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 품질

Search Result 3,455,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Quality Changes in Minced Ginger Prepared with Frozen Ginger during Storage (냉동생강으로 제조한 다대기의 저장 중 품질변화)

  • Kim, Dong-Ho;Lee, Young-Chu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6 no.6
    • /
    • pp.943-951
    • /
    • 2004
  • As storing ginger roots under optimum conditions takes high cost, ginger roots are commonly stored in underground tunnels where the maintenance of optimum temperature and humidity is difficult. One of the methods fur long term storage of ginger roots is freezing.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s and packag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minced ginger prepared with frozen stored ginger. The minced ginger prepared with frozen stored ginger at $-20^{\circ}C$ was packed in bags, glass bottles and tubes, and then stored at 5 and $-20^{\circ}C$ for quality evaluation at 4 and 15 week-intervals. The changes of surface color, total free sugars, free amino acids and volatile compounds were less in the combined treatment samples than in control during storage, regardless of the storage temperature. The tube packing was the best for maintaining quality of minced ginger during storage among tested packaging methods. Sensory results showed that the minced ginger with the combined treatment and packed in tubes could be stored at 5 and $-20^{\circ}C$ for 12 and 45 weeks, respectively, without a significant drop in palatability.

A Study in Packing of Changran-Jeotgal -1. Shelf-life of a Jar Packing in Changran-Jeotgai- (창란젓갈의 포장에 관한 연구 -1. 병포장 젓갈의 품질유지기한-)

  • Yoon Ji Hye;Lee Won Dong;Chang Dong-Suck;Kang Ji Hee;Lee Myung Suk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5 no.1
    • /
    • pp.8-14
    • /
    • 2002
  • Quality variation of jar packing of Chanran-Jeotgal produced by improved process and conventional process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at 10, 20, and $30^{\circ}C$, respectively. The increasing rate of pH, volatile basic nitrogen (VBN), $CO_{2}$, and viable cell counts of Chanran-Jeotgal produced by improved process was slower than that of conventional process at all storage temperature. Also the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indicate that the production of Changran-Jeotgal by improved process may extend the shelf·life of jar packing Chanuan-Jeotgal. From above results,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parameters was concluded. In case of Changran-Jeotgal in a jar, pressure, pH, L-value, VBN and sensory score were highly correlated. Therefore, these parameters are expected to use as shelf-life indication.

Quality Characteristics for Instant Rice Noodle Marketed in Korea (국내외 산업동향 - 시중유통 즉석 쌀국수의 품질특성)

  • Park, Jong-Dae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26 no.2
    • /
    • pp.125-131
    • /
    • 2013
  • 즉석 쌀국수는 쌀 함량을 10~30% 첨가하는 수준으로 출발하여 최근에는 쌀 함량 100% 생면 및 인디카 품종을 활용한 베트남 쌀국수 타입으로 점차 쌀 함량이 높아지고 있으나, 쌀 고유의 특성으로 면의 가공적성이 어려우며, 조리 시 전분 용출량이 많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현재 국내 시판 쌀국수 5종을 구입하여 쌀 함량별로 분류하여 품질특성과 관능특성을 비교하여 즉석 쌀국수의 품질특성을 알아봄으로써 즉석 쌀국수 개발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품질특성 결과 감자전분, 찰옥수수전분을 첨가한 제품의 경우 수분흡수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감 측정결과 밀가루가 첨가된 처리구가 밀가루 무첨가 처리구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어 전분 및 밀가루 첨가에 따라 경도, 응집성 및 검성이 증가하였으며, 관능특성 결과 국내쌀을 사용한 처리구가 수입쌀을 사용한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내어 국내쌀로 만든 쌀국수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쌀국수 제품 개발 적용 시 쌀가루 용도별 제분기술의 발달 및 감자전분, 찰옥수수전분, 타피오카전분 등의 전분류를 첨가하여 쌀국수 개발기술을 확보하면 품질이 우수하고 다양한 형태의 즉석 쌀국수 제품개발이 기대된다.

