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하도 및 폐천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Investigation of The Abandoned Channel Type in Nakdong River and Yeongsan River (낙동강.영산강 폐천 및 구하도 유형검토)

  • Yeo, Hong-Koo;Kang, Jun-Gu;Hong, Il;Yoo, Hye-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039-104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영산강을 대상으로 과거 사행하도 구간을 직강화함에 따라 절단된 폐천의 형태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유형화를 수행하였다. 폐천 및 구하도 구간을 선정하기 위한 기준은 1918년 근세한국오만분지일지형도를 이용하여 현재의 수치지도와 좌표보정 후 중첩, 비교함으로써 폐천 구간을 파악하였다. 낙동강의 경우 인위적 변형(하도절단형)에 따른 유형분류로 살펴보면, 세부적으로 하도보존형, 타용도전용형, 하도유실형은 각각 9 개소, 2 개소, 3 개소로 조사되었다. 영산강은 세부적으로 하도보존형이 4 개소로 나타났고, 타용도전용형, 하도유실형이 각각 4 개소, 10 개소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폐천 현황 조사결과는 향후 구하도 복원을 위한 대상지 선정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River Channel Changes Using Aerial Photographs (항공사진을 이용한 하도 변화 분석)

  • Hong, Il;Son, Byung-Ju;Kang, Joon-Gu;Yeo, Hong-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010-201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구하도 및 폐천 형성에 따른 시 공간적 하도 지형 변화를 정량적으로 파악하 기 위해 과거와 현재의 항공사진을 분석하였다. 항공사진은 청미천을 대상으로 하여 단기간의 인위적인 하천정비사업으로 인해 형성된 구하도의 형태 및 규모를 우선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하천의 종단 길이변화, 미지형 변화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서 인위적인 직강화 영향 후 하도 형태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주요 요소들을 파악하였다.

  • PDF

Physical Evaluation of Wetland Type Abandoned Channel (습지형 구하도의 물리적 평가)

  • Hong, Il;Kwon, Bo-Ae;Kang, Jun-Gu;Yeo, Hong-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01-201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 하천에서 방치되고 있는 구하도 구간의 물리적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이를 보전 또는 관리하기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하고자 한다. 국내의 구하도 구간은 자연적인 발생보다는 하천의 직강화, 하천부지 이용의 고도화 등 인위적인 교란으로 인해 형성된 것이 대부분이다. 이와 같이 사행구간의 하도가 절단(Cutoff)됨으로써 형성된 구하도는 우각호 형상의 습지형 구하도와 이미 육역화되어 농경지나 나대지로 이용되는 육화형 구하도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폐천(Abandoned Channel)화가 진행된 대부분의 습지형 구하도는 수질, 생태계, 육역화, 농업용수 이용 등 다양한 문제점 및 현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전 또는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습지형 구하도의 현재를 진단하고 평가하기 위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습지형 구하도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지표를 제안하고 이를 만경강 습지형 구하도 5개소에 적용하였다. 평가지표는 국내외에서 제안된 하천환경 평가지표와 RAM(일반기능평가기법)을 토대로 작성하였다. 이 평가지표는 단절된 습지구간에 적정한 지표, 자료 획득의 용이성, 즉시 적용 가능한 것을 우선순위로 선정하였다. 평가지표는 자연도, 서식처, 친수, 수질 등 4개 지표를 세분화한 총 25개 항목으로 제안하였다. 만경강에 대한 물리적 평가결과 습지형 구하도의 경우 서식처, 자연도 부분이 높은 점수를 획득한 반면 수질과 친수 지표는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평가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만경강 습지형 구하도에 대한 보전 및 관리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주요 고려사항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Case study: Analysis of flow characteristic and deposition on abandoned channel (Case Study: 구하도 복원수로의 흐름특성과 퇴적경향 분석)

  • Yeo, Hong-Koo;Kang, Joon-Gu;Lee, Keum-Chan;Kwon, Bo-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822-1826
    • /
    • 2009
  • 최근 국내 하천복원사업의 방향(패러다임)이 구하도를 포함한 홍수터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됨에따라 과거 하천사업 시 발생되었던 폐천구역을 가능한 한 하천구역에 편입하여 보존하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하천복원사업의 일환으로 함평천 구하도 복원을 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흐름특성변화 및 하상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리모형실험과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실험대상구간은 함평천 중류 구하도 복원구간(1.34 km)이며, 수리모형은 Froude 상사법칙에 따라 수평축척 1/50, 연직축척 1/25의 모형으로 제작하였다. 실험조건으로는 재현기간 50년, 100년의 홍수량과 강턱유량 두 케이스$(100\;m^3/s$, $120\;m^3/s)$를 적용하였고, 구하도 복원수로의 흐름특성은 고정상 조건에 대해 분석하였다. 구하도 복원전/후의 홍수위 비교를 통해 구하도 복원후의 하도에서는 단면확대로 인한 통수능 증가로 홍수위 저감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구하도 복원후의 유속변화는 통수능의 증가로 복원전에 비해 저감되었다. 기존하도와 복원하도간의 유속차가 다소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복원하도의 단면형상과 와류발생으로 인해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복원하도내의 유황은 일부구간에서 흐름정체현상과 역류현상이 발생되는데 이 구간에는 퇴적현상이 예측된다. 수리모형실험의 유사퇴적경향과 FESWMS 모형의 하상전단력을 비교한 결과는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복원하도의 넓은 둔치지역에 넓은 퇴적층이 형성되어 차후 환경구조물 등을 이용한 흐름제어 및 유지관리대책에 의한 문제해결이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valuation of Channel-forming Discharge for the Abandoned Channel Restoration Design of Cheongmi Stream (청미천 구하도 복원 설계를 위한 하도형성유량 산정)

