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조 벽체

검색결과 585건 처리시간 0.025초

나선형 플렌지가 설치된 앵커파일 프리캐스트 옹벽의 구조적 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ructural Behavior of Anchor Pile Precast Retaining Wall with Screw Shape Flange)

  • 최승선;안태봉;김우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11호
    • /
    • pp.129-138
    • /
    • 2013
  • 산업화의 발달과 더불어, 도로 등 교통시설과 건설 장비의 발달로 공장 제작하여 운반 설치하는 프리캐스트 구조물이 급속히 확장되는 추세이며, 2000년 대 부터는 철근콘크리트 옹벽도 프리캐스트 공법이 개발되고 현장에서 적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항타하여 설치해 온 앵커 파일 옹벽에서 기초에 설치되는 앵커파일을 일반돌기에서 나선형 플렌지 타입으로 설치하여 유압모터를 이용한 압입, 회전 방식으로 설치하고 앵커파일의 형태를 개선하고 이에 따른 기술적 검증과 최적의 적용형태를 도출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장 실규모 시험 및 수치해석적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인발실험 결과 앵커파일은 나선형 플렌지를 설치하는 것이 돌기가 없거나 다른 형상의 돌기가 설치된 파일에 비해 1.5~8배의 높은 인발 저항력을 보였으며, 나선형 플렌지가 설치된 APC옹벽에서 인발 저항력의 증대로 기초와 벽체의 변위도 25% 이상 감소됨을 보였다.

타워크레인의 횡지지 최적설계 알고리즘 개발 (The Optimization Algorithm for Wall Bracing Supports of Tower Cranes)

  • 이현민;호종관;김선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30-141
    • /
    • 2010
  • 예측 불가능한 자연 재해를 포함하여 현장관리자의 장비 설치 및 운영 시의 경험부족은 타워크레인과 같은 대형양중장비에 심각한 사고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국내에서는 2003년 태풍 "매미"의 영향으로 불안정한 지지구조를 가진 약 50여대의 타워크레인이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하였으며, 아직까지 많은 현장관리자는 대형양중장비에 대한 설치 및 운영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예산을 실행하는 데 비효율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초고층 건설 프로젝트가 급격하게 증가함으로써 타워크레인의 사용빈도 또한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로 인한 타워크레인 기초판의 지지 안정성뿐만 아니라 횡지지 안정성을 검토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타워크레인의 횡지지 최적설계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으로, 타워크레인 횡지지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고 비용이 최소화되는 부재조합을 선택하여 현장에 적용 가능하게 한다. 이는 향후 현장관리자의 타워크레인 설치 및 운영 업무를 효율적으로 증진시킬 것이다.

가압중수형 원전 격납건물의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PHWR Containment Building)

  • 이홍표;장정범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449-455
    • /
    • 2011
  • 최근 가압중수형 원전 격납건물의 내압능력 및 비선형 거동에 관한 실증실험과 해석코드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인도의 BARC 주관으로 가압중수형 격납건물 1/4 축소모델을 건설하였고, 내압성능평가를 위한 국제공동연구가 수행되었다. 이 논문은 가압중수형 1/4 축소모델 격납건물에 대한 내압성능과 비선형 거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대상 격납건물은 기초매트와 원통형 벽체 및 돔으로 구성되어 있고, 수평 텐던의 정착을 위하여 4개의 부벽(buttress)을 가지고 있다. 유한요소해석을 위하여 ABAQUS를 이용하였고 콘크리트, 철근 및 텐던에 대한 유한요소 모델을 작성하여 극한내압해석을 수행하였다. 유한요소해석결과 콘크리트의 초기 균열은 $1.6P_d$(design pressure)에서 발생하였고, 철근의 항복은 $3.36P_d$ 그리고 극한내압능력은 $4.0P_d$ 수준으로 나타났다.

