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국가전거데이터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6초

국가전거를 활용한 단위 도서관의 전거데이터 소급 구축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Retrospective Authority Data with National Authorities)

  • 노지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161-182
    • /
    • 2023
  • 최근의 목록 환경에서 전거데이터의 기능이 특히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2019년부터 국가전거데이터의 공개와 공동 활용을 위한 시범사업을 추진하면서 국가전거를 활용한 단위 도서관의 전거데이터 소급 구축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지난 2019년 국립중앙도서관과 KERIS에서 공동으로 추진했던 전거데이터 소급 구축을 위한 시범사업의 방식과 결과를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나타난 방법론적 한계와 문제점을 분석한 후 보다 많은 도서관들이 국가전거를 활용하여 전거데이터의 소급 구축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시범사업에 참여한 A대학도서관을 사례로 하여, 전거데이터의 자동 생성률과 정확률, 그리고 자동 생성 과정에서 나타난 오류와 누락의 사례와 원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가전거를 이용한 전거데이터의 자동생성률은 20% 남짓에 불과했고, 전거형의 형식에 따라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낮은 생성률과 오류, 누락은 종합목록이나 단위 도서관의 서지레코드 품질에서 비롯된 것이었고, 이에 따라 기존 데이터에 대한 보다 세밀한 검토와 함께 정교한 알고리즘을 개발,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가전거데이터 공동활용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에 관한 질적 탐구 (A Qualitative Study on Librarians' Recognition of the Joint Utilization of National Authority Data)

  • 이성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43-467
    • /
    • 2021
  • 이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의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에 참여하여 로컬도서관의 전거데이터를 구축한 경험이 있는 사서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고, 국가전거데이터 공동활용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과 지원 요구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 사업에 참여한 총 10명의 사서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전화 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국가전거데이터 공동활용의 이점, 어려움, 활용 계획, 전거형 수정 계획, 필요한 지원에 대한 의견을 조사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국가전거데이터 공동활용이 로컬도서관의 전거 업무에 기반을 제공하고, 업무 효율을 가져온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전거데이터 수정, 선별, 신규작성, 지식 부족, 지원 체계 미비의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었다. 국가전거데이터 공동활용을 위해 필요한 지원으로는 전거 관련 교육 및 매뉴얼 제공, 기관의 입장을 충분히 고려한 전거 관련 규칙 마련, 시스템 개발 및 유지를 위한 예산 및 인력 지원, 소통 채널 및 협의체 구축, 시스템과 데이터의 고도화, 참여도서관에 인센티브 부여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국가전거데이터 공동활용의 운영을 위한 방법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의 활용 및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National Authority Data Sharing System)

  • 백지원;이성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21-143
    • /
    • 2023
  • 본 연구는 국가지식정보자원의 효과적인 구축과 활용을 위해 국립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국가 전거데이터 구축 사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국가전거의 국제표준식별체계와의 연계 가능성 및 개선사항을 밝히고, 향후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 가입 기관을 대상으로 면담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전거 관련 현황과 어려움,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의 활용, 식별자에 대한 인식 및 활용, ISNI와의 연계에 대한 인식 및 활용,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 활성화 요인에 대한 중요도 및 달성도, 전반적인 만족도 및 개선 방향에 대한 항목으로 구성되었고, 이러한 조사 연구를 통해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을 통한 국가 전거데이터 구축과 활용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국가 전거데이터와 국제 표준 식별 시스템의 연계 가능성을 분석하였으며, 중요도-성과 분석을 통해 개선 사항의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향후 국가 전거 구축의 발전 방안으로는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해 전거 관련 규칙과 지침 개발, 전거데이터의 양적 확보 및 품질 제고, 전거 업무의 중요성 인식 제고와 효율적인 업무 체계 마련, 전거 서비스의 다양화와 활용 모델 개발,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과 국제표준 식별자의 연계,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의 필요성 공유 등이 제안되었다.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 기반의 국가 전거제어 체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for Nationwide Authority Control System based on National Authority Sharing System)

