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국립암센터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31초

활성추적분리법에 의해서 순수분리한 마늘 N-benzyl-N-methyldecan-1-amine이 CT-26 세포주 이식 BALB/C mice의 항암효과 (Activity-guided Purification of N-benzyl-N-methyldecan-1-amine from Garlic and Its Antitumor Activity against CT-26 Colorectal Carcinoma in BALB/C Mice)

  • 라자세카 시타르만;최성미;궈루;추이정웨이;두리마 오타곤바야르;박주하;권영석;곽정호;권영희;민지현;강점순;최영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0호
    • /
    • pp.1062-1070
    • /
    • 2019
  • 마늘(Allium sativum)의 주요 생리활성 성분들은 다양한 종류의 암에 대해 항암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활성추적분리방법(activity-guided purification)을 이용하여 마늘의 항암성분을 발굴하고자 하였다. 마늘 에탄올 추출물을 칼럼크로마토그래피로 얻은 각각의 분획물에 대해서 AGS세포의 증식 억제율을 검증하여 가장 효과가 좋은 분획물로부터 물질을 순수분리하여 구조를 동정한 결과 N-benzyl-N-methyldecan-1-amine (NBNMA)로 밝혀졌다. NBNMA의 암생장 억제효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CT-26, AGS, HepG2, HCT-116, MCF7, B16F10 및 Sarcoma-180 세포에 대한 in vitro 효과와 CT-26 결장암 세포를 마우스에 이식한 다음 in vivo 효과를 조사하였다. NBNMA는 Bcl-2의 down-regulation과 Bad의 up-regulation을 유도하여 CT-26 세포의 세포사멸 촉진시켰다. 또한, NBNMA는 세포사멸의 외적 및 내적 경로에서 caspases 억제자인 caspase 3과 caspase 9의 활성을 약간 증가시켰다. CT-26세포를 이식한 쥐에 $19.13{\mu}M/kg$의 NBNMA를 21일 동안 경구투여한 결과 암종의 크기가 43% 감소하였다. NBNMA는 in vitro 및 in vivo에서 항암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마늘로부터 순수분리한 NBNMA가 대장암치료를 위한 항암제 후보물질로서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암센터에서 치료한 설암 환자의 생존율 분석을 통한 예후인자 분석 (Clinical Outcome of the Squamous Cell Carcinoma of Tongue: Experience of National Cancer Center)

  • 김태운;조세형;민승기;이종호;김명진;박주용;최성원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2권6호
    • /
    • pp.537-543
    • /
    • 2010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urvival rate and influencing factors. Patients and Methods: We studied 10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ongue and received curative treatment in oral oncology clinic of National Cancer Center from June 2001 to December 2009. Results: We foun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 of tongue cancer was 67.0%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2. A lower survival rate was shown in patients under 40 years (42.2%) than over 40 years (75.5%)(P < 0.05). 3. 5-year survival rates of patients with tongue cancer classified by pTNM classification were 87.4% in early stage and 43.3% (P < 0.05). 4. A higher survival rate was seen in patients without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82.0% > 44.1%)(P < 0.05). 5. A higher survival rate was seen in patients of tongue cancer with higher differenciation grade (P < 0.05). 6. It is well known that drinking and smoking have great influence on the survival rate of patients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tongue. But thes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 of tongue cancer was 67.0% and it was mostly influenced by factors like age, pTNM stage,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differentiation of cancer cell etc.

항암치료로 인한 빈혈의 치료에서 Epoetin Alpha 주일회요법과 주삼회요법의 약효 비교 연구 (Effectiveness of Once-weekly Compared with Thrice-weekly Subcutaneous Epoetin Alpha for the Treatment of Chemotherapy-induced Anemia)

  • 이윤덕;김경임;김영주;신완균;오정미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6-152
    • /
    • 2009
  • Purpose : 본 연구의 목적은 항암치료로 인한 빈혈환자의 치료에서 epoetin alpha (rHuEPO) 피하주사 시, 주일회 요법과 주삼회요법의 헤모글로빈(hemoglobin, Hb) 상승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Methods : 본 연구는 1999년 3월부터 2005년 3월까지 국립암센터에서 항암치료로 인한 빈혈로 epoetin alpha를 투여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의 자료를 후향적으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에 포함된 환자는 rHuEPO 10,000 IU 주삼회투여군(n = 127)과 20,000 IU 주일회투여군(n = 81)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들은 필요에 따라 경구용 철분보조제를 섭취하였다. Epoetin alpha 치료 시작 후 최대 8주까지 2주 간격으로 Hb 수치변화를 분석하였다. Results : 치료 시작 시점의 rHuEPO 10,000 IU 주삼회투여군과 20,000 IU 주일회투여군의 평균 Hb수치는 유사하였 다 (9.4 g/dL vs. 9.7 g/dL). Epoetin alpha 치료 후 8주까지 두 그룹간의 헤모글로빈 수치의 상승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57{\pm}1.39$ g/dL vs. $1.68{\pm}1.35$ g/dL, p=0.59). 또한 경구용 철분보조제 투여여부, cisplatin 포함 항암제 투여여부 및 성별에 따른 군의 분류에 있어서도 rHuEPO 10,000 IU 주삼회투여군과 20,000 IU 주일회투여군의 평균 Hb 상승수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onclusion : 한국인에서 항암치료로 인한 빈혈의 치료 시에 rHuEPO 20,000 IU 주일회투여 용법은 10,000 IU 주 삼회투여 용법과 유사한 Hb 상승효과를 가진다.