  • PDF

최소가공 수박의 품질유지를 위한 칼슘제제 처리 효과

  • 장지현;최맑음;문광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165.2-166
    • /
    • 2003
  • 최소 가공 수박의 가공과 유통 중 품질 열화에 있어 가장 중요한 문제는 과육의 조직연화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포 분리를 제한하고 과실 조직의 경도를 유지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칼슘제제 중 calcium chloride, calcium lactate, CaO를 처리하여, 최소 가공 수박에서 조직연화로 발생되는 품질저하 억제에 가장 효과적인 칼슘제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박의 과육부위를 2cm의 정육면체 형태로 절단한 후, 0.5% calcium chloride, 0.5% calcium lactate, 0.05% CaO용액에 3분 동안 침지시켰다. 그리고 fan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30분 동안 draining한 다음 PP tray에 담아 PP film로 sealing하고 $10^{\circ}C$에서 일주일간 저장하며 품질변화를 살펴보았다. 호흡특성은 0.05% CaO 및 0.5% calcium chloride용액을 처리한 구가 호흡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가용성고형분은 처리 직후 처리구의 함량이 무처리구에 비해 다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저장기간 중 0.5% calcium chloride 용액처리구는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큰 함량 변화 없이 당도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pH 변화는 0.5% calcium chloride용액 처리구에서 변화가 가장 작았으며, 경도변화 역시 저장 초기값과 비교하였을 때보다 감소가 적게 일어나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연화 저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최소가공 수박에 대해 칼슘제제 중 calcium chloride용액 처리가 품질유지에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Chemical Mowing of A Fairway Zoysiagrass Turf (Zoysia japonica Steud.) Using New Generation of PGRs (식물생장조절제를 이용한 들잔디의 화학적 예초관리에 관한 연구)

  • 김경남;남상용;김용선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28 no.3
    • /
    • pp.1-12
    • /
    • 2000
  • 식물생장조절제(Plant Growth Regulators, PGRs)를 이용한 예초관리 방법이 들잔디 엽색 및 품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 잔디 적응력 관점에서 적합한 PGR 종류 및 살포수준을 파 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실험은 들잔디 생육이 왕성한 시기인 6월(실험 I)과 7월(실험 II) 2회에 걸쳐 각각 다른 장소에서 실시하였다. 공시약제 처리구는 Type I PGR인 amidochlor 3 수준 및 mefluidide 3 수준 과 Type II PGR인 trinexapacethyl 4 수준, 그리고 무처리구를 포함하여 전체 11 처리구였 고, 실험구 배 치는 난괴법 4 반복으로 하였다. 공시한 3종류 PGR 모두 잔디엽색 및 품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었지만, PGR 종류.살포수준 및 생육 상태에 따라 처리효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잔디 엽색 및 품질 은 PGR 살포후 경과기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억제되는 경향이었다. 처리 1주후 잔디품질은 대조구에 비 해 큰 차이가 없었지만, 2주에서 4주까지는 PGR 종류 및 살포수준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 여 0.08 ml/ $m^2$ 이상의 trinexapac-ethyl 처리구 및 1.20 ml/$m^2$ 이상의 mefluidide 처리구에서는 가장 크 게 나타났다. 처리 4주부터 대부분 처리구에서 잔디품질이 적정수준 이상으로 회복되기 시작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잔디관리 수준에서 저관리 잔디지역은 0.08 ml/$m^2$ 수준의 trinexapac-ethyl 처리구가 장기간 생장억제 관점에서 실용성과 경제성 측면에서 들잔디 관리에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고, 고관리 잔 디지역은 0.04~0.08ml/$m^2$ 수준의 trinexapac-ethyl 처리구 및 0.60~1.20 ml/$m^2$ 수준의 amidochlor 처 리구가 적합 한 것으로 판단되었지만, 계절에 따라 PGR 효과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잔디 관리 시 잔디의 생육상태, 예초 절감 기간, 잔디품질의 기대수준 및 적용할 수 있는 관리수준에 따라 적합한 PGR 종류 선정과 함께 살포시기 및 살포량을 효율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Application of Liquid Fertilizer Containing Humate Improving Rhizosphere Activation and Favoring Turfgrass Quality (부식산 액상비료 시비에 의한 크리핑 벤트그래스 지하부 생육증가와 품질향상)

