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국방정보기술표준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8초

기술참조모델과 표준프로파일 관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echnical Reference Model and Standard Profile Management System)

  • 최남용;송영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5호
    • /
    • pp.729-736
    • /
    • 2005
  • 현재 국방부에서는 국방정보체계간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아키텍처산출물을 쉽고 일관성이 있게 개발할 수 있는 국방아키텍처프레임워크와 개발된 아키텍처산출물을 저장하는 핵심아키텍처데이터모델을 개발하였다. 국방아키텍처프레임워크에 정의된 기술참조모델과 표준프로파일 산출물은 정보기술아키텍처의 핵심 부분이며 상호운용성 보장의 핵심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술참조모델과 표준프로파일의 기술서비스와 표준을 관리하는 알고리즘과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기술참조모델과 표준프로파일 산출물의 효율적인 작성 및 관리와 정보체계간의 상호운용성 보장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국방 상호운용성 시험 표준기술

  • 김영구;조병인
    • 정보와 통신
    • /
    • 제28권4호
    • /
    • pp.11-17
    • /
    • 2011
  • 본고에서는 국방 무기체계 상호운용성 시험을 위한 표준 기술 중 하나인 TTCN-3(Testing and Test Control Notation version 3)에 대해 소개하고, 국방 분야 적용 방안을 제시한다.

국방과학기술 정보의 분류체계 고찰

  • 허아라;류연승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25-32
    • /
    • 2018
  • 국방과학기술 중 국가안보를 위해 보호해야 하는 기술을 방위산업기술로 정의하고 있다. 방위산업기술보호법의 대상기관은 보유 또는 연구개발 중인 방위산업기술을 식별한 후, 방위산업기술 정보를 적절한 보호등급으로 분류하여 보호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방과학기술 정보의 분류체계 국가 표준이 수립되어야 하지만 아직까지 분류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고 대상기관 별로 자체 내규로 정하도록 지침이 마련 중으로 향후 혼란을 야기할 수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행 국방과학기술 정보의 분류체계와 미국 국방부의 과학기술 정보의 분류체계를 비교하고 발전방향을 고찰해본다.

국방정보기술표준 일반 표준적합성시험 프레임워크 및 방법론 연구 (A Study on General-Standard Conformance Test Framework and Methodology of Defense Information Technical Standard)

  • 서민우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744-751
    • /
    • 2016
  • Interoperability tests are required to determine whether network-based defense systems successfully share and exchange certain services, information, and data. We must examine various aspects of interoperability. The DITA (Defense Information Technical stAndard) is the basis for interoperability. However, DITA is being applied to the defense system in a state that the standard test methods and procedures are not established. And there is no test method and procedure of the DITA well applicable to military weapons systems or information system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framework that includes procedures, methodologies, so as to test whether a standard is applied to the DITA in terms of Standard Conformance Test.

군수업체에서의 표준.규격 활용실태 조사 연구 (I) (Survey on the Application of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in Munitions Companies (I))

  • 최기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4774-4779
    • /
    • 2010
  • 군수제품 생산업체 및 조달업체를 대상으로 국방규격 및 인용표준 규격에 대한 활용실태와 내용에 대한 유효화(최신화) 확인 방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업체별로 보유 또는 활용하고 있는 표준 규격 수를 살펴보면, KS, 국방규격, 미국 군사규격의 순으로 많이 보유하였으며, KS 구입을 위해서는 연간 40만원을, 해외 표준 규격 구입을 위해서 연간 133만원을 지불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해외 표준 규격은 언어적인 문제, 정보 접근방식의 모호성, 표준 관련기관의 부재 등으로 인해 KS나 국방규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동적으로 최신 정보를 얻고 있었다. 또한, 설문대상 업체에서는 국방규격 정비(인용규격 최신화 및 KS 부합화) 및 관련 DB 검색 서비스 제공에 대한 요구도가 매우 높아, 보다 효과적인 국방규격 통합 관리시스템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방 빅데이터/인공지능 활성화를 위한 다중메타데이터 저장소 관리시스템(MRMM) 기술 연구 (A Research in Apply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on Defense Metadata using Multi Repository Meta-Data Management (MRMM))

