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조 방사 소음

Search Result 12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평판구조물의 진동 및 음향방사 - 통계적 접근

  • 강준수;김정태;김관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10a
    • /
    • pp.113-117
    • /
    • 1996
  • 구조물의 진동에 의해 소음이 방사되는 현상은 기계에서 소음의 발생원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기게류의 소음을 예측하거나 저감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의 동특성과 방사특성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특히, 엔진블럭, 펀치프레스, 배의 갑판구조물등과 같은 대다수의 소음 발생기계는 평판의 형상을 가진 구조물로서 기계적인 충격 등에 의해 그 표면에서 소음이 발생되므로 강성을 증가시키고, 소음저감을 목적으로 빔과 같은 보강재를 통해 보강되어 있다. 그런데, 해석적인 방법으로는 평판이나 원판 또는 구와 같은 단순한 형태의 특정구조물에 대해서만 그 결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불연속 평판구조물의 진동 및 방사특성은 평판에 대한 순수 이론으로는 해석이 곤란하여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적인 방법을 통해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수치해석적인 방법으로는 유한요소법(FEM)과 경계요소법(BEM), 및 통계적 에너지 해석기법(SEA)등이 있으며 구조물의 진동-소음연성문제의 경우에 있어서는, 진동해석을 FEM과 SEA으로, 공기 중에서의 방사현상은 BEM으로 예측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질이 균일한 얇은 2차원 평판구조와 보강평판에 대해서 진동특성은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해석하였으며 이때의 진동특성값을 입력데이터로 사용하여 경계요소해석 프로그램으로 방사효율 등을 예측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2차원 평판구조의 모우드 밀도와 가진점 모빌리티의 실수값이 가지는 평균치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추후 실험을 통해 이를 검증코자 한다.

  • PDF

Underwater Structure-Borne Noise Analysis Using Finite Element/Boundary Element Coupled Approach (유한요소/경계요소 연성해석을 통한 수중 구조기인소음 해석)

  • Lee, Doo-Ho;Kim, Hyun-Sil;Kim, Bong-Ki;Lee, Seong-Hyu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6 no.7
    • /
    • pp.789-796
    • /
    • 2012
  • Radiated noise analysis from a ship structure is a challenging topic owing to difficulties in the accurate calculation of the fluid-structure interaction as well as owing to a massive degree of freedom of the problem. To reduce the severity of the problem, a new fluid-structure interaction formulation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complex frequency-dependent added mass and damping matrices are calculated using the high-order Burton-Miller boundary integral equation formulation to obtain accurate values over all frequency bands. The calculated fluid-structure interaction effects are added to the structural matrices calculated by commercial finite element software, MSC/NASTRAN. Then, the impedance and underwater radiation noise due to an excitation of structure are calculated. The present formulation is applied to a ship to calculate the underwater radiated noise.

Reduction of Radiated Noise by Eigen-property Control (구조물의 고유특성 제어를 통한 방사 소음 저감)

  • 최성훈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5
    • /
    • pp.376-382
    • /
    • 2004
  • The interaction between a vibrating structure and a surrounding acoustic medium determines the acoustic power propagating into the far-field. A straightforward method to reduce the radiated power is to reduce the vibration of the structure. However it is more efficient to control the modes of the structure separately since each vibration mode of the structure has different radiation efficiency. An efficient method to reduce the sound radiation in the low frequency region is proposed by reducing the radiation efficiency of the structure. Numerical simulations are carried out for a simply-supported beam in which the feed-forward control is applied to reduce the volume velocity of each structural mode. This method is found to be very efficient in reducing low frequency sound radiation.

Development of Sound Radiation Analysis System Using the Results of Power Flow Finite Element Method (파워흐름유한요소법의 진동해석 결과를 이용한 구조물의 방사소음 해석시스템 개발)

  • 이호원;홍석윤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0 no.7
    • /
    • pp.21-30
    • /
    • 2001
  • The analysis system implementing a serial process from structural vibration to sound radiation has been developed using both the power flow finite element method (PFFEM) known as a new vibrational analysis technique in medium to high frequency ranges and the acoustic boundary element method (BEM) which is effective in analyzing the sound radiation problems. The vibration analysis for arbitrary shape structures composed of plates is performed, and using the vibration energy density obtained from this analysis as the velocity boundary conditions for an acoustic analysis, vibro-acoustic analysis has been processed. To verify the developed system, we select a simple structure model and compare the results of developed system with those of SYSNOISE, and also the developed system is applied for the vibro-acoustic analysis of various structures in shapes.

  • PDF

Study on sound radiation estimation using a reciprocity technique and p-p method by finite element simulation (상반성 기법과 p-p method를 이용한 구조물 방사소음 유한요소해석 기법 연구)

  • Ji Woo Yoo;Hun Park;Ji Un Lee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2 no.1
    • /
    • pp.1-6
    • /
    • 2023
  • Sound radiated from a structure in vibration is an important physical characteristic to evaluate vibro-acoustic problem. Although sound radiation power can be typically obtained by intensity measurement, long measuring time and strict measuring condition remain difficult. As an alternative method, simulation-based estimation can be taken into account and its accuracy is known to be acceptable. However, difficulty still lies in that specialized softwares may be necessary to obtain sound radiation power and radiation efficiency. In this context, this study suggests two methods using an ordinary FE method to calculate sound radiation power. They are well-known reciprocity technique and p-p method, which are basically test methods. It is shown that either method can practically estimate sound radiation in the frame of conventional Finite Element Method (FEM). The methods and their corresponding limit are discussed with some results.

