된 경제적인 국방정보통신망 구축을 위해 전용망 내부의 보안강화와 전용망 기반의 국방정보통신망과 연결하기 위한 인터넷기반 VPN의 안전성 보장을 위해 다양한 보안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IPSEC VPN의 국방정보통신망 활용 모델을 제안한다.

  • PDF

Improving the Backbone Architecture of the National Defence Information System Network (국방정보통신망 백본구조 개선 방안)

  • Kim, HanKwan;Lee, KilSup;Lee, Sung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1295-1298
    • /
    • 2004
  • 국내 정보화 서비스 수준의 향상과 멀티미디어 유형의 자료의 증가로 초고속 광 네트워크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국방정보통신망은 ATM 기술을 기반으로 한 백본 망을 구성하여 운영 중이나 최근에는 매년 평균 1.5배 규모로 통화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수년 내에 현 백본 망에서 수용할 수 있는 통화량의 한계점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어 백본구조의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고속 광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국방정보통신망의 백본구조를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최신 광 전송 및 네트워크 기술을 살펴보고, 실행 가능한 2가지 대안을 제시한다. 이어서 이들 대안들에 대한 장점, 제한사항 그리고 정량적인 비용분석을 통하여 최적안을 제안한다. 그 결과 국방정보통신망의 5년간 증설 및 운용유지 비용에서 28% 정도를 절감하면서 통화량 수용능력을 최소 1.7배 이상 확대하여 차후 망의 증설에 대비한 유연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 PDF

A Design of a Web-based IPv6 Migration Support System (웹 기반 IPv6 전이 지원 시스템 설계)

  • 연제길;이길섭;이승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c
    • /
    • pp.346-348
    • /
    • 2004
  • 현재, 인터넷이 정보화 사회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를 매김에 따라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었고, 이로 인한 주소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한편, 국방정보통신망에서도 통신대상의 증가 및 서비스 품질보장, 전술통신체계의 이동성 및 생존성 보장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주소부족 문제 해결, 이동성, 보안성, QoS 보장 서비스 등 다양한 기능 지원이 가능한 IPv6의 도입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국방정보통신망에서의 IPv6 도입 전략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미 시작된 IPv6 도입 전략과 연계하여 본 논문에서는 우리 군에 IPv6로의 전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웹 기반 IPv6 전이 지원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그리고 설계된 체계를 활용하여 국방정보통신망 시스템 자원을 기반으로 IPv6 전이 지원 절차에 따라 점검 자원 DB를 구축한다. 웹 상에서 IPv6로의 전이 요청 부대 실무자가 전산자원에 대한 전이절차 정보 및 예산산출 정보를 지원 받음으로써 IPv6로의 전이를 체계적이고 신속하게 지원하게 된다.

  • PDF

A Method for IPv6 Address Assignments of the Next Generation Defense Network (차세대 국방정보통신망을 위한 IPv6 주소 할당 방안)

  • Kim, Kwon-Il;Lee, Sang-Hoon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4 no.4
    • /
    • pp.441-445
    • /
    • 2008
  • Korean military is propelling the M&S on new warfare concept, such as NCW(Network Centric Warfare) which is the aspect of future war. IPv6 is the essential element of next generation defense network which is supporting the future battlefield.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allocating the IPv6 address for next generation defense network. However, they assigned the address by level on the basis of the military organization or assigned it from the service network, so it had the defect, the big size routing table. This study reviews the topology of next generation defense network and adjusts the position of service network ID on the basis of the network topology. Finally, it improved the efficiency of route aggregation and minimized the routing table size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studies and it was proved by OPNET simulator.

차세대 공중 전술국방통신망을 위한 서비스 시나리오에 따른 주변 기지국 스캐닝 연구

  • Mun, Jeong-Min;Kim, Ju-Yeop;Jang, Ho-Jong;Eom, Ui-Seo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6 no.3
    • /
    • pp.16-23
    • /
    • 2009
  • 차세대 전술국방통신망에서는 기존 전술국방통신망의 용량 및 커버리지 확대 등을 위하여 고속이동성 기술, 용량 및 성능개선 기술, 망 구성관리 기술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속 400km 이상 고속으로 움직이는 차세대 공중 전술국방통신망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각 서비스별 문제점 및 한계 기술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여러 가지 한계기술 중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 중의 하나인 핸드오버를 위하여 단말이 가지는 제한된 정보를 통해 간단하게 주변 기지국을 스캐닝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차세대 공중 전술통신망에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Cybersecurity of The Defense Information System network connected IoT Sensors (IoT Sensor가 연결된 국방정보통신망의 사이버보안 연구)

  • Han, Hyun-Jin;Park, Dea-W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4 no.6
    • /
    • pp.802-808
    • /
    • 2020
  • The IoT(Internet of Things) i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sensor technology and high-spee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the number of IoT connected to the network is increasing more than the number of people, and the increase is also very fast. In the field of defense, IoT is being deployed in various fields such as operations, military, base defense, and informatization, and the need is also increasing. Unlike the existing PC/server information protection system, cyber threats are also increasing as IoT sensors, which are vulnerable to information protection, are increasing in the network, so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latform to protect the defen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we investigated the case of connecting wired and wireless IoT to the defense network, and presented an efficient interlocking design method of the IoT integrated independent network with enhanced security by minimizing the contact point with the defense network.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 Defense PKI for Information Assurance (정보보증을 위한 국방PKI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 김종문;남길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637-641
    • /
    • 2002
  • 현재 국방부는 국방 정보 통신망에서 소통되는 정보에 대한 기밀성 및 무결성을 보장하고, 접근통제, 사용자 식별 및 인증, 부인봉쇄 등의 보안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국방 인증체계 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은 미 국방부의 미 국방 PKI를 연구하고, 현재 우리 군에서 추진하고 있는 국방 인증체계 구축 노력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여 앞으로 우리 군이 국방 인증체계 구축을 위해 추진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Prevention against Malware Infection defending the Threat of Cyberwarfare in Defense Network (국방정보통신망에서 사이버공격에 대비한 악성코드 감염 예방에 관한 연구)

  • Kim, Sung-Hwan;Park, Min-Woo;Eom, Jung-Ho;Chung, Tai-M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635-638
    • /
    • 2012
  • 2011년 Stuxnet의 출현을 기점으로 사이버공격이 보다 정밀화 구체화 되고 있으며 사이버전의 주요 무기라 할 수 있는 악성코드들의 특정 국가산업 기관시스템에 대한 직접적이고 지속적인 공격 시도가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전의 개념, 악성코드 관련 동향과 공격행위별 감염대상 등을 살펴보고, 국방정보통신망에서 사이버공격에 대비한 악성코드 감염 예방방안을 제안한다.

전력화 정보통신체계-Military ISDN

  • Park, Yeong-Cheol;Yu, Seung-Mu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6 s.160
    • /
    • pp.58-65
    • /
    • 1992
  • 전력화 정보 통신체계란 통신의 전력화 요소를 적극적으로 발전시켜 다른 체계를 지원하는 것은 물론, 각종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며, 통신기법을 이용하여 통신자간의 거리 측정 및 위치 파악 기능 등을 제공함으로써 직접적으로 군 전략향상에 기여한다. 즉 전술통신망 및 전략통신망을 상호 연동운용하며, $C^3I$ 체계 및 조기경보/전장감시 체계를 적극 지원할수 있는 한국군 독자적인 정보 통신체계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전략화 정보 통신체계를 구현키 위한 군 종합정보통신망(MISDN)을 기술하고, 21세기를 위한 군 정보 및 통신기술 발전 전망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