  • 신우택;이진희;김정우;신동선;이영상;황승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69-178
    • /
    • 2020
  • 국방부는 감소되는 부대 및 병력자원의 문제해결과 전투력 향상을 위해 4차 산업혁명 기술(빅데이터, AI)의 적극적인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국방 정보시스템은 업무 영역 및 각군의 특수성에 맞춰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으며,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극 활용하기 위해서는 현재 폐쇄적으로 운용하고 있는 국방 데이터 관리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다. 그러나, 국방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도입을 위해 전 정보시스템에 데이터 표준을 제정하여 활용하는 것은 보안문제, 각군 업무특성 및 대규모 체계의 표준화 어려움 등으로 제한사항이 있고, 현 국방 데이터 공유체계 제도적으로도 각 체계 상호간 연동 소요를 기반으로 체계간 연동합의를 통해 직접 연동을 통하여 데이터를 제한적으로 공유하고 있는 실정이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국방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국방 데이터를 공유하여 잘 활용할 수 있는 제도마련이 시급하고, 이를 기술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국방상호운용성 관리지침 규정에 따라 도메인 및 코드사전을 생성된 국방 전사 표준과 각 체계별 표준 매핑을 관리하고 표준간 연계를 통하여 데이터 상호 운용성 증진을 지원하는 국방 데이터의 체계적인 표준 관리를 지원하는 다중 데이터 저장소 관리(MRMM)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국방 구현을 위해 가장 기본이 되는 국방 데이터의 도메인 및 코드사전을 생성된 국방 전사 표준과 각 체계별 표준 매핑을 관리하고, 표준간 연계를 통하여 데이터 상호 운용성 증진을 지원하는 다중 데이터 저장소 관리 (MRMM) 기술을 제시하고, 단어의 유사도를 통해 MRMM의 실현 방향성을 구현하였다. MRMM을 바탕으로 전군 DB의 표준화 통합을 좀 더 간편하게 하여 실효성 있는 국방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데이터 구현환경을 제공하여, 스마트 국방 구현을 위한 막대한 국방예산 절감과 전투력 향상을 위한 전력화 소요기간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

대화형 전자기술 교본(IETM)소개(2)

  • 박정호
    • 국방과기술
    • /
    • 11호통권225호
    • /
    • pp.66-69
    • /
    • 1997
  • 정보혁명과 멀티미디어는 현 시대를 대변하는 2가지 큰 특징이라 말할 수 있다. 정보의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 정보의 형태 또한 여러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보다 많은 정보를, 보다 앞선 멀티미디어 기술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우리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부분일 것이다. IETM은 CALS의 문서에 관한 표준인 SGML을 근간으로 이루어졌으며, 기술문서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고 있다.

  • PDF

대화형 전자기술 교본(IETM)소개

  • 박정호
    • 국방과기술
    • /
    • 10호통권224호
    • /
    • pp.58-61
    • /
    • 1997
  • 정보혁명과 멀티미디어는 현 시대를 대변하는 2가지 큰 특징이라 말할 수 있다. 정보의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 정보의 형태 또한 여러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보다 많은 정보를, 보다 앞선 멀티미디어 기술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우리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부분일 것이다. IETM은 CALS의 문서에 관한 표준인 SGML을 근간으로 이루어졌으며, 기술문서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고 있다.

  • PDF

국방메타데이터 기반 아키텍처메타모델(AMM)의 논리데이터모델(OV-7c) 제안 (A Logical Data Model (OV-7c) Suggestion from MND-Meta-data-based Architecture Meta Model)

  • 박범식;이태공
    • 정보화연구
    • /
    • 제10권3호
    • /
    • pp.315-321
    • /
    • 2013
  • 우리군은 국방 아키텍처프레임워크(MND-AF)를 제정하여 전군적, 기관별, 단위시스템 아키텍처를 개발할 때 적용하고 있다. MND-AF의 아키텍처메타모델(AMM)은 국방아키텍처 산출물에서 정의된 아키텍처 정보의 구조를 조직화하고 정보간의 관계를 묘사하고, 참조모델 및 국방 상호운용성 표준인 정보기술표준, 공통컴포넌트, 국방메타데이터 등과 연계를 통해 표준을 기반으로 상호운용성 달성을 지원해야 한다. 그러나 AMM을 살펴보면 상호운용성 표준과의 연계성이 미흡하여 단위시스템 아키텍처를 개발할 때 상호운용성 표준을 원활하게 적용하는 것이 제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위시스템 아키텍처를 개발할 때 국방 상호운용성 표준으로 관리되는 국방메타데이터 적용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국방메타데이터 기반 아키텍처메타모델의 논리데이터모델(OV-7c)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