Research on Noise Analysis Systems for Outdoor Unit of Airconditioner (에어컨 실외기 소음원 해석시스템 구축 연구)

  • Kim, Dong-Jin;Hong, Suk-Yoon;Song, Jee-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4a
    • /
    • pp.795-795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에어컨 실외기의 내부 소음원에 의한 방사소음의 수준을 예측하기 위한 해석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에어컨 실외기를 구성하는 여러 구성품을 내부 모델과 외부 모델로 구분하여 모델링하고, 주요한 소음원에 대한 최소한의 해석을 통하여 에어컨 실외기의 방사소음 수준을 예측하였다. 에어컨 실외기의 주요한 소음원 데이터를 실험을 통하여 계측하고, 이를 소음원 입력값으로 하는 진동해석 및 방사소음해석을 실시하여 구성품별 기여도를 예측 및 내부 구성품에 의한 소음원 데이터를 도출하였다. 해석을 통해 도출된 소음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조-음향 연성해석을 실시하여 방사소음수준을 예측하고, 실험을 통한 계측결과와 비교하였다.

  • PDF

Waterborne Noise Prediction of the Reinforced Cylinderical Shell Using the SEA Technique (SEA 기법을 이용한 보강 원통형 셀의 수중방사소음 해석)

  • 배수룡;전재진;이헌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2.10a
    • /
    • pp.107-112
    • /
    • 1992
  • 선박 내부에 탑재된 추진 기계류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마운트 Deck을 통하 여 선체에 전달되어 수중으로 전파된다. 기계류에 의해 발생되는 수중방사소 음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선체로 전달된 진동수준 및 수중방사소음 예측이 우선 중요하다. 수중방사소음 예측 방법으로 FEM과 BEM에 의한 저주파수 대역 예측, 전달함수에 의한 실험적 예측, SEA(Statistical Energy Analysis) 기법을 이용한 고주파수 대역 예측으로 나눌 수 있다. R.H.Lyon 등에 의해 발전된 SEA 기법은 항공기, 선박등 복잡한 구조물의 고주파수 대역 진동해 석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SEA 기법의 선박에 대한 적용은 소형선박의 기계 류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선체 진동수준 및 수중방사소음 해석 등에 적 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강 원통형 셀 모델에 대한 수중방사소음을 SEA 기법을 이용하여 예측하고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 PDF

The Noise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Axial Fan by Experimental Method (실험적 방법에 의한 축류형 팬의 소음 방사 특성에 관한 연구)

  • 김동규;오재응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1 no.1E
    • /
    • pp.50-55
    • /
    • 1992
  • 팬의 익면 통과 주파수 소음은 총괄 소음 스펙트럼중에서 가장 명백한 성분이다. 그 소리는 일 반적으로 가장 불쾌한 성분이므로 저감이 요구된다. 따라서 그 소음치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정확한 축류형 팬의 소음원과 소음 방사 특성 규명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푹류형 팬의 소음원과 소음 방 사 특성을 정의하였다. 음압 및 음향인텐시티를 이용한 음원 해석에서, 광센서를 이용한 축류형 팬의 동 기화가 수행되었고, 팬 날개에서의정확한 소음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Recording time의 결정이 제 안되었다. 팬 회전시, 소음원의 위치는 각 날개의 후단과 그 다음 날개의 선단사이에 각각 존재한다. 지 향성을 통하여 축류형 팬의 소음 방사 형태를 결정하였고, 벡터 에너지 흐름도로 음의 흐름을 가시화하 였다. 팬 익면에서의 회전 진동특성을 스트레인 게이지에 의하여 규명하였고, 또한 구조진동음의 음으로 의 기여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압전필름에 의한 팬 익면에서의 정압측정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 PDF

화장실 양변기 배수 및 세정소음

  • 박명식;김태희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2 no.10
    • /
    • pp.17-21
    • /
    • 2003
  • 국내 화장실 양변기의 배수 및 세정소음에 관한 실험실 측정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1989년 대한주택공사에서 조사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공동주택에서 외부로부터 들리는 소음에 대한 불만을 조사한 결과, 바닥충격음, 급배수설비 소음, 그리고, 공기전달음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급배수시 발생소음은 공동주택 입주자의 주요한 민원중의 하나이다. 급배수설비 소음은 유체의 유동에 의하여 발생하며, 직접 공기중을 전파하여 가는 “공기전달음”과 배관지지 재료 및 구조체 등을 통해 재차 공기중을 전파하여가는 “고체전달음” 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공기전달음”이란 실내에서 발생한 소리가 구조체를 진동하고 구조체는 인접실의 구조체 주변의 공기를 진동하여 소리가 방사되거나 또는 인접실간에 열려 있는 통로를 거쳐 전달되는 소음을 말하고 “고체전달음”이란 음원이 접하고 있는 건물구조체를 통하여 진동의 형태로 전달되는 소음을 일컫는다. 공동주택에서 배수관은 아래층 천장배관에 해당되므로 배수관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아래층으로 직접 전달된다. 이러한 배수설비 소음은 배관재의 종류, 배관스페이스의 구조 및 위치 등에 따라 소음레벨이 달라지게 된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