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가형성

Search Result 92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Re-conceptualization and the Paradigm Shift of Nation Branding in the Korean Context (미디어 변화에 따른 국가브랜딩의 재 개념화 및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에 관한 연구)

  • Chung, Ka 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1
    • /
    • pp.165-179
    • /
    • 2020
  •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and conceptually discuss the new theoretical trend of nation branding strategies and explores implications for Korean nation branding policy. Korea is known to be one of the countries who has competitively invested governmental efforts on nation branding. However, over the past two decades, while interactive academic discussions on nation brand were taking place and expanding in various fields and areas, related Korean literature did not pay much attention to increasing its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Instead, studies on nation branding in the Korean context remained its focus on instrumental and economic aspects, leaving the theoretical discussion stagnant. In the Korean context, there was a tendency to regard nation branding as one of the political tools for national public and means for a short-term image marketing towards the foreign audience. To solve the undervaluation of Korea's nation brand and enhance its public image, there must be a revisit to its conceptual discussion. This study reviews various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paradigms on recent trends of nation branding, and re-conceptualize nation branding as the continuous interactive relations among 'national identity'-'nation brand'-'nation image'. In particular, by discussing the 'relationship building' approach, which is the latest suggested theoretical idea that well suits the networked era, this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s future-oriented nation branding.

National Development and Regionalism in Spain (스페인의 국가발전과 지역주의)

  • Ahn, Young-J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7 no.3
    • /
    • pp.1-13
    • /
    • 2001
  • This paper is to examine what implications the regionalism in Spain has for its national development during the last two centuries. Since the beginning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 regionalism (including territorial nationalisms in periphery) has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history of Spanish state-formation. On the one hand, a strong regional identity was related to a structural weakness affecting Spanish nation-building and accused of forging the separatist national movements in the Basque, Catatonia Galicia and so on. On the other hand, the regionalism has contributed to enforcing the Spanish national consciousness in complex and contradictory ways. Therefore, on the contrary to our common understandings of regionalism, the Spanish regionalism has both enforced and counteracted the Spanish nationalism. In the late 1970s after the collapse of Franco regime, the long history of the Spanish regionalism resulted in a state system based on the regional political decentralization.

  • PDF

A Study of Country Image, Consumer Attitude and its Impact on International Service Use Intention of Chinese Consumers -Focusing Medical Service- (국가이미지와 국가에 대한 태도 및 서비스에 대한 태도가 중국 소비자들의 외국계 서비스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의료서비스를 중심으로-)

  • Chang, Young-Il;Kim, Kyoung-Hwan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1 no.2
    • /
    • pp.173-19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ountry image, the country attitude, the medical service attitude and the use intention about international medical service market in china and how these factors are related to one another. Data were collected from 609 chinese consumers who have known international medical service. We found the country image about international medical service institute has direct relation to the country attitude, the medical service attitude and use intention. And the country attitude influences the medical service attitude and use intention. However the medical service attitude of international medical service is not related to use intention. For a successful international medical service business, marketer should recognize that it is important to formulate the policy using the country image as well as the corporation image.

  • PDF

전환기의 한국경제와 방위산업

  • Park, U-Hui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 s.155
    • /
    • pp.16-17
    • /
    • 1992
  • 이제 세계질서는 이념적 대립에서 벗어나 기술패권주의적인 성격을 띠고 있으며, 과학기술을 국가의 기본정책으로 파악하는 기술국가주의를 낳고 있습니다. 이렇듯 새로이 형성되는 신군사기술질서에 어떻게대응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우리의 국가적 당면과제라 할수 있으며, 기술개발을 선도하는 방위산업은 산업구조 고도화 정책의 일환으로 재조명되어야 하겠습니다

  • PDF

원자력안전협약의 법적 고찰

  • 박기갑
    • Nuclear industry
    • /
    • v.15 no.3 s.145
    • /
    • pp.69-78
    • /
    • 1995
  • 특정 국가의 영토내에 건설, 운영되는 원자력시설의 안전성 확보문제는 당해국 정부의 고유권한이며, 책임사항이라는데 이론의 여지가 없지만, 원자력안전문제를 특정 국가의 판단에만 맡겨둘 수 없다는 공감대가 점차 형성되었고, 이러한 움직임은 특히 동구권에 소재하는 옛소련 모델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을 심각한 우려를 가지고 있는 서유럽국가를 중심으로 구체화되어 원자력안전협약이 제정되었다.

  • PDF

Governance, Discourse and Social Actors: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the Global Rule-Making Process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거버넌스 연구를 위한 이론적 제언)

  • Moon, Sang-Hyun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23
    • /
    • pp.7-45
    • /
    • 2003
  • As e-commerce has led to profound changes in the way economic transactions are made and has spurred the rapid integration of global markets, governance of e-commerce has emerged as an important policy agenda around the globe. Given the broader social and economic implications of e-commerce, it is of no surprise that the rule-making process for global e-commerce has increasingly captured the attention of scholars. Despite the substantial contributions to understanding this process,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veals some weaknesses in the study of emerging forms of governance in global e-commerce. This paper addresses these weaknesses and proposes an alternative theoretical framework that underscores the role of ideas and discourse in the global rule-making process.

