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방정보자원관리

Search Result 45, Processing Time 0.055 seconds

A Method of CADM(Core Architecture Data Model) Development for Defense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국방 정보자원관리를 위한 한국형 핵심아키텍처데이터모델 개발)

  • 최남용;박성범;안재홍;이태종;진종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238-240
    • /
    • 2003
  • 현재 국방부에서는 국방정보체계간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아키텍처 산출물을 쉽고 일관성 있게 개발할 수 있는 국방 아키텍처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있다. 따라서 개발된 아키텍처 산출물을 저장하여 재사용하고 국방 전반의 아키텍처 정보의 교환, 비교, 통합을 용이하게 하는 핵심아키텍처데이터모델의 개발이 필요하다. 핵심아키텍처데이터모델은 국방 아키텍처 프레임워크에서 도출된 데이터 요구사항을 통해 엔티티를 추출하고 관계를 정의하였으며 실사례를 통해 엔티티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전군의 아키텍처에 대한 공통의 데이터 모델을 제공하여 국방정보체계에 대한 통합적인 정보자원관리와 상호운용 및 통합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governance of using soldier's smartphone Management system on the National Defense Cloud (국방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폰 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병사 스마트폰 거버넌스 방안에 관한 연구)

  • Moon, Seung-Joo;Lee, Jae-D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05a
    • /
    • pp.60-62
    • /
    • 2022
  • 본 논문은 국방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병사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거버넌스의 방안을 연구한다. 2020 년부터 군 부대 내에서 병사의 스마트폰의 사용이 전면 시행되었다. 하지만 대량의 병사 스마트폰을 인적자원을 통해 관리하기 때문에 많은 인적자원 리소스가 필요하고, 보안이 중요한 부대 특성상 보안 점검을 사유로 인권침해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군 부대 특성을 고려한 거버넌스를 정의하고 도입할 필요가 있다. VMI(Virtual Mobile Infrastructure) 시스템을 이용한 국방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폰 관리 시스템은 스마트폰을 군 보급품으로 지급하고 모든 스마트폰 프로세스 및 데이터를 중앙 서버를 통해 관리한다. 본 논문에서는 국방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폰 거버넌스를 정의하고 중앙 서버를 통해 모든 스마트폰의 프로세스와 데이터를 관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를 관리적, 보안적 측면에서 연구하였다.

A Development Technique of Core Architecture Data Model(CADM) for Defense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국방 정보자원관리를 위한 핵심아키텍처데이터모델 개발 기법)

  • Choi, Nam-Yong;Jin, Jong-Hyeon;Song, Young-Jae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1D no.3
    • /
    • pp.683-690
    • /
    • 2004
  • MND(Ministry of National Defense) has developed .nm AF(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rchitecture Framework) to guarantee interoperability among defense information systems. Users can easily and consistently develop architecture products through MND AF. There is necessity for development if CADM(Core Architecture Data Model), which facilitate exchange, integration, and comparison for architecture data, to store architecture data from architecture products and reuse them. We developed CADM from defining entities and relationships that satisfy data requirement of each architecture product from MND AF. After we developed architecture products about MIMS(Military Intelligence Management System), and inserted these architecture data to CADM repository. we verified CADM entities and relationships through query. Through CABM which provides common data model for the whole my architectures, interoperability and integration among defense information systems ran be improved, and integrated defense information resources efficiently can be managed.

21세기 국방과학기술의 발전방안(2)

  • Yu, Jung-Seok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4 s.242
    • /
    • pp.70-81
    • /
    • 1999
  • 군사규격의 국산화와 규격완화검토를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규격검토 연구팀'을 상설하고, 상용제품의 경우에도 시장성과 상용성이 뛰어난 제품을 군수품으로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군수품관리법을 개정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기술개발사업시 기술정보 및 기술개발 자원교류 체제의 미흠으로 발생되는 중복투자 등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서 기술정보 교류 및 안보기술개발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 PDF

The Design Strategy for Implementing the Integrated Defense Information Management Center (국방통합정보관리센터 설계)

  • Suh, Ye-Young;Kim, Young-Do;Ahn, Byung-Oh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516-520
    • /
    • 2005
  • 최근 국내 ${\cdot}$ 외적으로 통합데이터센터의 출현으로 전산운영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우리군도 정보기술 추세에 따라 국방통합정보관리샌터 구축을 추진 중이나, 예산 부족과 현실적 적용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방통합정보관리센터는 군의 정보자원 통합으로 기동성 보장과 단순화 및 정보화의 인프라를 제공하며, 향후 전장에서 무기체계 효과를 십분 발휘하기 위한 필수적 요소라 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우리 군의 국방통합정보관리센터 구축을 위한 추진 방안을 제시하고 방안별 비교를 통한 방안의 적절성을 검증하였다.