  • Kim, Young-Sun;Lee, Tae-Soon;Cho, Sung-Hyun;Lee, Geung-Joo
    • Weed & Turfgrass Science
    • /
    • v.7 no.1
    • /
    • pp.62-71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liquid fertilizer containing humate (LFH) on changes of turfgrass quality and growth by investigating visual quality, chlorophyll content, dry weight of clipping, and nutrient content in leaves tissue. Treatments were designed as follows; control fertilizer (CF), HF-1 ($CF+1.0mL\;m^{-2}\;LFH$), HF-2 ($CF+2.0mL\;m^{-2}\;LFH$), and HF-3 ($CF+4.0mL\;m^{-2}\;LFH$). As compared with CF, soil chemical properties of LFH treatments were not significantly. Visual quality and root dry weight of LFH treatments were higher than that of CF. Chlorophyll content, clipping yield and nitrogen uptake of HF-2 and HF-3 were increased 11.2-11.8%, 15.3-30.0%, 22-42% by application of LFH. The LFH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visual quality, chlorophyll content, clipping yield or nutrient uptake amoun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pplication of LFH improved the growth and quality of creeping bentgrass by increasing nutrient uptake and by prompting root growth.

가공전 열처리가 Fresh-cut Muskmelon의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 박연주;문광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166-166
    • /
    • 2003
  • Muskmelon(Cucumis melo L.)은 독특한 향기와 높은 당도로 각광받고 있는 과일로 주로 지중해, 아시아, 북유럽과 미주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재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시설 내에서 재배되고 있다. 점차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fresh-cut제품은 유통, 저장 기간 동안 제품의 신선함 유지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공 전 열처리가 fresh-cut muskmelon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최적 열처리 조건을 조사하였다. Half-cut melon을 대상으로 blanching 온도 설정을 위한 예비 실험을 한 결과 5$0^{\circ}C$ 열처리한 구가 향, 연화 저해 정도, 그리고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한 관능평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5$0^{\circ}C$의 water bath상에서 whole melon을 10, 20, 30, 40분 blanching하여 5$^{\circ}C$에서 24시간 저장한 후 cork borer를 이용하여 cylinder 형의 fresh-cut melon을 가공하였다. 가공한 melon은 5$^{\circ}C$에서 6일 저장하면서 L-value, chroma-value, soluble solid, pH, 경도, 호흡 변화 등을 통해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저장 6일후 L-value의 변화는 대조구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chroma-value는 저장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10분 열처리 한 구에서 변화정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용성 고형분 함량은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큰 변화는 없었으나 40분 열처리한 구에서 수용성 고형분 함량이 가장 낮았으며 20, 30분 열처리한 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저장 중 fresh-cut melon의 pH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0분 열처리한 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호흡변화는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O_2$는 감소하고 $CO_2$는 증가했으며 특히 20분 열처리한 구에서 $CO_2$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가 정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열처리한 fresh-cut melon의 hardness는 저장 3일 후 대조구와 40분 열처리 구에서 가장 낮아 연화현상을 확인했으며 20분 열처리구에서 초기 hardness가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했다. 따라서 fresh-cut melon을 위한 가공 전 열처리를 위해서는 5$0^{\circ}C$에서 10분 열처리가 품질 변화를 유지하는데 적당하다고 판단된다.