  • PDF

The Relation between the Use of Modern Burmese Prose as the Standard Language and Nation-Building in British Burma (식민시기 버마어 산문의 대중화와 버마 민족 형성의 상관성)

  • Myo, Oo
    • The Southeast Asian review
    • /
    • v.22 no.2
    • /
    • pp.239-267
    • /
    • 2012
  • 이 논문은 근대 민족국가 형성과 민족 공용어의 창출의 상관성을 염두에 두고 식민지기 버마에서 버마어가 어떠한 정치적, 사회적 환경 하에서 어떻게 공용어의 지위를 획득해나갔는지에 대해 주로 버마어 산문의 대중화라는 각도에서 분석한 것이다. 베네딕트 앤더슨의 연구가 시사하는 것처럼 근대적 인쇄매체의 출현과 더불어 근대 버마어의 등장 및 대중화는 버마의 근대적 민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제1차 영국-버마 전쟁 종결 후, 정치, 사회, 경제적 상황 변화와 함께 인쇄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버마어는 대중매체에서 공용어로서의 지위를 획득해갔다. 식민시기에 버마 내 여러 지역에 어학원이 설립되었고 버마인이 어학교육 담당자로 고용되었다. 1930년대 초반에 근대 버마어 산문이 많은 저자들에 의해 집필되었으며, 1930년대 후반에 들어서서 독자들 사이에서 널리 읽히는 호황을 누렸다. 일본군 점령 후에는 일본군 당국의 허가 하에 버마어는 제2차 세계대전 중에 공식적 언어로서 인정되었다. 이러한 바탕 위에 근대 버마어는 1947년 헌법에 버마의 공식 언어로 명기되었다. 이러한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 논문에서는 버마어가 식민지기에 표준어로서의 지위를 획득하고 그 버마어로 작성된 근대 버마어 산문의 사용이 버마의 민족 형성과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Locality of the Cultural Cold War :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Daejeon Culture Center (문화냉전의 지역성-대전문화원의 활동을 중심으로-)

  • 위경혜
    • 한국학연구
    • /
    • no.49
    • /
    • pp.123-154
    • /
    • 2018
  • 이 글은 해방 이후 강화문화관을 시작으로 전국에 걸쳐 등장한 문화원의 사회사적 성격을 문화냉전의 맥락에서 규명한 것이다. 문화원은 미국의 해외 공보 업무를 담당한 미국 공보원(United States Information Service, Korea)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개관했으며 한국전쟁을 계기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문화원은 미국 공보원이 지향한 '자유 동아시아' 국가 형성을 목표로 미국적 가치와 문화를 전파했지만, 해당 지역 공동체의 현실적인 이해관계를 반영하면서 문화원 사업의 방점에 차이를 두었다. 1962년 설립된 한국문화원연합회는 전국적인 연결망을 형성하고 미국식 민주주의와 공산주의 이념의 강화 그리고 박정희 주도의 산업화와 근대화의 선전과 홍보에 앞장섰다. 1960년대 중후반 대전문화원의 활동에 관한 사례 분석을 통해 확인한 바와 같이, 문화원은 지역의 행정과 경찰 및 교육 그리고 흥행업자와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면서 지역의 모든 문화 관련 활동을 수렴하는 기관으로서 위상을 지녔다. 또한, 냉전 시기 후방 군사도시이자 대규모 노동자 집결 도시인 대전의 문화원은 미군의 주둔과 연관된 사업을 수행하는 한편으로 베트남전쟁 참전과 관련된 정치적 긴장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전문화원 강당에서의 상설 영화 상영을 비롯해 대전 시내와 충남 일대 지역에서 조직적으로 전개한 이동영화 상영은 이를 보여준다. 따라서 1947년 한국사회 최초로 등장한 강화문화관이 과거 일본 제국과의 단절을 강조했다면, 1960년대 중후반 대전문화원은 동아시아 지역의 문화냉전 벨트의 형성을 위하여 '새로운 일본'을 소개하는 데 적극적이었다. 이는 일국 차원에서 전개된 대전문화원 활동이 동아시아 국가의 문화냉전의 형성과 중첩되었음을 증명하였다.

Married Immigrant Women's Life in Relational Spaces (관계적 공간에서 결혼 이주 여성의 삶)

  • Park, Kyu-Tae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9 no.2
    • /
    • pp.203-222
    • /
    • 2013
  • This study has been implemented under the two purposes. One is to critically explore how married immigrant women had experienced or experience conflicts, differentiation and so on occurred in their relations to family, neighbor, friend, organization and nation. The other is to understand married immigrant women and family through a new perspective based on a relational space of interacting trans-nation, local and n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Firstly, transnational space is produced by international marriage between Korean man and foreign woman and kept (or activated ) by (non) everyday activities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d family. There are remittance, children's rearing and education, visits to mother's house, emotional interactions by phone and computer and so on. Secondly, multi-layered and relational local spaces have been (re)produced by married immigrant women's various activities related to family, neighbor, friend, nation and so on. Thirdly, married immigrant women's relations to nation state or government has been specifically presented (or expressed) through the acquiring of Korean nationality and government's activities of supporting multicultural family. Married immigrant women feel that their national identity between mother's nation and Korea is ambiguous and undecid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