  • PDF

혁신행동이 분배공정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 상대적 업무 전문성 수준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Innovative Behaviors on Perceptions of Distributive Justice: Moderating Role of Relative Professionalism)

  • 오상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69-177
    • /
    • 2019
  • 과거부터 현재까지 공정성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관련하여 진행된 선행연구들은 대부분이 공정성의 결과변수에 대한 연구로, 공정성의 중요성에 대해 알게 해주었다는 큰 장점이 있다. 하지만, 동 연구결과들은 이미 지각한 공정성의 상태에 따라 조직구성원들의 행동이 달라진다는 점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 따라서 공정성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공정성의 선행요인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정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근로자 측면의 변수 및 그 관계를 조절하는 상황요인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한국행정연구원에서 공개한 '2017년 공직생활실태조사'를 활용하여 공무원의 혁신행동이 분배공정성 지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상황변수인 상대적 업무 전문성 수준이 변수간의 관계를 어떠한 방향으로 조절하는지를 분석하였다. 321명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회귀 분석한 결과 혁신행동은 분배공정성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이 지각한 상대적 업무 전문성 수준이 높을 때 혁신행동이 분배공정성 지각에 주는 긍정적 관계가 약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 성인의 백미와 김치 총 섭취량에 따른 영양상태와 대사증후군 위험도에 관한 연구: 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Risk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Intake of White Rice and Kimchi in Korean Adults: based on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5)

  • 김진수;안소현;손숙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25-537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hite rice and Kimchi intakes and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Mets) in Korean adults. Methods: Dietary intake and health data of 8289 subjects aged 19 years and over from the 2013-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were used. Daily total intake of white rice and Kimchi was assessed by 24-hour recall dat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stimate the risk of Mets according to the daily intake of white rice and Kimchi. Results: The highest intake of white rice and Kimchi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metabolic syndrome (Q1 vs Q5, multivariable adjusted OR=1.45, 95% CI: 1.03-2.03) in women. In addition, a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of elevated blood pressure (multivariable adjusted P for trend 0.0459)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intake of white rice and Kimchi in women. There was no significant trend in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the intake of white rice and Kimchi in men. Conclusions: A higher intake of white rice and Kimchi was on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women indicating it is necessary to consume more various food groups beside white rice and Kimchi, especially in women.

간호사의 폭력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olence Experience on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 백지범;강숙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570-578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언어적, 신체적, 성적 폭력경험을 파악하고, 이러한 폭력경험과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 실시한 2016년 보건의료 노동자 실태조사의 원시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국의 간호사 11,154명이었다. 본 연구 결과 과반수 정도(47.2%)의 간호사가 동료, 환자, 보호자로부터 언어폭력을 경험하였으며, 간호사의 75.3%가 이직의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폭력경험이 있는 간호사가 그렇지 않은 간호사보다 2.65배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폭력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를 감소시키는 조절 변수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간호사의 폭력 경험 극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연구를 시행할 것을 제안한다.

막걸리박 열수추출물이 db/db mouse에서 혈당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orean Turbid Rice Wine (Takju) Lees Extract on Blood Glucose in the db/db Mouse)

  • 이현숙;홍경희;윤철호;김재민;김순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19-223
    • /
    • 2009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akju lees extract on blood glucose levels in the db/db mice (a murine model of type 2 diabetes mellitus). We fed 40 male db/db mice a control diet (G0, AIN93G) and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1% (G1), 2% (G2), or 4% (G4) Takju lees extract for 4 weeks. We found no difference in food intake and body weight gain among the animal groups. In the G1 and G2 groups, plasma glucose levels decreased significantly between Days 10 and 21 compared with the G0 group. However, we found no difference in plasma glucose levels between groups G4 and G0. The change in insulin concentrations was not significant among these animal groups, and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lucose transporter 4 (GLUT4) expression in the soleus musc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akju lees extract has a beneficial effect in animals with type 2 diabetes.