  • PDF

A Study Defence Information Business acrosstheboard influence defence Enterprise Architecture (국방EA가 국방정보화 사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Kim, Seung-Bum;Yang, Hae-Sool;Jeon, In-Oh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316-319
    • /
    • 2008
  • 국방 정보화 사업은 국방개혁 "2020"의 핵심인 작지만 강한 군대건설을 위해서 네트워크 중심의 개념 및 교리 발전, 각급 전장 요소에 정보기술 능력을 장착하여 지능화 및 정밀화, 전력요소 네트워크화를 충족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및 광역 동시전파가 가능한 정보우위를 달성하기 위해 전사적 아키텍처(EA : Enterprise Architecture) 기반의 종합발전계획(Master Plan)을 수립 시행하고 있는 가운데, 국방 전장관리, 자원관리, 정보 통신망, 컴퓨터 체계, 정보보호, 정보화 환경 등에 국방EA 사업이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A Study on the Analysis of Information Management of the Defense M&S and Improvement of Aquisition Supporting System (국방M&S 정보관리 현황분석 및 획득업무 지원체계 개선방안 연구)

  • Jeong, Hye-soo;Ahn, Ho-il;Yang, Jin-seok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21 no.2
    • /
    • pp.131-138
    • /
    • 2020
  • The SBA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is constructed and operated for scientific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Defense information utilizing whole process of weapon system acquisition from requirement institution to operation maintenance. In order to utilize m&s resources actively and effectively in the life cycle of weapon system acquisition, efficient management plans of the SBA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is required. As a result of identifying usage on SBA Information system and performance of operation performance measurement, it was defined that establishment of the SBA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process and provision of detailed system are mandatory for activating m&s resource and supporting process of acquisitions. In this study, Defense m&s information system is analyzed and improvement plans of SBA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is provided for efficient operation of SBA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A Study DH the Identification Of Critical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Application Areas in the Defence Side (국방부문 핵심지능정보기술 식별 및 활용방안 연구)

  • 김화수;이승구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407-416
    • /
    • 2000
  • 국방 부문에 종사하는 관리자들은 국방정보시스템 사업관리에 있어서 최신정보기술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은 알고있어야 효율적이고 효과적이며 성공적인 사업관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국방 부문에 종사하는 관리자들이 저비용 고효율의 국방정보시스템을 건설하고 운영 유지관리 하기 위하여 알아야 할 핵심 및 최신정보기술은 크게 인공지능기술, 멀티미디어 정보화 기술, 가상현실 기술, 시뮬레이션 기술, 텔레프레즌스 기술, 나노테크놀로지 기술, 데이터베이스 기술, 병렬처리 기술, 로봇공학 기술, 소프트웨어 공학에 관련된 기술 등이 있다. 그러나 국방부문에 종사하는 정보통신 전문 인력을 제외한 관리자들이 국방관련 사업관리를 수행하면서 정보기술에 대한 이해 수준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국방사업을 준비, 계획, 추진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국방부문에 종사하는 관리자들이 정보기술을 알기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국방부문 핵심지능형정보기술 발전 및 군 활용방안을 이해하기 쉽도록 작성하며 효율적인 사업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국방부문핵심 지능정보기술 식별 및 활용방안을 연구하여 핵심적으로 식별된 사항들을 우리 국방부문의 $C^4$I(지휘, 통제, 통신, 컴퓨터시스템)시스템, 내장형 무기시스템, 각종 교육훈련 정보시스템, 자원관리 정보시스템 등에 어떻게 적용할 것이며 적용시 기대효과는 무엇인가를 제시토록 하여 국방부문에 종사하는 관리자들이 각종 국방사업을 조정, 통제, 확인, 감독, 준비/계획하면서 참고하여 저비용 고효율의 국방관련 각층 사업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키도록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방관련 각종 사업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키도록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방부문 핵심지능정보기술 발전 및 활용 방안에 포함될 주요 내용을 요약하여 제시하였다.의 경향성을 나타내는 오차 주기(error cyc1e)를 이용함으로써 고객들의 수요의 경향성을 좀 더 세밀한 부분까지 파악할 수 있게 해 준다.ction, secondary electron microscopy, atomic force microscoy, $\alpha$-step, Raman scattering spectroscopu,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및 micro hardness tester를 이용하여 기판 bias 전압이 DLC 박막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제작된 DLC 박막은 탄소와 수소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정질 상태임을 알 수 있었다. 기판 bias 전압의 증가에 따라 박막의 두께가 감소됨을 알 수 있었고, -150V에서는 박막이 거의 만들어지지 않았으며, -200V에서는 기판 표면이 식각되었다. 이것은 기판 bias 전압과 ECR 플라즈마에 의한 이온충돌 효과 때문으로 판단되며, 150V 이하에서는 증착되는 양보다 re-sputtering 되는 양이 더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기판 bias 전압을 증가시킬수록 플라즈마에 의한 이온충돌 현상이 두드러져 탄소와 결합하고 있던 수소원자들이 떨어져 나가는 탈수소화 (dehydrogenation)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것은 C-H 결합에너지가 C-C 결합이나 C=C 결합보다 약하여 수소 원자가 비교적 해리가 잘되므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난다고 판단된다. 결합이 끊어진 탄소 원자들은 다른 탄소원자들과 결합하여 3차원적 cross-link를 형성시켜 나가면서 내부 압축응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hardness 시험 결과로 이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표면거칠기는 기판 bias 전압을 증가시킬수록 더 smooth 해짐을 확인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