고온 연소가스에 노출되는 디퓨저의 복합 열전달량 계산 (Analysis of Conjugated Heat Transfer for the Diffuser Exposed to Hot Combustion Gas)

  • 진상욱;나재정;이상호;이규준;임진식;김성돈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0년도 제35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31-234
    • /
    • 2010
  • 고온의 연소가스에 노출되는 디퓨저 냉각에 필요한 열량을 계산하였다. 디퓨저 내부는 공기와 혼합된 연소가스가 흐르고 디퓨저 벽체는 채널로 구성된 공간에 물이 흐르도록 되어 있다. 디퓨저 구조물과 유체 간에 또는 유체 자체적인 열전달과 구조물 내부의 열전달 현상은 복합적인 형태로 나타나는데 고온에서 작동하는 점을 고려하여 복사, 대류, 전도 모두를 적용 하였다. 열전달량 계산은 경험식에 근거한 1차원 해석과 CFD 해석의 2가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1차원 해석은 경험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적용하여 열전달량을 산출하였고, CFD 해석은 DO 복사 열전달 모델을 적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계산의 타당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두 방법을 비교하였다. 총 열전달량의 차이는 1% 미만으로 거의 같았으나, 1차원 계산은 열전달 모델의 단순화로 디퓨저 입구에서의 순환영역을 구현하지 못하여 전체적인 열전달량 분포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디퓨저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냉각수 용량은 2가지 계산 결과를 조합하여 각 구간별로 최대 열전달량을 근거로 도출하였다.

  • PDF

보급형 신한옥을 위한 부위별 공법 개발 및 영향도 분석 (New Building Materials and Methods for Modernized Korean Housing (Hanok))

  • 김민;김효선;류재선;정영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23-32
    • /
    • 2014
  • 한옥에 대한 관심이 급증을 하고 있는 가운데, 가격경쟁력을 갖춘 신한옥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신한옥 개발에 있어서, 공법의 개발은 필수적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신한옥의 개발과정 중 실제 건설된 전통한옥 1채와 신한옥 2채의 사례를 중심으로 신공법 사례 소개와 각 한옥의 부위별 공법을 비교하였다. 또한, 부위별 공법별로 공사비 및 공기의 영향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통한옥 대비 신한옥의 공사비는 모든 부위에서 저감되었으며, 공기는 대부분의 부위에서 단축되었다. 두 신한옥 사례의 분석 결과, 목재 구조체와 지붕의 공사비 및 공기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벽체, 바닥, 창호, 기초 순으로 나타났다. 효과적인 공사비 저감 및 공기 단축을 위해서는 목재 구조체 및 지붕 부위의 공법개발에 집중해야 한다.

강도향상형 단열스터드 개발을 위한 트리즈 기법 활용방안 (Invention Methodology of High Strength Insulated Steel Stud using TRIZ)

  • 조봉호;김선숙;곽채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33-41
    • /
    • 2013
  • 스틸스터드는 스틸하우스와 같이 수직하중을 받는 부위나 칸막이벽과 같이 수직하중을 받지 않는 부위에 널리 사용되는 건축 자재이다. 본 연구는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면 강도가 저하되는 단열스터드의 물리적 모순을 트리즈 방법론을 이용해 해결하고 새로운 컨셉의 고강도 단열스터드인 HSI스터드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물리적 모순의 해결을 위한 트리즈의 원리가 새로운 건축 자재를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트리즈를 이용해 개발된 고강도 단열스터드인 HSI 스터드는 기존의 KS 표준형 자재와 비교하여 약 12%의 단열성능 향상이 가능하고 벽체의 두께를 약 10% 정도 줄일 수 있다. 구조성능의 경우, 길이가 긴 스터드의 경우 일부 최대 3.9%의 휨강도 저하가 예상되나 4.1%~8%의 압축강도 향상으로 전반적인 구조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대형 축조블록을 이용한 보강토옹벽의 안정성 평가 (Stability evaluation of reinforced earth walls based on large-scale modular blocks)

