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조적 틈새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재생냉각용 연소기의 브레이징 공정 개발

  • 홍석호;한규석;우유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0.04a
    • /
    • pp.36-36
    • /
    • 2000
  • 액체로켓엔진에 사용되는 2000psi이상의 고압 연소실(Combustion Chamber)의 냉각은 내피(Inner Shell)에 기계 가공된 냉각통로(Cooling Channel)로 냉각제를 흘려보내는 재생냉각방식이 널리 사용되며 기계 가공된 냉각 통로는 외피(Outer Shell)에 의해서 지지 밀봉된다. 일반적으로 내피 재료는 순수한 구리보다 강도가 우수하고 열전도도는 유사한 구리합금을 사용하고, 외피는 강도가 우수한 스테인레스 강을 사용하여 브레이징 접합된 구조를 형성한다. 브레이징 공정은 조립품을 약 $450^{\cire}C$ 이상의 액상선을 갖는 삽입금속(Filler Metal)을 사용하여 적당한 온도($450^{\cire}C$ ~ 모재의 고상선)에서 가열하여 접합시키는 방법으로, 용융 금속의 젖음 현상(Wetting Phenomena), 접합 틈새(Joint Clearance)로의 용융 삽입금속의 유입(Capillary Phenomena)과 접합 계면의 반응을 통해서 접합이 이루어진다. 이는 일반적인 접합 공정과 비교하여 모재의 변형이 적고, 이종 금속 간의 접합이 용이하며, 복잡한 부품을 정밀하게 접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접합될 제품의 표면 상태 및 분위기(Atmosphere), 접합될 부품간의 조립 틈새, 가열 싸이클(Heating Cycle) 등에 대한 공정 확립 및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재생냉각 구조를 갖는 연소실은 우선 접합면의 형상이 매우 복잡하여 균일한 접합 틈새를 유지하면서 접합시키기가 매우 어려우며, 고온, 고압의 환경에서 작동하므로 일부 접합면이 접합되지 않을 경우 내피의 변형 및 파괴가 발생하고, 브레이징 시 용융된 삽입금속이 냉각통로 내로 유입될 경우 연소 시 이부근에서 재료의 용융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진공 분위기 하에서 적절한 접합 틈새를 유지할 수 있는 공정 및 장비의 개발이 필요하다.

  • PDF

Successful Case Study of LG Electronics in German Refrigerator Markets (LG전자의 독일 냉장고시장 진출 성공 사례)

  • 이장로;김용규
    • Asia Marketing Journal
    • /
    • v.2 no.4
    • /
    • pp.79-93
    • /
    • 2000
  • 본 사례는 LG 전자가 독일시장에 진출하여 냉장고 사업 부문에서 성공적인 마케팅 활동을 소개하고 있다. 사례연구의 주요 내용은 LG 전자가 1970년대 독일시장에 OEM(주문자 상표 부착방식)으로 유럽에 진출하여 1980년에 유럽최초의 판매법인을 설립하여 경영활동을 하던 중 1990년대 경영위기를 맞이하여 이를 극복하기위한 구조조정 과정과 독일 가전 시장에서 성공적인 마케팅 활동의 전략적 실행의 과정을 다루고 있다. 특히 독일 가전시장에서 기존의 유수한 현지기업과의 치열한 경쟁에도 불구하고 냉장고 사업 부문에서 우수한 사업 성과를 기록하는 마케팅 전략을 3 C 와 4P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사례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LG는 독일의 선진 시장에 진출한 EU에 포함되지 않는 역외업체로서 독일현지시장에서 기존의 강력한 현지업체들과 경쟁하기 위하여 선택과 집중 및 차별화 전략을 실행하였다. 이러한 전략은 기업의 틈새(niche)시장 전략으로 불리어질 수 있다. 즉, 틈새 시장 전략은 후발 진출기업이 경쟁이 치열한 시장에서 주요 경쟁 기업들이 참여하지 않는 세분시장을 발굴하여 이 세분시장에 모든 가용 자원을 투입하는 전략이다. LG는 이러한 현지 시장환경에서 한국 내수모델 중 LG특유의 경쟁력이 있는 품목을 현지시장에 맞게 개발하고 이에 대한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과제의 실행으로 현지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었다.