소아완화의료에 대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기관 종사자의 인식 (Palliative Care Practitioners' Perception toward Pediatric Palliative Care in the Republic of Korea)

  • 문이지;신희영;김민선;송인규;김초희;유주연;박혜윤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2권1호
    • /
    • pp.39-47
    • /
    • 2019
  • 목적: 본 연구는 소아완화의료 대상 환자와 가족을 돌보는 전문기관 종사자의 환자진료 및 시스템 연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방법: 자료 수집은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기관(이하 전문기관)에 근로하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2017년 9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되어 총 61건의 자료를 수거하였다. 결과: 소아완화의료를 입원형, 자문형, 가정형 중 한가지 형태로라도 제공하고 있는 기관은 11기관(18.0%)이었으며, 지역별 분포는 서울, 경기, 인천, 경상 지역에 집중되어 있어 기타 지역에서는 활용 가능한 자원이 전무한 상황이다. 개입 시 장애요인은 '훈련된 전문인력을 확보하는 것의 어려움'이며, 비암성 소아청소년 환자의 경우 '예후 및 경과 예측의 어려움 47.5% (n=28)' 으로 확인되었다. 소아완화의료 구성형태는 '성인과 다른 소아청소년의 특성, 소아청소년 전문인력 필요, 관리 및 제도보완 필요'를 이유로 응답자 중 73.8% (n=45)이 별도의 소아완화의료팀 구성이 필요하다는 의사를 밝혔다. 개입시점은 '완치가능성이 적은 소아암 진단 시'부터 진행해야 하는 것이 33.7% (n=33)로 가장 높았으나 의뢰시점은 '사망시점을 예상하기 어려우나 지속적 악화상태인 경우'가 38.2% (n=39)로 가장 높아, 전문기관으로 의뢰 전 기존 치료 병원에서 개입을 진행되는 것을 선호하였다. 응답기관 중 14.8% (n=9)만이 추후 소아완화의료 제공에 참여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결론: 2018년 두 곳으로 시작한 소아청소년 완화의료 시범사업기관에 더해 지역별로 배치되어 있는 전문기관에서 소아완화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자원의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별도 소아완화의료 구성의 필요성을 인정함에도 소아완화의료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으로 실제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어려움이 있기에 우선적으로 소아완화의료 전문가를 양성하고 교육 개발 및 의뢰 시점에 대한 논의 등을 통하여 소아완화의료 확산에 대한 현실적 논의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고령층 1인 가구 여부와 미충족의료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elderly and unmet medical need)

  • 구본희;김민수;이현지;김재현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6-55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health policies for the unmet medical experience that may occur among the elderly depending on whether they live in a singleperson household or not. Methodology: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8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9-2020) and excluded cases with missing values in variables for the total number of respondent participants of 15,469. Finally, 2,850 subjects aged 65 or older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s of unmet medical needs, attempting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unmet medical needs through subgroup analysis considering gender, age, and household income.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in the c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 odds ratio (OR) for unmet medical needs was significantly higher at 1.60 times (95% CI: 1.16-2.21). Upon conducting subgroup analyses for gender, age, and household income quintiles, the OR was significantly higher at 2.24 times (95% CI: 1.14-4.41) for males and 1.48 times (95% CI: 1.02-2.14) for fema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cases. For individuals aged 65-69, the OR was significantly higher at 1.90 times (95% CI: 1.04-3.47), but for those aged 70-74 and over 75,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households with 'low' income, the OR was higher at 1.62 times (95% CI: 1.16-2.26), and for 'middle' income, it was significantly higher at 3.21 times (95% CI: 1.08-9.51).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unmet medical care is high among men who make up single-person households and low-income senior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policies to expand medical services and support welfare for single-person households should be established to resolve these problems, showing that health policies that take into account individu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needed to improve medical accessibility for single-person households.

  • PDF

북한이탈여성의 자녀양육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접근 (Study on the experience of defecting North Korea women in South Korea : Grounded Theory)

  • 홍나미;이인정;김고은;박근혜;최여희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1호
    • /
    • pp.307-343
    • /
    • 2010
  • 본 연구는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남한에 정착한 북한이탈 여성의 자녀양육 경험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론적 표본추출 방법을 통해 8명의 참여자를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근거이론접근의 지속적 비교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북한이탈여성의 자녀양육경험은 개방코딩으로 총 86개의 개념과 31개의 하위 범주, 11개의 범주로 구성되었다. 중심현상은 '멍울진 가슴으로 자녀 품기' 로 '고통을 안은 채 남한사회에 편입함', '탈북과정에서 자녀를 제대로 돌보지 못함' 이 인과적 조건이었으며,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은 '부정적 경험'과 '남한사회 적응의 한계 실감' 이었다. 중재적 조건은 '사회적 지지' 와 '삶에 대한 의지' 였고,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 '추스르며 버텨내기', '분투하며 맞서기' 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로 '자녀에게 미래걸기', '자녀의 적응과 변화에 안도하기' 로 분석되었다. 선택코딩으로 핵심범주는 '탈북의 상흔 감내하며 자녀에게 미래 걸고 버텨내기' 였으며, 과정분석으로 '진입기-직면기-분투기-재조정기' 의 4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자녀에게 미래걸기'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북한이탈여성이 남한 사회에서 자녀를 양육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 정책적, 임상적 방안 및 후속 연구를 위한 함의를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