  • PDF

A Study in Packing of Changran-Jeotgal -2. Shelf-life a Plastic Pouch racking of Changran-Jeotgal- (창란젓갈의 포장에 관한 연구 -2. 파우치 포장 젓갈의 품질유지기한-)

  • Yoon Ji Hye;Lee Won Dong;Lee Won Dong;Kang Ji Hee;Lee Myung Suk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5 no.1
    • /
    • pp.15-20
    • /
    • 2002
  • Quality variation of plastic pouch packing of Changran-Jeotgal produced by improved process and conventional process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at 10, 20 and $30^{\circ}C$, respectively. The kind of plastic pouch used in this study were polyethylene/nylon/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PE/Ny), polyethylene terephthalatefpolyethylenef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PET) and low density polyethylene (PE). In the higher storage temperature, the faster increase of$ CO_2$, concentration and volume of pouch packing in all kinds of pouch. However, the highest value of pH, L-value, volatile basic nitrogen (VBN) and viable cell counts were shown in PE, the next was PET and PE/Ny, Overall, Changran-Jeotgal produced by improved process showed a little change of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than conventional process. From above results,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parameters were predicted pH, L-value, VBN and sensory score were highly correlated, therefore, these parameters is expected to uses as shelf-life indicated elements in cease of plastic pouch packaging.

Effect of Nitrogen Fertilizer level on the Yield and Quality of watermelon(Citrullus vulgaris S.). (질소시비수준이 소과종 수박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 이상규;김광용;정주호;이용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7.05a
    • /
    • pp.46-52
    • /
    • 1997
  • 소과종 수박의 고밀도 지주재배시 질소시비량을 260kg/㏊, 200, 140, 0, 무비구로 하여 생육, 수양, 품질 및 무기양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생육특성은 질소시용구가 0kg시용구와 무비구보다 초장,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이 좋았고, 질소시용구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엽수는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다. 나. 수량특성은 140kg/ha시용구가 32,010kg/ha로 가장 높았고, 착과율도 79%로 가장 높았다. 다. 품질특성은 140kg 시용구가 식미지수 3.9, 당도 12.5 $^{\circ}$Bx로 다른 처리구보다 좋았고, 무비구가 12.0 $^{\circ}$Bx로 처리구 중에서 가장 낮았다. 과피두께는 질소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두꺼웠다. 라. 식물체(잎)내 T-N의 함량은 질소시비량이 많았던 처리구일수록 증가폭이 컸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생육중기에 가장 많이 흡수되었다. 인산함량은 질소시비량에 따라서 큰 차이가 없었으며 칼슘함량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마그네슘 함량은 칼슘과는 달리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생육후기에 낮았다. 마.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소과종 수박을 밀식하여 지주재배를 실시할 때 토양 염류집적을 줄여주고, 품질 및 수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질소시비량을 대과종 수박재배시의 70% 수준으로 줄여서 시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 PDF

Effect of Mild Heat and Organic Acid Treatments on the Quality of Fresh-Cut Lotus Roots (열처리 및 유기산처리가 신선편이 연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 Park, Ju-Hyun;Hong, Seok-In;Jeong, Moon-Cheol;Kim, Dongman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20 no.1
    • /
    • pp.23-29
    • /
    • 2013
  • To extend the shelf-life of freshly cut lotus roots, the effect of their heat treatment in water at $50^{\circ}C$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at of their treatment using 1 percent ascorbic acid and citric acid during their storage. In addition, consecutive heat and acid treatment was applied to freshly cut lotus roots to determine its synergy effect. The level of molds in the sample that was treated with $50^{\circ}C$ water for 60 minutes was the lowest among the treatments and 3.89 log CFU/g after 12-day storage, whereas the population of the control was 6.81 log CFU/g for the same number of days. During the storage, the surface color of the samples showed higher ${\Delta}E$ values and lower L values than that of the initial sample. The color with the heat treatment hardly changed, unlike in the control. The consecutive treatments with hot water and acid showed less quality loss than the simple heat treatment. The marketable quality was maintained for three days without any treatment, for nine days with the heat treatment, and for 12 days with the consecutive treatments of hot water and acid. The consecutive treatments with hot water and acid, especially with 1 percent citric acid, extended the shelf-life of the freshly cut lotus roots by inhibit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and the brow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