  • 이미화;이성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25-44
    • /
    • 2023
  •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의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 기반 국가 전거제어 체계의 발전방안을 마련하고자 국가전거 공동활용시스템에 참여하지 않는 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바탕으로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을 중심으로 한 국가적인 전거제어체계 구축을 위한 6가지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로컬 시스템마다 전거데이터 구축 모듈 및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과 연계 모듈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에 ISNI와 같은 외부식별자 기술을 통해 전거데이터의 신뢰성을 제공하고 링크드데이터 구축에 활용해야 한다. 셋째,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 홍보 및 서비스 다양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전거구축기관과 전거미구축기관 모두 전거형 선정과 기술에 어려움과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전거형접근점 관련 규칙 마련이 필요하다. 다섯째, 전거레코드에 기술되는 데이터가 한정되므로 서지레코드를 활용해 전거레코드의 향상 및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 여섯째, 전거제어의 필요성 및 기능에 대해 사서를 대상으로 한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전거공동활용시스템에 참여하지 않는 도서관을 대상으로 전거관련 현황과 요구사항을 조사하여 국가 전거제어 시스템의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국가전거와 ISNI 연계 및 활용 방안 연구 - 국립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erconnection and Utilization of National Authority and ISNI: Focusing on the case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 이성숙;박지영;이혜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457-483
    • /
    • 2023
  • ISNI가 확산되면서 개인명이나 단체명을 식별하고 연계하는 전거제어의 프로세스와 활용방식도 확장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의 국가전거와 ISNI 연계와 활용의 특징을 도출하여, 우리나라 국립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 국가전거와 ISNI의 연계와 활용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ISNI 창립부터 정착과 활용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주요국을 중심으로 국가전거와 ISNI 연계 방식 및 서비스에 활용된 ISNI 데이터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ISNI를 활용한 국가전거 개선 방안은 첫째, ISNI를 활용한 전거 업무 지원, 둘째, 국가서지작성기관과 출판계와의 긴밀한 협력체계 마련, 셋째, 국가차원에서 ISNI와 전거레코드 연계를 위한 인프라 구축, 마지막으로 전거데이터를 바탕으로 이용자 서비스 페이지 제공 등이었다.

VIVO를 활용한 국가적 전거구축모델에 관한 연구 (Constructing a Model for National Authority Control Utilizing VIVO)

  • 오삼균;한상은;손태익;김성훈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65-187
    • /
    • 2018
  • 전거데이터 공동구축을 목표로 하는 많은 국내 연구가 시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전거구축의 협업 환경은 표준 전거의 제정, 표준 전거 구축원칙의 제정, 기존 전거구축 기관의 업무 개편, 공동구축 업무의 핵심기관 선정 등과 같은 전제 조건의 미비로 인해 그 실질적 조성이 막혀 있다. 국가전거를 공동으로 구축하고 원활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존 전거구축기관의 업무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현실적 협업 방안과 지속적 추진력을 보유한 국가기관의 참여와 아울러 다수 기관의 데이터 병합을 가능케 하는 표준식별체계가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전거의 공동 구축을 위한 여건 조성에 있어서 필수사항이 무엇인가를 문헌조사로 밝히고, 시맨틱웹 기반으로 구축되어 상호운용성이 우수한 VIVO 온톨로지 모델의 활용을 통해 구현 가능한 국가전거 구축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기록물 전거통제 기반 Linked Data 구축에 대한 연구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Linked Data from Authority Data in National Archives of Korea)

  • 박옥남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5-2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Linked Data Cloud를 위한 단계로 국가기록원 전거데이터 셋을 Linked Data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가기록원 전거 데이터의 구조 및 검색시스템을 분석한 후, 전거데이터 셋을 RDF/OWL로 모델링하는 과정을 거쳐 Linked Data로 구축하였다. 또한 기록물의 Linked Data화를 위해 Dublin Core, SKOS(Simple Knowledge Organization System)를 활용하였고 온톨로지 설계도구로 TopBraid Composer TM을 사용하였다. 구축된 RDF/OWL 데이터는 시각화화면을 통해 전거데이터의 자유로운 확장, 전거데이터 용어간의 탐색, 용어의 상세 전거데이터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기록물과 연계를 통해 기존 기록물 검색에서 한계로 지적되었던 기록물과 전거데이터간의 연계의 부족을 보완하였다.

