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국가직무능력표준 적용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8초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한 항만물류분야 재직자의 교육과정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lternatives for Developing the Workers' Education Programme in the Port Logistics Field using a NCS Model)

  • 박두진;김현덕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61-7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를 활용하여 항만물류분야의 재직자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NCS는 고용노동부가 주관이 되어 만든 직무표준으로 한 개인이 자신의 직업에서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능력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도출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표준화 작업을 진행한 것이다. 항만물류분야의 재직자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수요자의 교육니즈를 분석하여 도출된 교육과정을 MECE 분류기법을 사용하여 중복되는 교육과정은 통합하고 누락되는 부분은 상호보완하여 최종적으로 교육과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항만물류분야 재직자의 직무능력 향상으로 기업체의 경쟁력이 향상과 함께 국가의 핵심산업인 항만물류산업의 국가 경쟁력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산 학 연계를 통해 교육과정을 개발함으로써 대학에서는 보다 실무중심의 교육과정을 도입함으로써 현장실무형 인재를 양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과제로는 산 학 연 연계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재직자 중심의 교육과정을 적용 및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PBL을 활용한 대학 수업 운영의 실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Implementing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ollege Classroom)

  • 하명정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147-148
    • /
    • 2019
  • 최근 문제해결능력향상을 위해 대학에서는 PBL 교수법(Problem-Based Learning)을 도입하고 있으며 국가 차원에서도 이를 장려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직무능력단위 중 하나인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수업방법을 모색함과 동시에 교육현장에서 직면할 수 있는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학습자 능력 신장을 위해 PBL수업을 활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법을 대학 영어전공 교과목에 적용함으로써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수업참여도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사전검사, PBL수업 운영, 사후검사의 3단계로 진행된다.

  • PDF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한 컴퓨터공학 교과과정개발 (Curriculum Development of Computer Engineering based on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 권오영;장경식;민준기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67-76
    • /
    • 2015
  •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은 근로자가 자신의 직업에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능력을 도출하여 국가차원에서 표준화한 것이다. 4년제 대학의 경우 NCS를 활용한 교과과정 개편에 관한 가시적인 계획은 없는 상황이나 대학교 교과과정의 현장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고, NCS에 기반한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도입등으로 4년제 대학교 교과과정에 NCS가 적용될 수 있는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4년제 대학교 컴퓨터공학전공을 참조하여 NCS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NCS를 활용하여 교과과정을 개편 방향을 제시하였다.

NCS 기반 정보처리 분야 국가기술자격 실기시험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Plan of Evaluation Method in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Exam focus on Information Processing Fields based on NCS)

  • 조용대;문희권;유주연;소기호;박계영;이석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277-1282
    • /
    • 2015
  • 본 논문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국가기술자격검정의 정보처리분야 실기시험 평가방법 개선을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에 대한 내용을 기술한 것이다. 현행 정보처리분야의 실기시험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후 최신 정보기술 동향을 반영하고 국가직무능력표준의 능력단위, 수행준거 등을 접목하여 정보기술 분야 실기시험의 새로운 평가방법을 제시하였고, 시범평가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향후 한국산업인력공단 기술자격출제실에서는 본 연구를 기초로 세부직무분야 전문가를 통한 출제 기준 개정을 완료 한 후 정보처리분야 국가기술자격검정에 실제 적용할 예정이다.

NCS 기반 국가기술자격 실기시험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정보처리 분야를 중심으로 (A Study on Improvement Plan of Evaluation Method in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Exam based on NCS : Focus on Information Processing Fields)

  • 이석철;조용대;문희권;유주연;소기호;박계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2-85
    • /
    • 2015
  • 본 논문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국가기술자격검정의 정보처리분야 실기시험 평가방법 개선을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에 대한 내용을 기술한 것이다. 현행 정보처리분야의 실기시험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후 최신 정보기술 동향을 반영하고 국가직무능력표준의 능력단위, 수행준거 등을 접목하여 정보기술 분야 실기시험의 새로운 평가방법을 제시하였고, 시범평가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향후 한국산업인력공단 기술자격출제실에서는 본 연구를 기초로 세부직무분야 전문가를 통한 출제 기준 개정을 완료 한 후 정보처리분야 국가기술자격검정에 실제 적용할 예정이다.