  • Ji, Un;Kang, Jun-Gu;Yeo, Woon-Kwang;Han, Seung-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2 no.12
    • /
    • pp.1113-1124
    • /
    • 2009
  • The abandoned channel restoration is one of methods to enhance the environmental function and ecological habitat as well as the functions of water-utilization and flood control. The channel-forming or dominant discharge must be evaluated and defined to design the cross-sectional and plane geometries of the stable and equilibrium channel for the abandoned channel restoration project. In general, bankfull discharge, specified recurrence interval discharge, and effective discharge have been used to decide the channel-forming discharge. In this study, bankfull discharge, specified recurrence interval discharge, and effective discharge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for the abandoned channel restoration site of Cheongmi Stream and their relations to historical bed changes were analyzed. The bankfull discharge, 488 $m^3/s$, of the abandoned channel restoration site of Cheongmi Stream was calculated using HEC-RAS data and ranged between 1.5-year and 2-year recurrence discharges. Also, the effective discharge evaluated with the sediment rating curve and mean daily discharge data is greater than the bankfull discharge. According to the survey data of 1994 and 2008, the bed elevation of the study reach was decreased over time. It is indicated that the channel bed is changing to the stable condition to allow the effective discharge.

Proposal of Functional Assessment for Wetland-type Abandoned Channel (습지형 구하도의 기능평가 제안)

  • Kang, Su Jin;Kang, Joon Gu;Hong, Il;Yeo, Hong Ko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4 no.4
    • /
    • pp.547-559
    • /
    • 2012
  • Abandoned channel is vestiges of running in the past. Abandoned channels have been formed mostly by artificial river maintenance through channel straightening in Korea. Managed properly, these now abandoned channels can provide habitat for wildlife, maintain biodiversity of aquatic life, security against flooding and recreation area for human. However, because the areas are officially classified as abandoned, the channels is collapsing and decaying from years of neglect. This study suggested functional assessment for wetland-type abandoned channel in order to provide appropriate management and investment. For this reason, The study will examine and evaluate these channels with regard to the following four major criteria (Natureless, Habitat, Water-friendliness and Water quality) and 21 indices. Consequently, abandoned channel in two Nakdong river sites, site 1 was needed for protection or improvement in the medium to longer term, while site 2 was in good condition. This evaluation method will be helpful to manage wetland-type abandoned channel in Korea and will be able to use National River Health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ultifunctional river restoration framework (다차원 하천공간 복원 프레임웍의 개발과 적용)

  • Kim, Ji sung;Jeon, Ho Seong;Hong, Il;Kim, Kyu Ho;Kim, Woo R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5
    • /
    • 2017
  • 최근의 하천복원사업은 인위적으로 축소 또는 소실된 하천공간을 지형학적으로 되돌리기 위한 방향과 강이 가진 자연의 역동성의 복원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하천공간 확보라는 측면에서 구하천 구역을 복원하려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고 대표적으로 청미천, 함평천, 황구지천 등에서 기존의 제방을 후퇴시키고 과거의 하천공간을 하천으로 되돌려 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구하도 또는 폐천부지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시행되었으며, 복원된 공간규모가 크지 않아 사업의 효과를 크게 장담할 수 없는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따라서 홍수에 안전하며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터전으로의 공간복원, 그에 따른 하천생태계의 보전과 복원, 레저와 레크레이션이 가능한 친수공간 조성 등 하천기능의 강화와 융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다차원 하천공간 복원계획과 설계의 절차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유역기반의 문제점과 그 원인에 대한 인식이 선행되어야 하고 그 해법으로 하천공간 확대의 필요성이 도출되어야 한다. 이후, 하천공간 복원 및 활용과 관련된 기본방향이 설정되며 세부 복원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 복원목적과 목표가 세워진 후, 복원대상지를 선정하고 공간 활용방안이 제시되면, 목표달성 여부 판단을 위한 효과분석이 필요하다. 만약, 기대효과를 달성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면 복원목표 재설정 및 복원대상지의 재선정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같이 하천공간 복원사업을 시행함에 있어 간결하고 단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 하천공간 복원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제안된 하천공간 복원프레임워크를 통해 하천공간복원으로 인해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또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물리, 생물, 사회, 경제 등의 다양한 분야의 구조를 통합한 하나의 방법을 제시함으로서 임시방편 수준의 파괴된 하천복원사업에 변화를 주고 프레임워크를 통해 하천공간복원에 대한 응집력 있는 접근법을 적용하도록 촉진하여 복원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 간에 공통의 유대감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Functional Assessment for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Wetland-type Old River Channel:Mangyoung River (습지형 구하도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능 평가: 만경강 대상)

  • Hong, Il;Kang, Joon Gu;Kang, Su Jin;Yeo, Hong K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4B
    • /
    • pp.213-220
    • /
    • 2012
  • Old river channels have been formed by engineering a straight channel in Korea. This can be classified as wetland-type or land-type. The wetland-type old river channel uses parts of agricultural water supply. However, the channels have been neglected since there are problems associated with poor water quality, reduced water level, ecosystem disturbance, etc. Thus, river maintenance through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old river channel can be very effective in watershed management. To achieve this, functional assessment of wetland-type old river channel is a priority need. This study applied the wetland-type channel in Mangyoung river for functional assessment. It was formed these channels with regard to the following four major criteria (Natureless, Habitat, Water-friendliness and Water quality) and 21 indices. The indices managed by measuring depending in weights. Consequently, wetland-type channel in Mangyoung river was in good condition both natureless and habitat, while it was a fragile environment in water-friendliness and water quality. In particular, the areas where it has insufficiency water and water suffering from eutrophication needs urgent improvement. This results will be used to utilize wetland-type old river channel as watershed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