대학도서관 전거제어 현황분석을 통한 전거제어 방안 모색 (A Study on Direction of Authority Control by Surveying the Authority Control in University Libraries)

  • 이미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5-26
    • /
    • 2012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전거제어 현황 조사와 국제적인 전거제어 개념모델 및 가상국제전거파일 분석을 바탕으로 국내에 적합한 전거제어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현황 조사는 국내 대학도서관 중 전거데이터를 구축하는 기관과 구축하지 않는 기관 모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전거데이터를 구축하는 도서관은 해당 기관에서 구축해온 전거형을 유지하고자 하였으며, 미구축기관에서는 전거데이터 구축을 위해 전거관련 목록규칙과 국가적인 협력체계를 필요로 하였다. 이러한 현황조사와 국제목록원칙 2009, FRAD 개념모델, VIAF에서 제시한 방안을 바탕으로 전거형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전거제어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국가의 전거규칙을 바탕으로 전거제어를 실시하되, 기관의 전거규칙에 따라 선호하는 전거형을 인정하며, 궁극적으로는 이용자 중심으로 전거형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국가적인 전거제어 규칙과 협력체계가 마련되어야 하며, 개별 도서관에서는 자관의 규칙에 따라 전거형과 이형을 생성해야 한다. 또한, 이용자 중심의 전거제어를 위해 전거데이터 기술요소가 추가적으로 입력되어야 하며, 전거형간, 전거형과 이형간의 다양한 관계를 기술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국가, 개별도서관, 이용자가 선호하는 전거형접근점을 수용하는 전거제어를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IFLA FRAD 모형이 관련 표준에 미친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FRAD Model on the Related Standards)

  • 안영희;이성숙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79-303
    • /
    • 2009
  • 이 연구는 IFLA에서 연구되고 있는 '전거데이터의 기능상의 요건'(FRAD)을 FRAR에서의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FRAD가 RDA와 MARC21에 끼친 영향을 분석함으로 FRAD와 관련 규칙과의 관계를 정립하였고, 전거제어를 위한 IFLA의 활동에 비추어 국내 전거제어 관련 목록 규칙과 포맷, 주요 전거DB구축 현황을 검토하였다. 이런 분석을 토대로 국내 전거제어 표준을 위한 고려사항으로 접근점제어방식, 적용범위 확대, 개체-관계 모형과 같은 새로운 접근방식의 도입, 국가서지작성기관의 역할 강화 등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결과는 전거제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학기록물 전거레코드 구축을 위한 기술요소 분석과 EAC-CPF 적용에 관한 연구: 기록물 기술규칙과 데이터구조표준의 융합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veloping Archival Authority Records through Analyzing Descriptive Elements and Applying EAC-CPF in University Archives: Converging Archival Information Descriptive Rules with Data Structure Standards)

  • 김문경;구정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65-75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기록관의 특성에 맞는 기록물 전거레코드 구축을 위한 기술요소를 제안하되, 온라인 환경에서도 활용가능한 EAC-CPF와 융합한 기술요소를 제안하고 이를 근거로 전거레코드를 구축한 실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대학의 기능에 따른 조직의 구성과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기록물 생산자별 주요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둘째, 국내표준인 국가기록원 전거레코드 지침과 국제표준인 ISAAR(CPF) 2판을 비교·분석하여 대학기록물 전거레코드 구축을 위한 기술요소들을 제안하되, 이를 다시 EAC-CPF와 매핑하여 최종 기술요소를 도출하였다. 끝으로, 제안된 기술요소를 토대로 실제 전거레코드를 구축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기록물 생산자의 맥락정보를 검색을 위한 표준화된 접근점을 제공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술요소들을 제안하고 이를 데이터표준구조와 융합하여 온라인 환경에서도 생산자 맥락정보의 검색이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