  • PDF

The Effect of Bottom Gap Size of Submerged Obstacle on Downstream Flow Field (수중 장애물의 하부틈새 크기가 하류 유동장에 미치는 영향)

  • Cho, Dae-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4 no.4
    • /
    • pp.333-338
    • /
    • 2008
  • The coastal zone is a delicate and dynamic area in which the majority of a water kinetic energy is dissipated. These processes are subsequent to the transport of the beach materials. In comparison to emerged breakwaters, submerged structures permit the passage of some wave energy and in turn allow for circulation along the shoreline zon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beach erosion prevention capability of submerged structure by laboratory model. The flow characteristics behind a submerged obstacle with bottom gap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at Re = $1.2{\times}10^4$ using the two-frame PIV(CACTUS 2000) system. Streamline curvature field behind the obstacle has been obtained by using the data of time-averaged mean velocity information. And the large eddy structure in the separated shear layer seems to have signification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separated shear layer. As bottom gap size increases, the recirculation occurring behind the obstacle moves toward downstream and its strength is weakened.

  • PDF

방위산업의 구조조정 방안 고찰

  • O, Won-Seok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2 s.286
    • /
    • pp.66-73
    • /
    • 2002
  • 점점 첨단/복합화.고가화 되어 가고 있는 무기체계 요구에 부응할 수 있또록 국내 방위산업의 공급능력/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방위산업 및 기술기반을 군사력의 일부로 인식하는 사고의 전환이 시급하며, 국방연구개발 투자의 확대 및 효율적 집행과 더불어 세계시장 지향적인 방위산업으로의 구조조정이 요망된다. 미국과 유럽국가들의 거대 방산업체들이 세계 방산시장을 과점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방산현실에서 이들 기업들과 경쟁할 수 있는 분야와 틈새시장을 발견하여 우리의 독자적인 방산능력을 제고시키는 노력과 더불어 방산업체 차원에서의 국제협력을 통한 생존전략의 모색이 시급하다.

  • PDF

방산물자 국산화 촉진방안

  • Park, Su-Gyu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4 s.254
    • /
    • pp.18-29
    • /
    • 2000
  • 다급한 전력화 요구를 충족시키느라 급속히 팽창한 우리 나라 방위산업은 괄목할 외형성장의 내면에 구조적인 취약성의 씨앗도 은밀히 배태하고 있었다. 따라서 방산업계는 업체차원에서 경영개선, 전략계획 등을 통해 체질개선과 경쟁력을 강화하고, 업체상호간 연대강화 모색, 해외로의 수출 및 국제적 공동개발 참여 등을 통해서, 그리고 민수겸업을 통한 군수의존도 축소, 방산 틈새시장 개척 등 근본적인 자구노력을 통해 생존과 성장전략을 능동적으로 추구해야 할 것이다.

  • PDF

The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Aquaculture of Marine Fishes in Korea (해산어류양식업 발전 전략에 관한 연구)

  • Kim, Sung-Gwi;Lee, Seung-Woo;Hong, Jang-Won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v.25 no.4
    • /
    • pp.469-481
    • /
    • 2003
  • This study is to suggest strategies for the aquaculture of marine fishes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current domestic states and case studies of the advanced countrie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industry. To reveal the current state, a questionnaire study to the producers was carried out, and cases in Norway, China, Japan, USA were analysed in terms of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From those analyses, 3 strategi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mpetitive edge in the industry were induced as following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restructuring such as upsizing through consolidation of small units, networking, etc. Second, it is required to introduce the state-of-the-art technology with the newly-designed equipments to save energy and cost in the operation. Third, it is also required to implement programs to select the national strategic species and concentrate R&D resources on the selected ones.

Coauthorship Analysis of Innovation Studies in Korea : A Social Network Perspective (한국의 기술혁신 연구자 관계구조 분석 : 사회네트워크 관점)

  • Namn, Su-Hyeon;Seol, Sung-Soo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0 no.4
    • /
    • pp.605-628
    • /
    • 2007
  • We analyze the embedded structure of the cooperative research network of innovation studies in Korea by employing the social network methodology. The network covers all the contributing authors of two journals such as JTI and KTIS,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journals in the area. Across the networks, the following is noted: networks are highly segmented and the link density is low. However, the KTIS network contains a huge component with 131 authors which implies the existence of a strong cooperative research infrastructure. We derived three sub-networks such as technology economics, technology management, and technology policy. The technology policy network has the lowest link density, while the technology management network of KTIS shows relatively high cohesion among the researchers. Simulation analysis for the mean links of networks by author affiliation divided into university and others show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networks. We also found a higher ratio of linkage within affiliated network than between networks, rejecting our hypothesis that researchers will not discriminate their research partners due to strong governmental inducement of academia-res each-industry cooperation. The explainability of indices from network structure such as structural holes and clustering coefficients on the performance of researchers measured by the number of citations confirms the results reported in Oh, Choi & Kim (2006) which dealt with the research network of information systems.

