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내 자생식물 추출물

Search Result 5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Screening of Korean Native Plant Extracts for Herbicidal Activities (국내 자생식물 추출물의 살초활성 탐색)

  • Park, Ye-Won;Chang, Joon-Hyeok;Kim, Kun-Wo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82-82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에 자생하는 자원식물들의 살초활성을 조사하여 식물생장억제물질을 활용한 환경친화형 제초제 개발에 요구되는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국내 자생 식물 101종을 식물체 부위별로 나누어 MeOH로 추출하여 획득된 시료 129점에 대해 돌피(Echinocholoa crus-galli P.B. var. formosensis Ohwi)를 이용한 살초활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시료를 소량의 methanol로 녹여 직경 5.5cm petri dish 상의 Whatman No. 2 여지에 균일하게 흡착시킨 후, fume hood 내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1mL의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돌피 종자를 15립씩 3반복으로 파종하여 $28^{\circ}C$, 5,000lux의 growth chamber에 치상하고, 7일 후 시험구 당 균일하게 자란 10개의 유묘를 선발해 초장 및 근장을 조사하였으며, 살초활성 평가를 위해 대조구 개체의 초장과 근장에 대한 생장억제율을 산출하였다. $1,000{\mu}g/mL$ 농도에서 101종 129점 MeOH 추출물들의 돌피 유묘 뿌리 생장에 대한 억제율을 조사한 결과, 80% 이상을 나타낸 식물 시료는 가죽나무 줄기, 누린내풀 지상부, 단풍취 뿌리, 두릅나무 지상부, 백양꽃 전초, 백양꽃 지하부, 병조희풀 경엽부, 산사나무 잎 가지, 삽주 뿌리, 상사화 전초, 상사화 지하부, 석산 뿌리, 애기송이풀 전초 등 17점이었다. 이들 중 90% 이상 고활성을 나타낸 단풍취 뿌리, 두릅나무 지상부, 백양꽃 전초, 상사화 지하부, 석산 뿌리 유래의 추출물에는 새로운 환경친화형 제초제 개발소재로써 활용할 수 있는 살초활성물질들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fficacy of callus induced from Ullengdo niche plants for skin protection (식물세포배양기술을 이용한 울릉도 자생식물의 세포주 개발 및 피부세포 효능)

  • Choi, Yun Hui;Jung, Hae Soo;Cho, Moon Jin;Song, Mi Young;Seo, Hyo Hyun;Moh, Sang H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8
    • /
    • pp.5070-5077
    • /
    • 2014
  • Many countries in the world have protected their native plants and utilized them as industrial materials in each country. In this aspect, it is increasingly important to develop cosmetics materials using native plants in Korea. Cosmetic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with niche plants, such as Campanula takesimana Nakai, Dianthus superbus, Aster spathulifolius in Ullengdo, in which a specific plant distribution by distinct climate and environment was present. Water and ethanol extractions were performed from the calluses of Campanula takesimana Nakai, Dianthus superbus, Aster spathulifolius. HPLC analysis revealed different compositions and functions of effective elements in each ethanol extract. For example, all types of ethanol extracts showed an ability to heal wounds. In particular, the expression of the inflammation-related gene, COX-2, was decreased in response to the ethanol extracts of Dianthus superbu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thanol extracts from niche plants' calluses in Ullengdo are natural and environmentally-friendly compounds, and can be used as medical supplies associated with anti-inflammation and wound healing.

국내 자생 물봉선속(Impatiens L.)의 항산화활성 및 생리활성물질 함량 차이 비교

  • 한세희;이경준;서혜민;박민주;이재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Conference
    • /
    • 2022.10a
    • /
    • pp.263-263
    • /
    • 2022
  • 물봉선속(Impatiens L.)은 일년생 또는 다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에 5-7종이 분포한다. 물봉선의 화장품용 항산화제 및 천연 방부제로서의 유용성이 밝혀졌으며, 최근 항염, 항산화 등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국내 자생하는 물봉선 및 노랑물봉선을 대상으로 수행된 바 있으나 이하 분류군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하는 물봉선속 분류군들의 항산화활성과 생리 활성물질의 함량을 분석하고 지역 간 분류군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국내 자생하는 물봉선속 분류군들의 항산화활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DPPH, ABTS, TPC, TFC 4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국내 자생하는 물봉선속 5분류군 가야물봉선(Impatiens atrosanguinea (Nakai) B.U.Oh & Y.P.Hong), 노랑물봉선(Impatiens noli-tangere L), 물봉선(Impatiens textorii Miq), 미색물봉선(Impatiens noli-tangere var. pallescens Nakai), 처진물봉선(Impatiens furcillata Hemsl)이 12개 지역에서 수집되었으며, 잎 추출물(70% 에탄올)에 대해 분석되었다. 물봉선속 분류군들의 잎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검정 결과 가야물봉선(4.91 ± 3.00 mgAAE/g)이 가장 높았고 처진물봉선(1.77 ± 0.55 mgAAE/g)이 가장 낮았으며, ABTS의 경우 가야물봉선(3.14 ± 1.35 mgAAE/g)로 가장 높았고 미색물봉선(1.87 ± 0.16 mgAAE/g)이 가장 낮았다. TPC의 경우 미색물봉선(5.48 ± 1.05 ugGAE)이 가장 높았고 노랑물봉선(2.78 ± 1.98 ugGAE)이 가장 낮았으며, TFC의 경우 물봉선(0.70 ± 0.20 ugGAE/g)이 가장 높았고 노랑물봉선(0.45 ± 0.08 ugGAE/g)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집지역별로는 각각 DPPH와 ABTS의 경우 노랑물봉선, TPC의 경우 가야물봉선, 노랑물봉선, 물봉선, TFC의 경우 처진물봉선이 지역별 차이를 보였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 자생하는 물봉선속 분류군 별 항산화활성과 생리활성물질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고 추후 유용 소재로써의 이용과 우수 개체선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 된다.