  • PDF

전문대학에서 NCS 수리능력 수업의 효과성 분석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NCS Mathematics Ability Course in Junior College)

  • 반희영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91-111
    • /
    • 2018
  • 읍면지역의 전문대학 학생들은 공통적으로 수학의 기초학력 부족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전공의 기초지식이 부족하여 전공학습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리고 학업에 흥미를 잃어 결국 휴학이나 자퇴를 하는 경우가 많거나 취업을 하여도 직장생활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해결하고자 국가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제안하고 있다. NCS에서 제안하는 직업기초능력은 직종이나 직위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직종에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능력이다. 이러한 직업기초능력 중 하나인 수리능력을 전문대학의 수학교육에 적용시키고자 한다. NCS 수리능력을 전문대학 학생들에게 적용하였을 경우, NCS 수리능력 수업의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바람직한 전문대학 수리능력의 교육방향을 모색하고 수학의 기초학력 제고와 흥미를 유발하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NCS based Leveled Micro-Degree Certification Model for Training Practical Cyber Security Experts

  • Kim, Jeong-Sham;Lee, Kyu-Chang;Choi, Sang-Y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8호
    • /
    • pp.123-133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NCS에서 정의된 직무를 기반으로 직무의 수준을 고려한 수준별 마이크로디그리 직무능력인증 모델을 제안한다. 4차 산업혁명 등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환경을 따라가지 못하는 대학교육의 문제로 인해 인력의 미스매치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나노디그리와 마이크로 디그리 체계를 사이버보안 인력의 직무능력 인증에 활용한다. NCS의 세분류 분야별 직무를 마이크로 디그리, 능력단위별 세부직무를 나노디그리로 정의하고, 수준별로 구분된 능력단위의 수준을 마이크로 디그리에 동일하게 적용한다. 그리고 이를 학위기반의 대학 학력에 상응하는 직무능력을 인증하는 체계이다. 이러한 체계를 영남이공대학교 사이버보안스쿨의 교육과정에 적용하여 NCS직무 기반으로 나노디그리 과정을 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최근 들어 많은 대학들이 도입하고 있는 나노디그리와 마이크로디그리의 직무역량 인증을 위한 방법으로 사용가능하다.

NCS기반 국가기술자격 용접기능장 실기평가 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in evaluation method of practical skill test of national technique qualification of Master Craftsman Welding based on NCS)

  • 정상철;최성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96-600
    • /
    • 2016
  • 본 논문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국가기술자격검정의 용접분야 실기시험 평가방법 개선을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에 대한 내용을 기술한 것이다. 현행 용접기능장의 실기시험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후 최신 용접기술 동향을 반영하고 국가직무능력표준의 능력단위, 수행준거 등을 적용하여 용접기능장 실기시험의 새로운 평가방법을 제시하였고, 자문회의 및 시범평가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향후 한국산업인력공단 기술자격출제실에서는 본 연구를 기초로 세부직무분야 전문가를 통한 출제 기준 개정을 완료 한 후 용접기능장 국가기술자격검정에 실제 적용할 예정이다.

현장중심 교육과정을 적용한 방사선과 재학생의 직무수행도 평가 -일반촬영 (Evaluation of Job Performance of Radiology Students by using Field-based Radiography Course)

  • 권순무;김경아;박창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551-557
    • /
    • 2016
  •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은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의 내용을 국가가 체계화한 것이다. NCS기반 현장중심 교육과정을 적용한 방사선과 재학생 3학년을 대상으로 일반촬영에 대한 방사선사 직무수행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모든 촬영방식에서 우수 및 충족 비율이 93% 이상으로 현장중심 교육과정이 재학생의 직무수행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판단된다. CR 방식은 전체적으로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나 대상자 간 편차가 크고 영상기기조작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Film 방식은 노출조건 설정 및 현상작업이 문제점으로 평가되었다. DR 방식은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나 영상기기조작능력, 부속기자재운영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각 촬영에서 성취수준 이하의 평가요소를 교과목 운영에 보완한다면 재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뿐만 아니라 졸업 후 임상에서 방사선사 직무수행도 향상에 도움이 되리라 판단 한다.

전문대학 시각디자인과의 캡스톤디자인을 통한 직무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etency Education through Capstone Design in the Junior College for the Visual Design Major)

  • 송지영;김선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83-192
    • /
    • 2016
  • 본 연구는 국가직무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에서 제시한 시각디자인 직무를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운영사례를 통해 시각디자인 전공 분야 학생들의 시각디자인 실무능력 변화와 캡스톤디자인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동의과학대학교 시각디자인전공의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프로젝트' 교과목을 수강하는 2학년 학생과 담당교수, 그리고 산업체가 협업하여 '연예인 로버트 할리의 캐릭터디자인' 과제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프로젝트'에서 배운 전공 이론과 실기를 '연예인 로버트 할리의 캐릭터디자인' 개발에 직접 적용해 보고 그 결과물을 공모전에 지원하게 된다. 수집된 학생 설문 분석, 산업체 평가, 공모전 수상 등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캡스톤디자인에 참여한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들은 NCS에서 제시한 지식, 기술, 태도의 관점에서 시각디자인 직무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으며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문제해결기술과 실무능력이 고취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캡스톤디자인 교육설계가 현장실무중심 시각디자인 교육과정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