  • PDF

화산동굴의 용암석회질화 현상 고찰(제주도 북제주군 협제리 건지굴 중심)

  • 소대화;배두안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25-32
    • /
    • 2004
  • 본 논문은 북제주군 협제리 해안가 근처에 소재한 건지굴을 대상으로 화산지역의 용암동굴에서 특이하게 진행되고 있는 용암석회질화 현상에 대하여 동굴내부와 주변 상황에 근거한 분석과 고찰을 통하여 석회질화의 발생 원인을 규명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동굴내부의 생태계와 연관된 분석을 병행 시도하였다. 용암동굴(화산동굴)은 생성이후 퇴화한다. 그러나 용암동굴에서 용암석회질화(lava-calcification) 현상이 발생하면 용암의 기공과 균열부분 또는 용암석간의 틈새에 석회질 성분이 지하수에 녹아 침투하여 고화되면서 구조적 보강효과가 발생하여 견고하게 진행된다. 이러한 현상은 마치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에서 구조재료들을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결합시키는 시멘트의 역할과 같으며, 따라서 용암동굴의 경우, 동굴이 형성된 이후에 전반적으로 퇴화가 진행된다고 알려진 일반적 경향에 반하여 용암석회질화 현상에 의해 오히려 구조적 보강현상이 이루어지고, 용암석회질화 현상이 진행될수록 용암동굴의 일반적 경향으로 나타나는 동굴퇴화현상 보다는 구조적 견고함의 진행성을 나타내는 특이현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진행성 용암석회질화 현상이 북제주군 협제리에 소재한 건지굴에서 진행되고 있음이 국내에서 최초로 확인되었다.

  • PDF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Nitrogen in Carbonaceous Micropore Structures with Local Molecular Orientation (국부분자배향의 탄소 미세기공 구조에 대한 질소의 흡착 특성)

  • Seo, Yang Gon
    • Clean Technology
    • /
    • v.28 no.3
    • /
    • pp.249-257
    • /
    • 2022
  • The adsorption equilibria of nitrogen on a region of nanoporous carbonaceous adsorbent with local molecular orientation (LMO) were calculated by grand canonical Monte Carlo simulation at 77.16 K. Regions of LMO of identical size were arranged on a regular lattice with uniform spacing. Microporosity was predominately introduced to the model by removing successive out-of-plane domains from the regions of LMO and tilting pores were generated by tilting the basic structure units. This pore structure is a more realistic model than slit-shaped pores for studying adsorption in nanoporous carbon adsorbents. Their porosities, surface areas, and pore size distributions according to constrained nonlinear optimization were also reported. The adsorption in slit shaped pores was also reported for reference. In the slit shaped pores, a clear hysteresis loop was observed in pores of greater than 5 times the nitrogen molecule size, and in capillary condensation and reverse condensation, evaporation occurred immediately at one pressure. In the LMO pore model, three series of local condensations at the basal slip plane, armchair slip plane and interconnected channel were observed during adsorption at pore sizes greater than about 6 times the nitrogen molecular size. In the hysteresis loop, on the other hand, evaporation occurred at one or two pressures during desorption.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Box Type Linear Joint Fire Stop System for Curtain Wall (커튼월의 박스형 선형조인트 내화충전시스템의 내화성능)

  • Yeo, In-Hwan;Cho, Kyu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357-360
    • /
    • 2011
  • 고층 건축물에 주로 사용되는 커튼월의 경우 구조체와의 접합으로 인해 층간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화재 시 틈새를 통해 화염이나 연기 등의 확산 경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커튼월 시스템에 적용되는 선형조인트 내화충전시스템의 개발을 위해 경제적이고 시공이 간편한 박스형 시스템을 도입하고 내부에 다양한 변경하여 내화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케이싱 내부의 단열재 20mm두께의 내화 뿜칠재와 석고보드를 케이싱 안쪽에 박스 형태로 구성한 시스템이 가장 안정적이고 온도상승도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