  • PDF

Nematicidal activity of Korean native plants against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고구마뿌리혹선층(Meloidogyne incognita)에 대한 국내 자생식물의 살선충 활성)

  • Lim, Sang-Hyun;Zhu, Yang-Ze;Kim, Mi-Sung;Lee, Yu-Sun;Son, Jeong-Sik;Park, Dong-Sik;Hur, Jang-Hyun;Kim, Hee-Yeon;Choi, Hae-Jin;Kim, Kyung-Hee;Kim, Song-Mun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8 no.4
    • /
    • pp.353-357
    • /
    • 2004
  • Large economic losses have been reported by root-knot nematide, Meloidogyne incognita, in Korea. However, fewy environmentally-friendly nematicide alternatives for the control of M. incognita have been developed. This study was conducted of Korean native plants to screen nematicidal activity which could be used by organic farmers. Methanol extracts (1,000 mg $L^{-1}$) from fifty-three Korean native plants were applied to 24-well tissue culture testplates containing $1\times10^2$ M incognita and the nematicidal activities were determined. Nematicidal activities of the methanol extracts in common purslain (Portulaca oleraceae L.) and water mouse-ear-chickweed (Stellaria aquatica Scop.) were 60.0% and 40.6%,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however, those of other forty-one plants were less than 30%.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methanol extracts of common purslain and water mouse-ear-chickweed contain nematicidal active compounds.

Establishingment and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utilizing system (천연물식물자원의 활용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CHOI, SANG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19-19
    • /
    • 2019
  • 전 세계 고등 식물자원은 약 350,000종, 한반도 식물자원은 약 4.500~5,000종 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2018년 8월부터 국내에도 나고야의정서 발효되어 국내 산학연 연구자들의 해외생물자원 활용을 통한 연구개발에 장벽이 높아졌습니다. 저희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는 지난 2001 ~ 2010년 동안 자생식물이용기술개발사업단을 운영하여 국내 유용식물자원을 확보하여 추출물 또는 건조시료 형태로 연구자들에게 분양을 해오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생물소재센터에서는 2006년부터 현재까지 해외 36개 국가와 국제공동연구협약을 체결 하여 ABS 규정에 따라 약 35,000종의 식물자원을 확보해 오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 4개 국가(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코스타리카)에 거점센터를 구축하고 박사급 연구자를 파견하여 열대식물 자원전문가로 양성해오고 있습니다. 4개 거점센터에서는 국내 바이오 기업들의 산업화 지원을 위하여 야생종의 대량재배 시스템 구축 및 원료 표준화 작업을 지원해오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산학연 연구자들에게 누적 3,000,000점(1점 : 20mg)이상의 해외추출물을 분야하여 식물자원을 활용한 연구개발을 지원해 오고 있습니다.

  • PDF

Antimicrobial Activities of Berry Extract of Domestic Plants on 4 Kind of Pathogenic Microorganism (4종의 식품 부패 미생물에 대한 국내산 자생 식물 열매 추출물의 항균성 탐색)

  • 권민경;이해은;박주연;한영숙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
    • v.13 no.5
    • /
    • pp.433-438
    • /
    • 2003
  • To select new useful domestic plants with antimicrobial activities, thirty five samples of berry plant were distributed from Plant Diversity Research Center in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Their extracts with methanol were tested against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by paper disc method. The methanol extracts from Viburnum dilatatum, Viburnum erosum, Aralia continentalis, Camellia japonica, Acer trumcatam, Arasaema takesimense and Rhysocarpus intermedius were effective against S. aureu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Viburnum erosum 6.5 mm, Viburnum dilatatum and Aralia continentalis 7.0 mm, Rhysocarpus intermedius 8.0 mm, Acer trumcatum 9.0 mm, Camellia japonica and Arisaema takesimense 9.5 mm. And only the methanol extract from Camellia japonica was effective against L. monocytogenes, 7.0 mm.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 coli and S. typhymurium were not detected.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of berry of Camellia japonica was examined as 1,250 $\mu\textrm{g}$/mL against S. aureus and as 1,250∼2,500 $\mu\textrm{g}$/mL against L. monocytogenes.

  • PDF

Effect on Wnt/β-catenin Pathway of Methanol Extracts from Native Plants in Korea (국내자생식물 메탄올추출물의 Wnt/β-catenin 신호전달체계에 대한 효과)

  • Kim, Bora;Kim, Hyun-Soo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9 no.5
    • /
    • pp.620-624
    • /
    • 2016
  • The Wnt/β-catenin signaling pathway is mandatory in adipogenesi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pplicability of functional material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by examining Wnt/β-catenin pathway reporter activity related to adipocyte differentiation inhibiting with korean native plant extracts. The luciferase activity of HEK 293-TOP cells increased the reporter activity approximately 152% and 130% by treatment with Sanguisorba officinalis and Thuja orientalis, respectively. Ricinus communis were represented about 90% higher activity, two samples(Rosa rugosa and Sophorae Flos) showed 80% higher activity than the control. Three samples of plant extracts (Zanthoxylum piperitum, Pueraria thunbergiana, Solanum nigrum) were about 70% higher activity compared with the non-treated control. Cytotoxicity of plant extracts was not detected in the rat neural stem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elected eight plant extracts are safe compounds. Our findings indicate that Wnt/β-catenin pathway reporter activity could be used for high throughput screening system. In addition, the plant extracts selected as candidates for adipocyte differentiation inhibiting may be potential therapeutic agents for obesity, it will be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n anti-obesity materials through further experiments with selected plant extra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