  • 한중근;김민우;홍기권;윤중만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143-15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대형 축조블록과 지오그리드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구조물의 적용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안정성은 옹벽높이, 뒤채움 흙의 강도 및 지오그리드 보강재의 강도 조건에 따른 외적 및 내적안정성을 검토하였다. 외적안정성 분석 결과, 보강재의 길이는 전면벽체 저면으로부터 산정된 옹벽높이의 0.7H와 보강재 수직간격을 1m로 설치하였을 때, 뒤채움 흙의 내부마찰각 및 옹벽 높이에 관계없이 모든 해석조건에서 기준안전율을 만족하였다. 내적안정성의 경우에는 뒤채움 흙의 내부마찰각이 $25^{\circ}$인 경우에도 일부 옹벽 높이에서 파단 및 인발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내적안정성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대하여 구조적 안정성 및 경제성을 고려할 수 있는 구조물로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강토옹벽의 배부름현상 분석 및 보강 방법에 대한 실험적 연구 (A Study on Reinforcement Method of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Through Field Experiment)

  • 이원홍;문병조;이승열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103-112
    • /
    • 2019
  • 본 연구는 공용 중 보강토옹벽에 발생하는 배부름현상을 보강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현장실험으로 보강방법의 신뢰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보강토옹벽의 배수시설을 미설치하여 강우에 의해 배부름현상이 유도되도록 하였으며, 시공 후 15일간 변위속도가 크게 발생한 후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유도된 배부름현상의 변위는 미연방도로국(FHWA)의 시공 중 수평변위 기준을 적용하여 판단하였다. 배부름 현상을 보강하기 위해 보강토옹벽에 소일네일을 설치하고, 네일의 두부를 수평으로 서로 연결하여 보강토 옹벽의 블록들을 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보강재들의 보호를 위해 숏크리트로 보강면을 마감하고 계측장치를 설치하였다. 배부름현상 보강방법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변위의 진행을 검측한 결과 보강 후 수평변위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며, 보강방법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중시공에서 2중 버블시트 포설에 따른 단열 효과분석 및 무선센서 네트워크에 의한 초기 품질관리 (Insulation Effect of Double Layered Bubble Sheet Application in Cold Weather Concrete and Initial Quality Control by Wireless Sensor Network)

  • 한민철;서항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1-29
    • /
    • 2021
  • 본 연구는 한중 환경에서 가열 보온양생을 실시한 벽식구조 아파트의 슬래브 상부 및 벽체를 대상으로 2중 버블시트 포설에 따른 온도이력 및 강도발현 특성을 저자 등에 의해 이전 연구에서 개발된 무선센서 네트워크인 Concrete IoT Management System(CIMS)를 이용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및 추정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버블시트의 단열성능에 기인하여 구조체 콘크리트의 온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CIMS의 경우는 콘크리트 내부온도를 30 m까지 양호하게 무선센서 네트워크로 스마트폰에 전송되어 적산온도 및 실시간 압축강도 측정으로 효율적인 초기 품질관리가 가능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초기 품질관리 결과로서 압축강도는 7일 이내에서 약 2 MPa 이내의 오차로 추정될 수 있음에 따라 버블시트의 단열효과까지 포함하여 실무에서는 거푸집 존치기간을 1사이클 당 1일 정도 단축하는 공정관리 측면에서 효과도 얻을 수 있었다.

지진하중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의 강성 저하에 관한 연구 (Stiffness Degradation Induced by Seismic Loading on a RC Shear Wall)

  • 이윤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48-54
    • /
    • 2022
  • 본 연구는 균열에 의한 콘크리트 전단벽 강성저하 영향 평가를 위해 수행되었으며, 극한 내지진 하중의 60%까지 재하한 비선형 해석 결과, 사전 균열효과에 의해 비손상 대비 진동수의 12%정도 진동수가 감소하였으며 강성 측면에서 23%정도의 감소현상을 나타냈다. 단계적으로 지진하중의 크기를 증가시킨 비선형 해석 결과, 지진하중의 세기가 커짐에 따라 콘크리트 전단벽체에 전단균열이 발생하여 진전함을 파악하고, 반복이력에 의한 에너지 손실과 강성 저하가 뚜렷하게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두 가지 콘크리트 강도와 전단벽 제원에 대하여 지진하중의 크기가 극한 내지진 하중에 근접함에 따라 진동수의 감소량은 비손상 대비 10~40%정도로 나타났으며, 강성의 경우 비손상 대비 40%정도 수준까지 감소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